• 제목/요약/키워드: Enteromorpha linza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해산 녹조 잎파래 (Enteromorpha linza (L.) J. Agardh)의 형태변이 (Morphological Variation of Marine Enteromorpha linza (L.) J. Agardh (Ulvales, Chlorophyceae))

  • 김광용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1호
    • /
    • pp.61-67
    • /
    • 1992
  • 환경과 관련된 해산 녹조류 잎파래(Enteromorpha linza)의 형태적 변이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 전 해안에서 채집된 재료를 대상으로 각 형질을 정량화한 다음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파도 등에 노출된 개체군의 식물체는 보호된 개체군의 식물체보다 자루의 길이와 엽록체의 최대 길이가 길고 엽체의 폭은 좁은 형태적 특징을 보였다. 각 형질에 대한 개체군 간의 형태적 차이 유무를 보여주는 다중비교분석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파도 등에 의한 노출 정도로 인하여 나타나는 표현형의 변이성 출현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파래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nteromorpha linza on the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 조영호
    • 생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4-178
    • /
    • 2008
  • Melanin is a polymer of phenol which produces hyperpigmentation in the skin. Melanin synthesis is catalyzed by the enzyme tyrosinase. To investigate the whitening activity of the fractions from the ethanol extract of Enteromorpha linza, we studi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the B16/F1 melanoma cells. The inhibition ratio of tyrosinase activity of ethylacetate fraction from E. linza was as strong as that of kojic acid, a positive control. Also, the melanin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ethylacetate fra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fractions and as strong activity as that of arbutin, a positive control.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E. linza extract might be able to apply to cosmetic and medical fields.

사람피부섬유아세포 및 섬유아육종세포로부터 유래된 기질금속단백질효소에 대한 해조류의 효능 (Effects of Seaweeds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Derived from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Human Fibrosarcoma Cells)

  • 박인환;이상훈;김세권;;전유진;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01-1510
    • /
    • 2011
  • 최근에 해양자원에 있는 동물, 해조류 곰팡이 세균에서 신규 잠재적인 후보약효제가 조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암전이, 관절염, 만성염증 및 주름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s) (MMPs)를 목적효소로 이용하였다. 5종의 녹조류, 18종의 홍조류, 4종의 갈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해조류가 사람피부섬유아세포 및 섬유아육종세포로부터 유래된 기질금속단백질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gelatin zymograph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는 홍조류중에서 Laurencia okamurae, Polysiphonia japonica, Grateloupia lanceolate 및 Sinkoraena lancifolia에서 MMP-2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녹조류의 Enteromorpha compressa와 Enteromorpha linza, 갈조류의 Peltaronia bighamiae and Sargassum thunbergii에서는 MMP-2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사람섬유아육종세포에서는 MMP-9 활성화가 갈조류인 Sargassum thunbergii, 홍조류의 Polysiphonia japonica, 녹조류의 Enteromorpha compressa와 Enteromorpha linza의 존재 하에서는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 흥미로운 발견은 녹조류의 E. compressa와 E. linza 및 갈조류의 S. thunbergii는 정상세포에서는 MMP-2에 대하여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암세포에서는 MMP-9응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녹조류의 E. compressa와 E. linza 및 갈조류의 S. thunbergii는 항암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해조단백질 추출에 관한 연구 2. 식염가용성 및 알콜가용성 단백질의 추출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SEA WEED PROTEINS 2. Extraction of NaCl and Alcohol Soluble Proteins)

  • 이강호;류홍수;우순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9-197
    • /
    • 1977
  • 분포량이 많고 식용되고 있는 중요해조인 둥근돌김, 잎파래, 구멍갈파래, 미역, 톳, 모자반, 셀만모자반, 누운청각의 식염가용성 및 알콜가용성 단백질 추출에 영향을 주는 제 요소 즉 추출용액의 농도, 용매량, 시간, 온도, pH의 영향을 검토하고 pH에 따른 TCA 침전단백질을 정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염가용성 단백질에 있어서 미역, 톳, 돌김, 잎파래, 구멍갈파래는 0.25M의 식염용액에서, 모자, 셀만모자반, 누운청각은 1.0M에서 가장 좋은 추출성적을 얻었으며, 알콜가용성 단백징 전시료(미역, 모자반, 잎파래, 둥근돌김)가 $20\%$ 에타놀에서 가장 좋은 추출성적을 보였다. 2. 시료일추출용매비(w/v)는 식염가용성의 경우 1:30(w/v)에서 알콜 가용성 단백질은 건조시료 1g에 대하여 100ml을 가할 때 추출성적이 좋았다. 3. 3. 추출시간에 있어서 식염가용성 단백질은은 구멍 갈파래, 잎파래가 1시간, 둥근돌김, 누운청각이 2시간, 미역, 톳, 모자만, 셀만모자반은 3시간이 최적 추출시간이내, 추출성분이 좋았다. 4. 추출온도는 식염가용성일 경우, 잎파래, 구명 갈파래는 $40^{\circ}C$에서, 미역은 $50^{\circ}C$, 톳, 모자반, 셀만모자반, 누운청각은 $60^{\circ}C$서 최고의 추출성적을 보였고, 알콜가능성은 잎파래가 $30^{\circ}C$ 미역, 둥근돌김, 모자반이 $40^{\circ}C$에서 최고의 추출성적을 보였다. 5. pH의 영향은 각 시료마다 대동소이하며, 식염가용성 pH $8\~9$에서 알콜가용성은 pH $8\~9$에서 성적이 좋았다.

  • PDF

부산 영도의 해조상과 곰피(Ecklonia stolonifera Okamura) 군락 (Algal Flora and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Laminariaceae) Population of Youngdo in Busan, Korea)

  • 최창근
    • ALGAE
    • /
    • 제22권4호
    • /
    • pp.313-318
    • /
    • 2007
  •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at intertidal zone and subtidal zone of Youngdo at Busan. In this area, a total of 69 marine algal species including 10 Chlorophyta, 17 Phaeophyta and 42 Rhodophyta was identified. Dominant species in coverage were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Gelidium divaricatum, Hildenbrandtia rubra and Chondrus ocellatus throughout the year.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Porphyra yezoensis, Gelidium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teloupia elliptica and Chondrus ocellatus vertically distributed in intertidal zone, while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Prionitis cornea, Gracilaria textorii, Acrosorium polyneurum and Phycodrys fimbriata in subtidal zon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btidal zone were characterized by Ecklonia stolonifera at 1 to 5 m depths. During a year, biomass and length of Ecklonia stolonifera gradually decreased from March to January, but increased from February. Zoosporangial sori were observ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conclusion, number of species in this area wa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previous data at Busan and it’s vicinity.

Comparison on the effects of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Inducing Activity from Porphyra tenera and Enteromorpha linz

  • Jean, Kwang-Hye;Kim, Mi-Hyang;Bae, Song-Ja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30.2-231
    • /
    • 2003
  • The seaweed, as source of bio-active substances as well as food,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ytotoxic and chemopreventive effects of Porphyra tenera (PT) and Enteromorpha linza (EL). The PT and EL extracts from methanol were fractionated to five different types, which are hexane, ethylether,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omitted)

  • PDF

Marine Macro-algae of Orissa, East Coast of India

  • Rath, Jnanendra;Adhikary, Siba Prasad
    • ALGAE
    • /
    • 제21권1호
    • /
    • pp.49-59
    • /
    • 2006
  • A total of twenty one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were reported from 460 kms long Orissa coast in the east coast of India. Of these 9 species belongs to Chlorophyta, 2 to Phaeophyta and 10 to Rhodophyta. The low species richness compared with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India was due to lack of rocky and/or coral substratum. Enteromorpha usneoides and Gelidium divaricatum were reported first from India. Enteromorpha linza, E. clathrata, Colpomenia sinuosa, Dictyota dichotoma, Catenella impudica, Compsopogon aeruginosus and Grateloupia lithophila were the new records for Orissa coast.

해조단백질의 추출에 관한 연구 1. 수용성 단백질의 추출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SEAWEED PROTEINS 1. Extraction of Water Soluble Proteins)

  • 류홍수;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1-162
    • /
    • 1977
  • 분포량이 많고 식용되고 있는 중요 해조의 효율적인 이용과 영양학적인 의의를 구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동근돌김(Porphyra suborciculata). 잎파래(Enteromorpha linza). 톳(Hizikia jusiforme). 모자반(Sargassum fulvllum), 미역(Undaria pinnatifida), 청각(Codim fragile), 셀만모자반(Sargassum kjellmanianum), 구멍갈파래(Ulva pertusa)등 8종을 선정하여, 이들 해조의 불용성 단백질 추출에 영향을 주는 제요소 즉 조체처리별, 추출온도와 시간별, 시료일추출용매화, pH의 영향등을 검토하고 또한 추출액중의 단백질 심전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 식용 해조의 조단백질 함량은 둥근돌김(Porphyra suborbiculat) $24.14\%$, 미역(Undaria pinnatifida) $15.7\%$, 톳(Hizikia jusiforme) $7.66\%$, 모자반(Sargasum fulvellum) $12.61\%$, 셀만모자반(Sargassum kjellmanianum) $14.08\%$, 잎파래(Enteromorpha linza) $10.86\%$, 구멍갈파래(Ulva Pertusa) $16.60\%$, 청각(Codium fragile)$9.89\%$이었다. 2. 시료의 처리조건에 따른 추출효과는 dry icemethanol 한제 중에서 동결시켜, 해사를 첨가하여 마쇄한 시료가 수용성 단백질 추출성적이 월등하게 좋아, 막지사발에서 마쇄한 $1.5\~2.5$배의 추출성적을 보였다. 3. 시료일추출용매비는 점질물이 적은 구멍갈파래, 잎파래는 1:20(w/v)에서, 점질물량이 많은 청각,미역, 톳, 모자반, 둥근돌김 등은 1:30(w/v)에서, 셀만모자반은 1:40(w/v)일 때 추출성적이 좋았다. 4. 추출시간은 구멍갈파래, 잎파래는 1시간, 둥근돌김, 톳, 미역, 모자반, 셀만모자반은 2시간, 청각은 3시간 정도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5. 추출온도는 톳이 $40^{\circ}C, 둥근돌김, 청각, 잎파래 미역, 모자반, 셀만모자반 $50\%$에서, 구멍갈파래는 $60^{\circ}C$에서 최고의 추출성적을 보였다. 6. pH의 영향은 각 시료마다 대동소이하여 $pH9\~12$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7. 추출 최적조건에서의 수용성 단백질 추출율은 1차 추출에서 전조단백질에 대하여 평균 $63\%$, 2차 유출에서 평균 $8.6\%$ 합계 $74\%$ 정도의 수용성 단백질 추출이 가능했으며, 1차에 대한 2차의 추출비율이 7.5:1이었다. 8. 단백질 침전분리 조작으로는 Barnstein method, methanol 처리법, TCA 처리법, 가열처리법 순으로 침전효과가 있었다.

  • PDF

국수에 대한 4종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ABTS+, OH 라디칼, NO 라디칼, 철 이온 환원력 (ABTS+ Radical, Hydroxy Radical (OH), Nitric Oxide (NO), and 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our Seaweed Species for Noodles)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21-1129
    • /
    • 2017
  • 4종의 식용 조류, 참김(Porphyra tenera), 미역(Undaria pinnatifida), 톳(Sargassum fusiforme), 잎파래(Enteromorpha linza)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ABTS+ 소거활성, 하이드록시 라디칼(OH), 산화질소(NO), 철 이온 환원력(FRAP)을 조사하였다. ABTS+ 소거활성은 Brand-Williams 등의 방법에 따랐다. 톳의 ABTS+ 소거활성은 8.0 mg/ml 일 때 61.8%로 가장 높은 반면 잎파래는 동일 농도에서 35.7%로 가장 낮았다. 참 김과 미역은 ABTS+에 대해 유사한 활성 저해를 나타내었다. 하이드록시 라디칼의 저해활성은 톳 > 참김 > 미역 > 잎파래 순이었다. 산화질소는 8.0 mg/ml 추출물일 때 톳 > 참김 > 미역 > 잎파래 순이었다. 3.5% 소금과 4종의 조류 추출물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을 국수틀에 뽑아낸 후 5분간 끓였을 때 전반적으로 4개의 산화제에 대해 활성저해가 저하되었다. 톳 8.0 mg/ml를 첨가한 국수의 경우 산화질소 활성저해는 27.2%였다. 미역 8.0 mg/ml을 첨가한 국수는 철 이온 환원력이 31.5%였다. 종합적으로 톳 추출물이 ABTS+, OH, NO, FRAP에 대해 활성저해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자연적으로 분포하는 참김, 미역, 톳, 파래가 국수의 항산화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고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