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metrium Cancer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6초

체외 배양된 자궁내막세포에서의 DOC-1 유전자의 발현 조절 (In Vitro Regulation of DOC-1 Gene Expression in Uterine Endometrial Cells)

  • 양혜영;전용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297-303
    • /
    • 2009
  • 포배의 착상은 구조 및 기능적으로 준비된 자궁내막의 체계적 반응에 의하여 진행되는데, 자궁 내막에서 엄격히 통제된 급격한 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진행된다. 구강 상피세포암의 억제자로 알려진 Doc-1이 자궁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하여 발현되며 세포 증식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그 정확한 발현 변화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외에서 탈락막 반응 모델 확립을 통하여 세포의 증식과 분화 진행과정에서 Doc-1의 발현 조절기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쥐 자궁내막을 이용한 탈락막 반응은 기질세포를 순수하게 분리하여 배양하면서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을 함유한 유도 배양액으로 유도하였다. 탈락막 유도 과정에서 배양 24시간까지 세포의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그 후에는 감소하였다. 한편, 탈락막 세포로의 분화는 분화 유도 48시간에 거의 모든 세포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Doc-1 단백질의 발현이 분화 유도 시간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탈락막 세포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착상이 진행되는 자궁내막에서 Doc-1의 발현이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탈락막 분화와 연계되어 조절되고, Doc-1 단백질이 탈락막 세포의 세포분열 억제를 유도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 PDF

타목시펜 사용과 연관되어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 자궁내막폴립 1예 (A Case of Tamoxifen-Associated Rapid Growing and Multiple Endometrial Polyps)

  • 이희준;김훈;구승엽;한원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73-179
    • /
    • 2010
  • 유방암의 치료는 수술, 항암치료 및 방사선 치료 등의 주 치료법이 있으며, 유방암 환자에서 주 치료 후 보조적 치료 수단으로 호르몬 치료가 사용된다. 이 호르몬 치료에는 타목시펜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타목시펜은 체내에서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보여 유방암 치료에 도움을 주며 유방암의 재발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타목시펜의 부작용 또한 여러 가지가 있으며 문헌에 보고된 것으로는 자궁내막폴립,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도 유방암으로 수술 치료를 시행 받은 후 보조적 치료로서 호르몬 제제인 타목시펜을 사용하여 왔으며 이러한 환자들은 모두 외과와 협진하여 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하고 있다. 최근에 본원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 중인 타목시펜 사용 환자 중에서, 호르몬 치료 시작 3개월 후의 단기간 내에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타목시펜의 부작용으로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유방암 수술 후 보조적 치료로 타목시펜을 사용한 환자들 중 우연히 발견된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페경기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의 지질대사 및 골밀도에 대한 효과: 지속적 요법과 순차적 요법의 비교 (Efficacy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Lipid Profil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Continuous vs. Sequential Treatment)

  • 이창연;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1-106
    • /
    • 2000
  • Menopausal women experience urogenitory and vasomotor symptoms with increased risk of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which can be reduced by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owever unopposed estrogen therapy has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endometrial hypeiplasia or canc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effects of continuous vs. sequenti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on lipid profile, bone mineral density and menopausal symptoms of postmenopausal women and to assess how they perceive the menopause and HRT culturally.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omen in menopause longer than 6 months, normal in the mam-mogram and Papanicolaou smear, cholesterol level lower than 190 mg/dL or triglyceride level lower 4han 500 mg/dL were treated with Srogen (conjugated equine estrogen 0.625 mg tablet) and Provera (medroxyprogesterone acetate 2.5 mg tablet) for continuous treatment(CT) or Cycloprogynova (Estradiol valerate 2 mg and Norgestrel 0.5 mg complex tablet) for sequential treatment(ST). They were evaluated for lipid profile, bone mineral density, menopausal symptoms, side effects and their perception of menopause and HRT. As results, total sixty-seven patients out of ninety-four enrollees were included in final analysis (33 in continuous therapy, 34 in sequential therapy).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 ($15.04\pm3.17$, p=0.0001), LDL ($19.72\pm3.27$, p=0.0001), and increase in HDL ($5.89\pm1.63$, p=0.0001). Bone minora) densit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HRT ($0.02\pm0.11$, p=0.0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of lipid profile between continuous and sequential therapy: Total cholesterol, $13.12\pm4.7\;vs.\;16.91\pm4.3;\;LDL\;20.53\pm4.1\;vs.\;18.93\pm5.12:HDL\;7.15\pm2.3\;vs.\;4.67\pm2.2,\;p>0.05$. Incidences of flush reduced from $75\%\;(CT)\;to\;3.13\%\;and\;71.88\%\;(ST)\;to\;9.35\%$. The change of endometrium and breast were found 3 (CT) and 5 (ST) women, respectively. Most of women recognized that HRT is necessary $(70\%)$ for postmenopausal period but did not understand well the cardiovascular protective effect. In conclusio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lipid profile, bone mineral density and menopausal symptoms in both continuous and sequential treatments with similar effica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