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scopy, gastrointestinal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34초

위암 표준진료권고안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Gastric Cancer in Korea)

  • 김재규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0-16
    • /
    • 2016
  • There were no Korean evidence-based multidisciplinary guidelines for gastric cancer. Experts from related societies developed guidelines de novo to meet Korean circumstances and requirements, including 23 recommendation statements for diagnosis (n=9) and treatment (n=14) based on relevant key questions. The quality of the evidence was rated according to the GRADE evidence evaluation framework and the recommendation grades were classified as either strong or weak. The topics of the guidelines cover diagnostic modalities (endoscopy, endoscopic ultrasound, and radiologic diagnosis), treatment modalities (surgery, therapeutic endoscop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pathologic evaluation. Major limitation of the present guideline is that there is no enough evidences in Korea. Therefore, clinical studies about gastric cancer for evidence generation should be conducted.

  • PDF

십이지장 팽대부 종양의 내시경적 치료 (Endoscopic Management of Ampullary Tumors)

  • 정회훈;박재근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93-98
    • /
    • 2023
  • Ampullary tumor is a rare disease whose prevalence rate has increased gradually 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 in endoscopic examinations. Ampullary lesions are observed via endoscopy, and biopsy is done to determine whether such lesions are adenomas or carcinomas. Endoscopic papillectomy is performed on ampullary adenomas without intraductal lesions. Before the procedure, bleeding tendencies and pancreatitis are assessed, and the lesion is resected using a high-frequency wave and a thin wire snare. Thereafter, pancreatic duct stent insertion or clipping of the resection site is performed to prevent postprocedural pancreatitis. Although 47-93% of the patients achieve complete endoscopic papillary resection, the recurrence rate is 5-31%. Hence, regular follow-up via endoscopy is required.

소장의 대량출혈을 유발한 공장게실 1예 (A Case of Jejunal Diverticula Which Caused Massive Small Bowel Bleeding)

  • 이호찬;장병익;박재현;김성준;박준석;정상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120-124
    • /
    • 2009
  • Gastrointestinal bleeding is a common cause of hospitalization. Jejunal diverticula is a rare disease and it is an unusual cause of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After exclusion of the more common bleeding sources, small bowel diverticula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sible rare cause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Jejunal diverticular bleeding is difficult to diagnose and treat because the bleeding site cannot be identified by routine endoscopy and radiologic studies. An exploratory operation is sometimes needed to diagnose and treat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If the bleeding site is certain, then surgical resection of the bleeding part of the bowel is the procedure of choice. We report here on a case of jejunal diverticular bleeding that was diagnosed by and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 PDF

Two Cases of Advanced Gastric Carcinoma Mimicking a 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 Shin, Ha Song;Oh, Sung Jin;Suh, Byoung J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5권1호
    • /
    • pp.68-73
    • /
    • 2015
  • Gastric cancer that mimics a submucosal tumor is rare. This rarity and the normal mucosa covering the protuberant tumor make it difficult to diagnosis with endoscopy. We report two cases of advanced gastric cancer that mimicked 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preoperatively. In both cases, the possibility of cancer was not completely ruled out. In the first case, a large tumor was suspected to be cancerous during surgery. Therefore, total gast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In the second case, the first gross endoscopic finding was of a Borrmann type II advanced gastric cancer-like protruding mass with two ulcerous lesions invading the anterior wall of the body. Therefore, subtotal gast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Consequently, delayed treatment of cancer was avoided in both cases. If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and cancer is uncertain, a surgical approach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due to the possible risk of adenocarcinoma.

Gastric Precancerous Lesions in First Degree Relatives of Patients with Known Gastric Cancer: a Cross-Sectional Prospective Study in Guilan Province, North of Iran

  • Mansour-Ghanaei, Fariborz;Joukar, Farahnaz;Baghaei, Seyed Mohammad;Yousefi-Mashhoor, Mahmood;Naghipour, Mohammad Reza;Sanaei, Omid;Naghdipour, Misa;Shafighnia, Shora;Atrkar-Roushan, Zahr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1779-1782
    • /
    • 2012
  • Background & Objective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family history of cancer also involves the stomac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esence of gastric precancerous lesions in first-degree relative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to compare the obtained results with those of individuals with no such family history. Methods: Between 2007 and 2009, 503 consecutive persons more than 30 years old were enrolled in the study covering siblings, parents or children of patients with confirmed adenocarcinoma of stomach. The control group was made up of 592 patients who were synchronously undergoing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for evaluation of dyspepsia without gastric cancer or any family history. All subjects were endoscopically examined.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was 77.7% in the cancer relatives and in 75.7% in the control group. Chronic gastritis was found in 90.4% vs. 81.1% (P<0.001). Regarding histological findings, 37(7.4%) of the study group had atrophy vs. 12(1.7%) in the control group (P<0.001), while no difference was observed for intestinal metaplasia (20.3%vs. 21.6%, P=0.58). Dysplasia were shown in 4% of cancer relatives but only 0.4% of the control group (P<0.001). There was no gender specificity. Conclusions: Findings of our study point to great importance of screening in relatives of gastric cancer patients in Iran.

원인불명의 위장관 출혈을 보인 소장 위장관 기질종양 식별: 혈관조영술 소견의 강조 (Identifying Small Bowel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as the Culprit Lesion in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Emphasis on Angiographic Findings)

  • 최형인;최민정;김봉만;남궁환;최승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400-405
    • /
    • 2022
  • 위장관기질종양(gastrointestinal tumor; 이하 GIST)은 종종 위장관 출혈의 원인이 되는 드물지 않은 질환이지만 소장에 생기는 경우 내시경 및 전산화단층촬영(이하 CT)에서 발견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증례에서 환자는 수술 전 총 3회의 CT를 시행 받았으나, 병변은 매번 복강의 다른 부위에 위치해 있었고, 허탈된 소장과 구분이 어려워 처음 2번의 CT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다. 혈관조영술에서 병변이 보였지만, 고령의 환자에서 원인불명 위장관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인 혈관기형으로 잘못 해석되어 올바른 진단과 치료가 3년간 지연되었다. 본 증례를 통해, GIST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 전략 수립을 위해 혈관조영술 소견을 강조하고자 한다.

소아에서 상부 위장관내시경 검사 시 Midazolam 투여에 따른 생명활력징후의 변화 및 진정 효과 (Vital Sign and Sedative Effect of Midazolam for Conscious Sedation during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 백승연;고홍;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2호
    • /
    • pp.169-175
    • /
    • 2006
  • 목 적: 상부위장관 내시경은 위장관계 질환을 검사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검사이나, 소아에서는 검사에 따른 불안과 불편감으로 시행에 어려움이 많다. 최근에 midazolam 등의 진정제 투여로 이런 것들을 상당부분 개선하고 있다. 저자들은 midazolam 투여시 소아의 활력징후 변화를 측정하여 약제투여의 안전성과 진정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8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에 내원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받은 244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midazolam 투여군과 비투여군에서 검사 전과 검사 도중의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의식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midazolam 투여군과 비투여군 사이에 생명 활력 징후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내시경검사 시 투여된 midazolam의 용량과 의식상태 및 산소포화도 변화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산소포화도는 비투여 및 투여군 양 군에서 검사 전보다 검사 도중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양 군 모두에서 산소포화도는 95% 이상으로 유지되어 임상적 의미는 없었다. 심박동수는 비투여 및 투여군 모두에서 검사 전보다 검사 도중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p<0.01), 양 군 간의 심박동수 증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투여 용량의 증량에도 진정효과가 더 잘 유도되지 못했으며 대부분의 환아가(76.1%) alert한 의식상태를 유지하여 진정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저용량 midazolam을 투여하였을 때 생명활력징후의 안전성은 확인하였으나, 충분한 진정효과 및 기억 상실 효과를 얻기에는 다소 미흡하였다.

  • PDF

소아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위장관 내시경 소견 (Endoscopic Findings of Children with Henoch-Schonlein Purpura)

  • 이동훈;박철한;박지민;박근수;김흥식;강진무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6호
    • /
    • pp.572-575
    • /
    • 2003
  • 목 적 :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을 관찰하고, 또한 위장관 증상이 있는 환아와 없는 환아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의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9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 중 위장관내시경 검사를 실시한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장관 증상의 유무에 따른 내시경 소견을 비교 관찰하였으며 피부 병변 3일 전부터 퇴원까지의 기간 동안 복통, 구토, 위장관 출혈, 설사 등의 증상을 기록하여 위장관 증상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결 과 :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한 65명 중 위장관 증상이 있던 환아는 53명이었고, 증상이 없는 환아는 12명이었다. 6-10세 연령군이 많았고 위장관 증상은 남아에서 그리고 증상으로는 복통과 구토가 많았다.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한 65명 중 십이지장 점막에 이상 병변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병변의 양상에 따른 빈도는 십이지장염 12명, 위염과 십이지장염 9명, 십이지장미란 6명, 위염 5명, 십이지장궤양 5명, 위궤양 2명, 결장미란 1명의 순으로 관찰되었으며 정상소견은 25명이었다. 증상이 있던 환아 53명 중 38명에서 그리고 증상이 없던 환아 12명 중 2명에서 위장관 내시경 소견상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결 론: 위장관 증상이 있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에서는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병변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었으나 더 많은 예에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소아에서 내시경 검사의 출혈 위험 예측 인자로서 혈액 응고 검사 및 혈소판 검사의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Coagulation Screening Tests and Platelet Counts in Children Undergoing Endoscopy)

  • 이은혜;양혜란;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1호
    • /
    • pp.23-29
    • /
    • 2010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내시경 시술 전 출혈의 위험성을 예측하는 검사로 혈소판과 혈액 응고 검사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 및 입원 환자 중에서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 받은 소아청소년 환자의 의무기록과 혈소판 수치 및 혈액 응고 검사 결과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총 1,476건의 검사 결과, 혈소판 수치가 정상보다 낮은 경우는 1명이었고, PT INR만이 비정상으로 연장된 경우가 25건(1.7%)이었고, aPTT만 연장된 경우가 132건(9%)이었고, 둘 다 연장된 경우가 5건(0.3%)이었다. aPTT 결과가 비정상이었던 경우에 혈액 응고 인자 검사를 시행한 경우가 14건이었고, 이 중 혈액 응고인자 XII 결핍증으로 진단된 경우가 7명, 폰 빌레블란드 병으로 진단된 경우가 1명, 폰 빌레블란드 병과 혈액 응고 인자 XII 결핍증이 동시에 나타난 경우가 1명, 경증의 A형 혈우병이 의심된 경우가 1명이었으며, 나머지 4명은 정상이었다. 혈액 응고 질환으로 진단된 환자를 포함하여 내시경 시술을 받은 모든 소아 환자에서 의미 있는 출혈 합병증이 나타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소아 내시경 사전 검사로 시행하는 혈액 응고검사에서 일부 이상 소견이 확인되더라도 실제 혈액 응고 질환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드물고, 혈액 응고 질환으로 진단된 환자에서조차 내시경 시술에 의한 출혈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내시경 시술 전에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 응고 검사 및 혈소판 검사를 반드시 시행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여겨지며, 출혈 경향을 나타내는 과거력과 가족력이 있는 소아와 이전에 혈액 응고 검사를 한 번도 시행 받지 않았던 영유아 환자에서 내시경 시술 전에 혈액 응고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만삭아에서 발생한 상부위장관 출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Full-Term Infants)

  • 최현주;김재선;윤혜선;배선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64-171
    • /
    • 2005
  • 목 적: 건강한 만삭아로 출생한 신생아에서 상부위장관 출혈의 임상적 특징, 위내시경 소견, 연관된 위험요소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을지의과대학교 을지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토혈 혹은 혈변을 주소로 입원하여 위내시경상 출혈성 위염 또는 궤양으로 진단된 9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산전인자, 모체인자, 분만소견, 내시경 소견, 예후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1) 9명의 환아 중 원내 출생아는 5명(5명/3,734명)으로 발생률은 0.13%였고, 모두 적정체중 만삭아로 출생 시 가사소견은 없었다. 2) 산모들의 병력상 산전에 위염, 소화성 궤양, 제산제 복용 등의 기왕력, 위장관 질환의 가족력은 없었고, 분만과정 중 특이소견 없었다. 3) 토혈, 혈변, 반복되는 구토가 주증상이었으며, 출생 후 $4.4{\pm}3.8$일에 발생하였고, 입원 시 활력증후는 양호하였고, 혈액검사소견도 정상이었다. 내시경 검사상 출혈성 위염이 6예, 위궤양이 3예였다. 4) 모든 환아는 $H_2$ 수용체 차단제 치료와 보존적 치료을 실시하였고, 치료 시작 후 $0.9{\pm}0.3$일 이내에 임상증상은 호전되었다. $H_2$ 수용체 차단제는 $18.6{\pm}5.0$일 치료하였으며 추적관찰상 증상이 재발된 환아는 없어서 추적 내시경은 실시하지 않았다. 결 론: 만삭아에서 출혈을 동반한 상부위장관 점막질환은 대부분 예후가 양호하여 임상증상이 호전된 경우에는 추적 위내시경 검사는 불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