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scopic procedures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1초

A rare case report of Mirizzi syndrome type III treatment algorithm in situs inversus totalis, large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 in a young diabetic patient

  • Raju Badipati;Samali Maity;Muralidharsai Maddasani;Syed Mazhar Galib Ali;Farha Naaz Khatoon;Lakshmi Durga Kasinikota;Kushal Gunturu;Gopu Prameela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2-327
    • /
    • 2023
  • Situs inversus totalis (SIT) is a rare condition in which cardiac and abdominal organs are inverted from their normal left-sided orientation. Mirizzi syndrome, characterized by the obstruction of the common hepatic duct or the common bile duct by gallstone, is a rare condition. Mirizzi syndrome co-occurrence in SIT patients is rare. Gallbladder in sinistroposition is extremely uncommon in SIT patients. We report a known case of diabetes, ventricular septal defect with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in a 32-year-old female who presented with jaundice, cholangitis, chills, and fever that had lasted for 10 days. She was confirmed to have SIT with type III Mirizzi syndrome following a series of diagnostic procedures. Primaril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long with common bile duct stenting was performed to initially reduce cholangitis. After an eight-week follow-up after the reduction of cholangitis, surgery was conducted. Mirror-imaged ports were used for the laparoscopic procedure, and the surgeon was on the patient's right side rather than the usual left side. The patient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following two days of uneventful healing.

Medical Thoracoscopy in Pleural Disease: Experience from a One-Center Study

  • Kim, Soo Jung;Choi, Sun Mi;Lee, Jinwoo;Lee, Chang-Hoon;Lee, Sang-Min;Yim, Jae-Joon;Yoo, Chul-Gyu;Kim, Young Whan;Han, Sung Koo;Park, Young Si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2호
    • /
    • pp.194-200
    • /
    • 2017
  • Background: Medical thoracoscopy (MT) is a minimally invasive, endoscopic procedure for exploration of the pleural cavity under conscious sedation and local anesthesia. MT has been perform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ince February 2014. This paper summarizes the findings and outcomes of MT cases at this hospital. Methods: Patients who had undergone MT were enrolled in the study. MT was performed by pulmonologists, using both rigid and semi-rigid thoracoscopes. During the procedure, patients were under conscious sedation with fentanyl and midazolam.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or clinical data. Results: From February 2014 to January 2016, 50 procedures (47 cases) were performed (diagnostic MT, 26 cases; therapeutic MT, 24 case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66 years (59-73 years), and 38 patients (80.9%) were male. The median procedure duration from initial incision to insertion of the chest tube was 37 minutes. The median doses of fentanyl and midazolam were $50{\mu}g$ and 5 mg, respectively.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out unexpected events. Of the 26 cases of pleural disease with an unknown cause, 19 were successfully diagnosed using MT. Additionally, diagnostic MT provided clinically useful information in the other six patients. Therapeutic MT was very effective for treatment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or empyema. The median number of days with chest tube drainage was 6 (3 days for diagnostic MT and 8 days for therapeutic MT). Conclusion: MT is a useful and necessary procedure for both diagnosis and treatment of pleural diseases.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 Kim, Sang-W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105-116
    • /
    • 2003
  • 위암은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가장 중요한 암 사망 원인의 한가지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외과적 수술이 위암에 대한 유일한 근치적 치료수단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가능한 한 조기에 발견하여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근치적 수술을 위한 술기의 표준화 및 각 수술 술기의 우열에 대한 논란이 현재까지 그치지 않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한국 및 일본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위암에 대한 수술 치료의 원칙을 기술하고자 한다. 위장 절제술은 위아전절제술과 위전절제술로 대별되며 절제연은 종양의 침윤이 없는 충분한 정상조직을 확보하여야 하고 주변 림프절의 동반절제가 포함되어야 한다. 병변의 상태에 따라 주변장기의 동반절제와 광범위한 림프절 곽청술이 요구되기도 한다. 소화관의 복구는 구조적 혹은 기능적인 면에서 환자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의 선택을 요한다. 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저침습성 혹은 최소한의 절제를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술기들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유문보존 위절제술, 복강경을 이용한 위설상절제 및 위아전절제술, 내시경점막절제술등을 그 예로 들수 있으며, 이러한 시술의 적응증과 안전성은 향후 임상성적의 분석을 통해 정립되어야 한다. 근치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위암환자에서는 환자의 고통감소와 경구적 영양 섭취를 위해서 고식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특히, 진행성 위암에 의한 합병증으로 인해 생명이 위태로운 경우에는 응급수술이 요구되기도 한다. 진행성 위암은 수술적 치료를 하더라도 예후가 불량하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최근, 한국에서는 상부 위장관에 대한 내시경 시술의 보편화로 전체 위암에서 조기위암이 차지하는 비율이 향상되고 있으며, 적절한 근치적 수술을 통해 위암의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다.

  • PDF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수술 31예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31 Cases)

  • 성숙환;김관민;김주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468-473
    • /
    • 1993
  • 연구배경 : 최근의 비디오 영상기술, 내시경 수술기구 및 내시경 수술기법의 눈부신 발달에 힘입어 흉강경의 영역이 단순한 늑막질환 진단에서 여러가지 흉부질환의 치료 방법으로 넓어졌다. 비디오 흉강경 수술(VATS) 방법은 3년전에 개발된 새롭고 가히 매력적이라 할 만한 흉부질환 수술방법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도 1992년 7월에 도입하여서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여러가지 임상경험을 하였기에 그 결과를 분석한다. 방법 : 1992년 7월부터 1993년 4월까지 10개월간 30명 환자에게 31예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을 시행하였다. 폐기포 절제술이 18명(19예), 종격동 종양 절제술이 4예, 폐실질 폐조직 생검 3예, 늑막생검 3예, 늑막종괴제거술 1예 그리고 늑막심낭창형성술 1예였다. 결과 : 사망예는 없으며 8예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장기간공기누출이 3예, 장기간 늑막액 유출이 2예, 기흉재발 1예, 호너씨 증후군 1예, 애성 1예였다. 31예 모두 비디오흉강경 자체로 수술을 완료하였다. 합병증이 없었던 자연기흉 환자들의 술후 입원기간은 5일정도로 평상적인 개흉술로 수술받은 환자보다 입원기간이 약간 짧았다. 결론 : 비록 비디오 흉강경 수술은 초기단계라서 비교적 술후 합병증 빈도가 높았지만 이러한 술식이 통증감소, 입원기간단축, 빠른 회복, 미용적으로 우수한 작은 수술 상처 등의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 있어 환자들에게 매우 유익하다고 확신한다. 비디오 흉강경수술의 영역은 앞으로 흉곽내 여러가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고 심지어 심장병질환에도 응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Potential Applicability of Local Resection With Prophylactic Left Gastric Artery Basin Dissection for Early-Stage Gastric Cancer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 Akashi, Yoshimasa;Ogawa, Koichi;Hisakura, Katsuji;Enomoto, Tsuyoshi;Ohara, Yusuke;Owada, Yohei;Hashimoto, Shinji;Takahashi, Kazuhiro;Shimomura, Osamu;Doi, Manami;Miyazaki, Yoshihiro;Furuya, Kinji;Moue, Shoko;Oda, Tatsuya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3호
    • /
    • pp.184-196
    • /
    • 2022
  • Purpose: Total or proximal gastrectomy of the upper-third early gastric cancer (u-EGC) often causes severe post-gastrectomy syndrome, suggesting that these procedures are extremely invasive for patients without pathologically positive lymph node (LN) metastasi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stomach function-preserving surgery, local resection (LR), with prophylactic left gastric artery (LGA)-basin dissection (LGA-BD).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of patients with u-EGC (pathologically diagnosed as T1)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otal gastrectomy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proximal gastrectomy in 45, and subtotal gastrectomy in 6; the LN status was evaluated assuming that the patients had already underwent LR + LGA-BD. This procedure was considered feasible in patients without LN metastases or in patients with cancer in the LGA bas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results was also evaluated using an external validation dataset. Results: Of the 82 eligible patients, 79 (96.3%) were cured after undergoing LR + LGA-BD, 74 (90.2%) were pathologically negative for LN metastases, and 5 (6.1%) had LN metastases, but these findings were only observed in the LGA basin. Similarly, of the 406 eligible tumors in the validation dataset, 396 (97.5%) were potentially curative. Tumors in the lesser curvature, post-endoscopic resection status, and small tumors (<20 mm) were considered to be stronger indicators of LR + LGA-BD as all subpopulation cases met our feasibility criteria. Conclusions: More than 95% of the patients with u-EGC might be eligible for LR + LGA-BD. This function-preserving procedure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EGC without pathological LN metastases, especially for tumors located at the lesser curvature.

내시경적 경접형동 접근술에 의한 뇌하수체 종양의 수술 (Endoscopy Assisted Transsphenoidal Surgery for Pituitary Tumors)

  • 안영상;전영일;안재성;전상룡;김정훈;나영신;노성우;김창진;권양;임승철;이정교;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5호
    • /
    • pp.586-591
    • /
    • 2001
  • Objective : Transseptal or sublabial transsphenoidal surgery has been standard teatment for pituitary tumors for decades. However, as an alternative to this surgery endonasal endoscopic technique has been reported with encouraging results. We have started endoscopy-assisted transsphednoidal surgery from May 1998.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methods, outcom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this surgical approach for the purpose of planning optimal treatment of pituitary tumors. Methods : This study consisits of 13 cases of pituitary tumors who were treated by endoscopy-assisted transsphenoidal surgery using one nostril from May 1998 to July 1999. Mean follow up period was 12.9 months. Results : There was no septal or sublabial incision and little surgical damage to nasal structure. With this technique, rapid surgical approach and short hospital day were possible, being 3-6 days in patients without CSF leakage. Using various angled endoscope, good surgical view was obtained. Initially it was difficult to use various instruments in narrow nasal cavity, but became feasible after several procedures. Among 13 cases, total removal was possible in 11 cases. One of two cases in whom tumor was incompletely removed underwent gamma-knife radiosurgery and second underwent reoperation through subfrontal approach. There were 6 cases of hormone secreting tumors and hormonal remission was achived in all of these cas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CSF leakage(6 cases), diabetes insipidus(2 cases) and panhypopituitarysm(1 case). Lumbar drainage was done in all cases of CSF leakage. Conclusion : The advantage of endoscopy-assisted transsphenoidal surgery are rapid surgical approach, low postoperative morbidity, short hospital day and good surgical view. The disadvantage of this appoach are difficulty in manupulating various instruments in narrow nostril and difficulty in distance perception but these problems can be overcome by practice and using stereoscopic endoscope.

  • PDF

경피경간 담도내시경술 이후에 발병한 담즙흉 1예 (A Case of Cholethorax following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y)

  • 박찬성;이순정;도기원;오쌍용;조현;김민수;홍일기;방성조;제갈양진;안종준;서광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2호
    • /
    • pp.131-136
    • /
    • 2008
  • 담즙흉은 담도 또는 담낭과 흉강 사이에 형성된 누공을 통해 담즙이 흉강으로 누출되어 흉수의 형태로 관찰되는 흉막염의 일종으로, 주로 흉강-복부 외상과 관련된 매우 드문 합병증이며 그동안 국내에는 담즙흉에 대한 문헌보고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외상 후 흉막성 흉통과 호흡곤란을 호소하였고 담도결석 제거를 위한 경피경간담도내시경술 이후에 흉수가 발생한 환자에서 담즙흉으로 진단된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적 고찰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 박성수;류근원;송태진;목영재;김종석;김승주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3호
    • /
    • pp.150-154
    • /
    • 2001
  • Purpose: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s were found in $6.9\∼11.7\%$ of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and to investigate treatment strategy for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Of 967 patients with an gastric adenocarcinoma who were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during the period of $1993\∼1998$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67 patients had early gastric cancer.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clinicopathologic differences between the main and the accessory lesions in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was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between solitary early gastric cancer and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Results: Of 267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s were found in 12 patients ($4.5\%$), including 10 men and 2 women. Eleven patients with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had one accessory lesion and 1 patient had 2 accessory lesions. Of the 13 accessory lesions, 7 ($53.8\%$) were located in the same region as the main lesion. The most frequent combination of macroscopic types for the main lesion and the accessory lesion were depressed and depressed types (6 cases, $46.1\%$). The most frequent histologic type of main lesion was a well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in 7 ($58.3\%$) of the 12 cases; the accessory lesion was also well differentiated in 4 of those 7 cases. Of the 13 accessory lesions, 4 ($30.8\%$) had been overlooked preoperatively; most of them were located in the lower third of the stomach and were IIb or IIc type and measured less than 1 cm in diameter. Lymph node metastasis was detected in 1 patient ($8.3\%$).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solitary early gastric cancer. Conclusion: In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the main and the accessory lesions showed similar differentiat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was less frequent than in solitary early gastric cancer. Therefore, limited procedures, including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may be indicated if each lesion of the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fits the criteria for treatment strategy.

  • PDF

하지정맥류의 투시조명하 전동형 정맥류 수술법 (Transilluminated Powered Phlebectomy for Varicose Vein)

  • 신화균;원용순;송철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11-614
    • /
    • 2001
  • 배경: 하지정맥류의 새로운 수술법중의 하나인 투시조명하 정맥류수술법의 효과 및 안정성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순천향대학교부석 부천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을 시행 받은 8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병력 및 수술시간, 절개창 및 술 후 통증 정도, 합병증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 환자들의 연령은 평균 45.5세(범위, 25세-78세)였으며, 남자가 32명 여자가 51명으로 여자가 많았다. 103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한쪽인 경우가 63예, 양측인 경우가 20예였다. 평균수술시간은 한쪽 하지당 35.5분이었고 수술창은 한쪽 하지당 서혜부수술창을 제외하고 평균 2.7개이었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혈종생성이 3예, 부종이 2예, 남겨진 정맥류가 2예였다. 술 후 통증 점수(통증이 없으면 1점, 아주 심각한 통증이 있으면 10점)는 수술당일은 평균 2.4점이었고 수술 후 3일째는 2점, 1개월 이후는 1점이었다. 결론: 투시조명하 정맥류 수술법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미용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치료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 PDF

자연기흉에 대한 비디오흉강경수술후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Facters Affecting Recurrence after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Spontaneous Pneumothotax)

  • 이송암;김광택;이일현;백만종;최영호;이인성;김형묵;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48-455
    • /
    • 1999
  • 배경: 비디오흉강경수술은 최근 기기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많은 흉부 질환에 적용되고 있으며, 자연기흉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개흉술에 비해 높은 재발율이 문제점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수술후 재발에 대한 장기 추적관찰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고대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비디오흉강경이 도입된 1992년 3월부터 1997년 3월까지 288명의 자연기흉 환자에 대해서 292례의 비디오흉강경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추적 관찰한 결과와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를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개흉술로의 전환례 8례는 제외하였다. 결과: 남자 249명(88.9%), 여자 31명(11.1%)이었으며, 나이는 평균 28.1 12.2세(15~69세)였다. 원발성 자연기흉이 237명(83.5%), 이차성 자연기흉이 47명(16.5%)였으며 이차성 자연기흉 중에서는 결핵성이 27명(57.5%)으로 가장 많았다. 수술 적응증으로는 동측 재발성 기흉이 123명(43.9%)과 지속적 공기누출 53명(18.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외 흉부촬영상 폐기포가 존재한 경우 40명(14.3%), 긴장성 기흉 30명(10.7%), 반대측 기흉 21명(7.5%), 양측성 기흉 3명(1.1%),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2명(0.7%), 그리고 환자나 보호자가 원한 경우가 8명(2.9%)이였다. 흉강경수술시 폐기포가 관찰된 경우 247례(87%)였다. 244례(85.9%)에서 폐기포절제술이 시행되었다. 평균 수술시간은 52.8 23.1분(20~165분)이었다. 술후 합병증으로 5일 이상 공기누출이 16례이었으며, 이중 4례에서 재수술이 필요하였으며 전례에서 폐기포가 다시 발견되었다(100%, 4/4). 출혈이 5례 있었으며 이중 3례에서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그외 무기폐 2례, 농흉 5례, 창상감염 1례가 병발되었으며 술후 사망례는 없었다. 평균 흉관거치기간은 5.0 4.5일(2~37일), 평균 입원일은 8.2 5.5\ulcorner(3~43일)이었다. 평균 22.3 18.4개월(1~65개월)의 추적 관찰기간 동안 12례가 누락됐으며(4.2%), 24례(8.5%,)가 재발하였다. 이중 7명의 경우 재수술이 필요하였으며 6례에서 폐기포가 재발견되었다(85.7%, 6/7). 12개의 요인(나이, 성별, 기흉의 위치, 기흉의 정도, 원인질환 유무, 수술 적응증, 폐기포의 수, 폐기포의 크기, 폐기포의 위치, 폐기포절제 유무, 흉막유착술 방법, 술후 지속성 공기누출 유무)가 재발에 관여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원인질환 유무, 흉막유착술 방법과 술후 지속성 공기누출 유무가 재발에 관여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차성인 경우가 원발성인 경우보다 재발율이 높았고[17.0%(8/47) : 6.8% (16/237), p=0.038], 술후 지속적 공기누출이 있었던 경우 재발율이 높았으며[37.5%(6/16) : 6.7%(18/268), p=0.001], 기계적 흉막유착술이 흉막절제술보다 재발율이 높았다[11.4%(19/167) : 4.3%(5/117), p=0.034]. 폐기포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하지않은 경우보다 재발율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와 이차성 자연기흉에 대해서는 흉막유착술에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흉강경수술은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짧고, 사회로의 복귀가 빠르며, 고위험군에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미용상의 이점이 크다는 면에서 자연기흉에 대해 유용한 치료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개흉술에 비해 재발율이 높고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더 세심한 주의와 장기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