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vascual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Endovascular Treatment of Dural Arteriovenous Fistulas : Single Center Experience

  • Oh, Jae-Sang;Yoon, Seok-Mann;Oh, Hyuk-Jin;Shim, Jai-Joon;Bae, Hack-Gun;Lee, Kyeong-Seo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1호
    • /
    • pp.17-25
    • /
    • 2016
  • Objective : Treatment of intracranial dural arteriovenous fistulas (dAVFs) remains a challenge. However, after introduction of Onyx, transarterial approach is the preferred treatment option in many centers. We report our experience of dAVFs embolization with special emphasis on transarterial approach. Methods : Seventeen embolizat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13 patients with dAVFs between Jan 2009 and Oct 2014. Clinical symptoms, location and type of fistulas, embolization methods, complications,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charts and PACS images. Results : All 13 patients had symptomatic lesions. The locations of fistulas were transverse-sigmoid sinus in 6, middle fossa dura in 4, cavernous sinus in 2, and superior sagittal sinus in 1 patient. Cognard types were as follows : I in 4, IIa in 2, IIa+IIb in 5, and IV in 2. Embolizat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geq}2$ times in 3 patients. 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ransarterial Onyx embolization alone. One of these required direct surgical puncture of middle meningeal artery. Complete obliteration of fistulas was achieved in 11/13 (85%) patient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except for 1 case of Onyx migration in cavernous dAVF. Modified Rankin scale score at post-operative 3 months were 0 in 11, and 3 in 2 patients. Conclusion : Transarterial Onyx embolization can be a first line therapeutic option in patients with dAVFs. However, transvenous approach should be tried first in cavernous sinus dAVF because of the risk of intracranial migration of liquid embolic materials. Furthermore, combined surgical endovascular approach can be considered as a useful option in inaccessible route.

GafChromic 필름을 이용한 Ho-166 의 혈관내 방사선조사를 위한 선량분포 측정 (The Measurement of Ho-166 Absorbed Dose for the Endovascular Irradiation with a Balloon Angio Catheter Using a GafChromic Film)

  • 강해진;조철우;박찬희;오영택;전미선;김영미;박경배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0권3호
    • /
    • pp.151-157
    • /
    • 1999
  • 심장 혈관 협착증 환자의 경우 수술후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혈관내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여 혈관내벽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사성 동위원소가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생산되는 Ho-166 도 그 중의 하나의 원소이다. 따라서 이 Ho-166 을 이용하여 혈관내 방사선조사를 할 경우 선량분포를 측정해 보았다. 혈관 내벽을 방사선 조사하는 방법은 풍선 혈관 카테터를 혈관내에 위치시키고 풍선 안에 액체 상태인 Ho-l66 동위원소를 채우고 일정시간 머물게 함으로써 시행된다. 선량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Solid water phantom 과 방사선 흡수선량에 따라 현상기에 현상을 하지 않아도 바로 필름 흑화도 변화를 볼 수 있는 GafChromic Film 을 사용하였다. 필름 흑화도 측정은 Videodensitometer를 이용하였으며 Co-60 빔에 검교정된 GafChromic 필름의 흑화도로 부터 풍선 혈관 카테터 안에 있는 Ho-166 동위원소에 의한 선량분포플 측정하였다. 먼저 Co-60 빔을 이용한 GafChromic Film 의 calibration curve를 얻었다. 흡수선량 대 필름 흑화도 곡선 (H-D curve)은 직선을 이루지 않았으며 이는 densitometer에 쓰이는 광원으로 부터 짐작되는 결과이다. H-D 곡선을 이용하여 Ho-l66이 채워진 풍선 혈관 카테터로 부터의 거리에 따른 선량분포를 얻었으며 카테터 표면으로 부터 1 mm 떨어진 거리에서의 선량은 풍선 표면에서의 약 20% 정도 였으며 5mm 떨어진 거리에서는 풍선 표면 선량의 약 1% 정도로 급속히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혈관내 방사선 조사시 중요한 것은 혈관 내 벽에는 원하는 만큼의 방사선량을 주어야 하지만 주변의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손상을 유지해야 하므로 선량분포가 동위원소로 부터 떨어졌을 때 급속히 감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이유 때문에 베타선 방출 핵종 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동위원소 Ho-l66 도 혈관내벽 방사선조사를 위한 하나의 좋은 핵종으로 이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