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crine disrupter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5초

Phenoxy계 화합물의 내분비장애작용 검색 및 기전연구 (Mechanism of Phenoxy Compounds as an Endocrine Disrupter)

  • 김현정;김원대;권택헌;김동현;박영인;동미숙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331-339
    • /
    • 2002
  • Phenoxy compounds, 2,4-Dichlorophenol acetoxy acid (2,4-D) and 2,4-dichlorophenol (DCP), are widely used as a hormonal herbicide and intermediate for pesticide manufacturing, respectively. In order to assess the potential of these compounds as endocrine disruptors, we studied the androgenicity of them wing in vivo and in vitro androgenicity assay system. Administration of 2,4-D (50 mg/kg/day, p.o.) or DCP (100 mg/kg/day, p.o.) to rats caused an increase in the tissue weight of ventral prostate, Cowpers gland and glands penis. These increase of androgen-dependent tissues were additively potentiated when rats were simultaneously treated with low dose of testosterone (1 g/kg, s.c.). 2,4-D increased about 350% of the luciferase activity in the PC cells transiently cotransfected phAR and pMMTV-Luc at concentration of $10^{-9}$ M. In 2,4-D or DCP-treated castrated rats, testosterone 6$\beta$-hydroxyl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modulated even when rats were co-treated with testosterone. In vitro incubation of 2,4-D and DCP with microsomes at 50 $\mu$M inhibited testosterone 6$\beta$-hydroxylase activity about 27% and 66% in rat liver microsomes, about 44% and 54% in human liver microsomes and about 50% and 45% in recombinant CYP3A4 system, respectively. The amounts of total testosterone metabolites were reduced about 33% and 75% in rat liver microsomes, 69% and 73% in human liver microsomes and 54% and 64% in recombinant CYP3A4 by 2,4-D or DCP, respectively. Therefore, the additive androgenic effect of 2,4-D or DCP by the co-administration of the low dose of testosterone may be due to the increased plasma level of testosterone by inhibiting the cytochrome P450-mediated metabolism of testosterone. Thes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ed that 2,4-D and DCP may act as androgenic endocrine disrupter by binding to the androgen receptor as well as by inhibiting the metabolism of testosterone.

물벼룩을 이용한 bisphenol A의 급성독성 평가 (Acute Toxicity of Bisphenol A to the Crustacean Daphnia magna)

  • 황갑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2-396
    • /
    • 2007
  • Aquatic ecotoxicity of bisphenol A, a well-known endocrine disrupter in mammals, was studied using laboratory-reared Daphnia magna as a test organism. The static acute 48 h $EC_{50}$ of bisphenol A for daphnid neonates(<24 hold) was 12.9 mg/l and 110 h $LC_{50}$ values of bisphenol A for daphnid embryos of different ages after deposition into the brood chamber increase with ages in the range of 1.55 mg/l-8.91 mg/l. Also, 48 h $EC_{50}s$ generally increase with daphnid's ages in the range of 12.9 mg/l-19.8 mg/l. In the acute toxicity tests using mature daphnids, the lethal response and immobility all showed good concentration-response relationship with exposure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 showing little difference between lethality and immobility. These results clarify that acute toxicity tests, using daphnid and its embryo, could also be useful tools easily available for the assessment of ecotoxicity of various harmful chemicals.

광양만 퇴적물에서의 에스트로겐 활성분포 특성 (Distributive Characterization of Estrogenic Activity in Sediments from Gwangyang Bay, Korea)

  • 한상국;박지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6-92
    • /
    • 2007
  • 본 연구는 E-screen assay를 이용해서 광양만 연안해역 퇴적물의 에스트로겐 활성분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화학분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장 높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인 지점은 산업단지와 섬진강 유입구에 인접한 G6, G8 이었다. E-screen assay로 얻어진 이러한 결과는 다성분 동시분석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특히 GY6, GY8 지점의 RPE는 90% 이상으로 강한 에스트로겐 작용을 나타내어 full agonist 지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지점은 EEQ가 각각 35.6 ng/g, 14.6 ng/g로 타 지점에 비해 낮아 에스트로겐 활성 효능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산업단지와 섬진강 유역에 인접한 지점들을 광양만 연안 해역의 내분비계 교란 물질의 유입원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에스트로겐 활성도와 화학오염물질과의 비교결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내분비교란물질인 Nonylphenol과 DEHP(Di-(2ethylhexyl)phatalate)가 줄지렁이(Eisenia fetida)의 산란 및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docrine disrupter, Nonylphenol and DEHP(Di-(2ethylhexyl)phatalate) on the cocoon production and the hatchability of Eisenia fetida (Ennelida: Oligochaeta))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2호
    • /
    • pp.89-95
    • /
    • 2012
  •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진 Nonylphenol과 DEHP가 줄지렁이의 산란수, 부화율, 난포당 부화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포천시 소재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한 하수슬러지내에 포함된 두 물질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Nonylphenol 농도 100 mg $kg^{-1}$이하인 먹이에서는 Nonylphenol이 줄지렁이의 산란수, 부화율, 난포당 부화개체수의 감소를 유발하지 않았다. DEHP 농도 1,500 mg $kg^{-1}$ 이상인 먹이에서는 DEHP가 줄지렁이의 산란수를 감소시켰으며, 농도 2,500 mg $kg^{-1}$ 이상에서는 DEHP가 난포의 부화율을 감소시켰다. 포천지역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에서 Nonylphenol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DEHP는 최대 1,640mg $kg^{-1}$ 이 검출되어 하수슬러지를 줄지렁이게 급이 할 경우 DEHP에 의한 줄지렁이 개체군 소멸 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남해 연안 해역에 있어서 미량유기오염물질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Assessment of Micropollutant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한상국;박지영;이종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13-219
    • /
    • 2005
  • 본 연구는 310종 다성분 동시분석 법을 활용하여 남해 연안 해역 중 광양만, 여자만, 가막만에서의 미량유기오염물질에 의한 오염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채수지점에서 검출된 주요 미량유기오염물질은 aliphatic, polycyclic compounds 와 같은 CH기의 화학물질과 aromatic ammines, nitro compounds와 같은 CHN(O)기의 화학적 구조를 갖는 물질이었다. 미량유기오염물질의 농도는 겨울철보다는 여름철에 높게 나타났으나 검출된 물질 종수와 계절적 상관성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남해 연안 해역에서 검출된 농약의 총량은 $ND{\sim}9.11$ 이었으며 광양만과 가막만에서 살충제와 제초제의 검출이 집중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남해 연안 해역에서 환경호르몬성 물질은 총 6종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남해연안해역의 주요오염인자는 살충제와 제초제, 그리고 수종의 환경호르몬성 물질로 판단된다.

  • PDF

출생 전.후 뇌의 성분화 결정시기에 DDT에 의한 KAP3 유전자 조절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Regulation of KAP3 Gene Involved in the Brain Sexual Differentiation by DDT during the Critical Period of Fetal and Neonatal Age)

  • 강한승;전부일;최은정;이병주;이채관;강성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95-100
    • /
    • 2000
  • 환경에 방출되어 있는 많은 내분비교란물질들은 사람과 동물의 내분비계에 교란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뇌의 성분화는 생식소 호르몬 영향하에 비가역적으로 진행되며 흰쥐의 경우 이 시기는 임신말기에서 생후 7∼10일 가량이다. 최근에 본 연구진은 횐쥐의 뇌 성 분화의 결정적인 시기에 발현되는 KAP3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Choi & Lee, 1999). KAP3의 기능은 신경세포를 포함한 세포에서 aronal tansport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 뇌 발생의 결정적인 시기에 내분비 교란물질인 Dichlorodiphenyl trichloroethane (DDT)가 KAP3유전자 발현과 성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DDT에 노출된 임신 17일된 흰쥐 태아 암컷과 수컷의 뇌에서 KAP3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출생후 DDT에 노출된 흰쥐 암컷과 수컷의 뇌에서는 KAP3 mRNA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또한 태어난 직후 DDT에 노출된 경우 체중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수정율도 DDT에 노출되지 않은 흰쥐에 비하여 크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내분비 교란물질인 DDT가 뇌의 성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인 KAP3의 전사에 영향을 미치며, 내분비 교란물질에 노출된 태아의 뇌 분화에서 독성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KAP3유전자는 동물의 신경세포의 발생에 미치는 내분비 교란 물질의 독성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유전자 지표로도 사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PDF

비스페놀 A를 함유하지 않은 치과용 신규 프리폴리머의 합성 및 유기 매트릭스의 제조 (Synthesis of Novel Prepolymers Containing No Bisphenol A and Preparation of Organic Matrices for Dental Applications)

  • 손준식;이기백;박귀덕;김재진;안광덕;김중현;한동근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38-544
    • /
    • 2006
  • 치과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환경호르몬으로 추정되는 비스페놀 A를 함유한 2,2-bis[4- (2'-hydroxy-3'-methacryloyloxypropoxy)phenyl]propane(Bis-GMA)을 대체할 수 있는 화학적 구조가 Bis-GMA와 유사한 2종류의 신규 2관능성 methacrylated prepolymer인 170-2MA와 631-2MA를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pre-polymer를 희석제와 다른 단량체를 혼합하여 새로운 치과용 유기 매트릭스를 제조하였으며, 신규 prepolymer치 수율과 점도 및 화학적 구조와 유기 매트릭스의 물리적 및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비스페놀 A를 함유하지 않은 2종류의 에폭시 화합물과 methacrylic acid의 개환반응에 의해서 각각 methacrylation하여 합성된 prepolymer는 90% 이상의 높은 반응 수율을 보였으며 control인 Bis-GMA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를 보였다. 또한 합성된 methacrylated prepolymer는 Bis-GMA와 유사한 화학적 구조임을 $^1H-NMR$과 FTIR 분석결과로부터 확인하였다. 2종류의 합성 prepolymer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 매트릭스의 경화시간, 중합 수축률, 광전환율, 중합깊이 및 압축강도는 control인 Bis-GMA를 함유한 것에 비해서 비슷하거나 약간 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합성한 비스페놀 A를 함유하지 않은 170-2MA와 631-2MA prepolymer는 현재 사용중인 Bis-GMA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치과용 고분자재료로 충분히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OCTYLPHENOL ON THE TCDD STIMULATED CYP1A1 EXPRESSION

  • Joung, Ki-Eun;Kim, Yeo-Woon;Sheen, Yhun-Yhong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Signal transduction in Toxicology
    • /
    • pp.129-129
    • /
    • 2001
  • Alkylphenol ethoxylates have been used extensively as nonionic surfactants in industrial processing, household and institutional cleaning products. They are apparently degraded microbially to alkylphenol. Alkylphenol has been shown to possess estrogenic properties and, therefore, is an 'endocrine disrupter' that has significantly influence on sexual and reproductive development.(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