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nglish morpheme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한국어의 어순 구조를 고려한 Two-Path 언어모델링 (Two-Path Language Modeling Considering Word Order Structure of Korean)

  • 신중휘;박재현;이정태;임해창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435-442
    • /
    • 2008
  • n-gram 모델은 영어와 같이 어순이 문법적으로 제약을 받는 언어에 적합하다. 그러나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한국어에는 적합하지 않다. 기존 연구는 어절 간 어순의 고려가 어려운 한국어의 특성을 반영한 twoply HMM을 제안했으나, 인접 어절 간 어순 구조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용언형태소 사이에 나타나는 인접 어절 간에 어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두 어절을 결합하는 세그먼트 단위를 정의하고, 제안한 세그먼트 단위에서 문맥에 따라 확률을 달리 추정하는 two-path 언어모델을 제안한다. 그 결과 기존 한국어 언어모델에 비해 제안하는 two-path 언어모델은 기존 연구보다 25.68% 혼잡도를 줄였으며, 어절 간에 결합이 일어나는 경계인 용언형태소에서는 94.03%의 혼잡도를 줄였다.

접사 구조 분석과 기계 학습에 기반한 한국어 의미 역 결정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Based on Suffix Structure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 석미란;김유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11호
    • /
    • pp.555-562
    • /
    • 2016
  • 의미 역 결정은 한 문장에서 술어와 그것의 논항간의 의미 관계를 결정해주는 것을 말한다. 한편 한국어 의미 역 결정은 영어와는 다른 한국어 고유의 특이한 언어 구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방법들을 곧바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지금까지 제안된 방법들은 영어나 중국어에 적용했을 때에 비해서 한국어에 적용하면 낮은 성능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사나 어미와 같은 접사구조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어는 일본어와 같은 교착어의 하나인데, 이들 교착어에서는 매우 잘 정리되어 있는 접사구조가 어휘에 반영되어 있다. 교착어는 바로 이들 잘 정의된 접사 구조 때문에 매우 자유로운 어순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일 형태소로 이루어진 논항은 기초 통계량을 기준으로 의미 역 결정을 하였다. 또한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 SVM)과 조건부 무작위장(Conditional Random Fields: CRFs)와 갗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앞에서 결정되지 못한 논항들의 의미 역을 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기계 학습 접근 방식이 처리해야 하는 논항의 범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기계 학습 접근은 상대적으로 불확실하고 부정확한 의미 역 결정을 하기 때문이다. 실험에서는 본 연구는 15,224 논항을 사용하였는데, 약 83.24%의 f1 점수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한국어 의미 역 결정 연구에 있어서 해외에서 발표된 연구 중 가장 높은 성능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 약 4.85%의 향상을 보여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