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carditis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5초

대동맥판막질환의 임상적 고찰 -판막병리 및 임상성적에 대하여- (Isolated aortic valvular heart disease : analysis of etiology and surgical experience)

  • 이승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300-308
    • /
    • 1987
  • Clinical and pathologic data were reviewed in 20 patients who had have surgery for isolated aortic valvular heart disease between April 1978 and April, 1987. Hospital mortality was 10%, with no additional late mortality during a mean follow-up period of 24.1 months. Prosthetic valve failure developed in 3 patients and two had reoperation. Niety four percent of the survivors who were in NYHA Funtional class III or IV before operation are now in class I or II. Ninety percent of all patients are still alive at a maximum follow up of 9 years. The clinical histories, gross and histologic examination of valves estabilished the causes for isolated aortic valve disease: 3 rheumatic, 2 congenital bicuspid, 2 hypertention, 2 aortitis and each one case of floppy valve, medial cystic necrosis of aorta, bacterial endocarditis. But etiology was unknown in 8 cases. Sixteen patietns had myxoid degeneration, defined as significant disruption of the valve fibrosa and its replacement by acid mucosaccharides and cystic changes. Myxoid degeneration was also the primary pathologic abnormality in the patients with 2 hypertention, 2 rheumatic, 1 aortitis, 1 bacterial endocarditis, 1 floppy valve, 1 congenital bicuspid. The patients with myxoid degeneration of uncertain origin were 8. Histologic finding of all of them revealed nonspecific patients with myxoid degeneration of uncertain orgin were 8. Histologic finding of all of them revealed nonspecific chronic valvulitis with myxoid degeneration. This finding may indicate that the etiology w uld be infectious.

  • PDF

다중판막 치환술의 임상 성적 (Clinical Experience of Multiple Valve Replacement)

  • 최순호;이삼윤;김형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4호
    • /
    • pp.346-354
    • /
    • 1995
  • Records of 71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received multiple valve replacement were reviewed[34male,37female,mean age 40.5$\pm$11.2 <14-63> . The early death rate was 2.8%[2/71 . A completed follow-up rate of 95.7% was accomplished in these 69 patients who left hospital[mean 42.5 $\pm$29.5 patients-years . Five of these patients died. The late death rate was 7.2%. Four patients experienced anticoagulant-related hemorrhage[all were minor . One patient had a thromboembolic episode[permanent ,and 2 had late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There was no clinical evidence of hemolysis and structural failure of valves used. Of those patients who survived,NYHA functional class improved significantly[from 87.2% class III & IV before to 95.8% class I & II after . Linearized rates for thromboembolism and anticoagulant-related hemorrhage,and for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were 0.67%/100 patient-years,2.95%/100 patient-years,1.34%/100 patient-years, respectively. The actuarial estimates of incidence free of all complications and valve-related deaths were 92.2%/patient-years.Despites the advanced heart disease involving two or more native valves, the patients who had multiple valve replacement had very good results, over a 9-year period.

  • PDF

Open Surgical Repair Using the Femoral Vein for a Mycotic Superior Mesenteric Artery Aneurysm

  • Namkoong, Min;Hong, Seok Beom;Kim, Hwan Wook;Jo, Keon Hyon;Kim, Jang Y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1권3호
    • /
    • pp.209-212
    • /
    • 2018
  • Superior mesenteric artery (SMA) aneurysms are rare and often fatal. A 72-year-old man had previously been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with epigastric pain and heart murmur. The echocardiographic diagnosis was vegetation on the aortic and mitral valves, with moderate regurgitation from both valves due to infective endocarditis. No aneurysm was detected o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nd emergency double-valve replacement was performed. On postoperative day 25, the patient experienced abrupt abdominal pain, and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mycotic SMA aneurysm. Open surgical repair of the SMA aneurysm was performed using the femoral vein, and the patient's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Multiple Hypercoagulability Disorders at Presentation of Non-Small-Cell Lung Cancer

  • Lee, Jeong Min;Lim, Jun Hyeok;Kim, Jung-Soo;Park, Ji Sun;Memon, Azra;Lee, Seul-Ki;Nam, Hae-Seong;Cho, Jae-Hwa;Kwak, Seung-Min;Lee, Hong Lyeol;Kim, Hyun-Jung;Hong, Geun-Jeong;Ryu, Jeong-Se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1호
    • /
    • pp.34-37
    • /
    • 2014
  • Hypercoagulability disorders are commonly encountered in clinical situations in patients with a variety of cancers. However, several hypercoagulability disorders presenting as first symptoms or signs in cancer patients have rarely been reported. We herein described a case of a woman with adenocarcinoma of the lung presenting with deep vein thrombosis, nonbacterial thrombotic endocarditis, recurrent cerebral embolic infarction, and heart failure.

활동성 심내막염에 대한 조기 수술의 단기 성적 (Short-Term Results of Early Surgery for Active Infective Endocarditis)

  • 성기익;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792-798
    • /
    • 2002
  • 활동성 심내막염의 외과적 치료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조기 수술에 대한 좋은 보고들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활동성 심내막염에 대한 수술 결과를 수술 전 항생제 사용기간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3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활동성 심내막염으로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 받은 환자 51명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남녀 성비는 39 : 12였고, 평균 연령은 44.5$\pm$17.8세(범위 13~74세)였다. 감염된 판막은 승모판막이 17례(33.3%), 대동맥판막이 15례(29.4%), 승모판막 및 대동맥 판막이 12례(23.5%), 삼첨판막이 5례(9.8%)였다. 그 중 인공판막 심내막염이 10례(19.6%)였다. 감염 균주는 포도상구균이 19례(37.3%), 연쇄상구균이 17례(33.3%), 장내구균이 3례(5.9%), 진균이 3례(5.9%), 기타균이 5례(9.8%), 균주가 동정되지 않은 경우가 6례(11.8%)였으며, 4례(7.8%)에서는 2가지 균주가 동정되었다. 이 환자들을 수술 전 항생제 사용기간에 따라 2군으로(A : 7일 이하, B : 8일 이상) 나누어 두 군간의 수술 성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 A군은 16명이었으며 B군은 35명이었다. 판막륜 재건을 A군에서는 10례(62.5%), B군에서 10례(28.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수술 후 조기 사망은 B에서 1례 있었다. 2명을 제외한 49명(96.1%)의 환자에서 추적관찰이 이루어졌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28.7 $\pm$ 23.6개월로 재발은 A군에서 1례, B군에서 2례 있었다. 만기 사망은 B군에서 3례에서 있었다. 재발률과 생존율 모두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활동성 심내막염에서 조기 수술하는 경우도 수술 전항생제를 충분히 사용한 경우와 비슷한 좋은 결과를 보여 활동성 심내막염의 조기 외과적 치료가 효과적으로 감염을 제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급성 혹은 치유된 심내막염 환자에서의 승모판막성형술 (Mitral Valve Repair for Active and Healed Endocarditis)

  • 백만종;나찬영;오삼세;김웅한;황성욱;이철;강창현;장윤희;조원민;김재현;서홍주;김욱성;이영탁;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1호
    • /
    • pp.820-827
    • /
    • 2003
  • 승모판막폐쇄부전에 대한 판막성형술은 치환술에 비해 많은 장점들이 있다 하지만 심내막염으로 인한 승모판막폐쇄부전에 대한 성형술 결과에 대한 연구보고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4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급성 혹은 치유된 심내막염으로 발생한 승모판막폐쇄부전으로 판막성형술을 받은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남녀비는 9 : 5이었고 평균 연령은 32$\pm$10세였다. 과거에 색전증은 4명에서 있었으며 2명은 급성심내막염 상태에서 수술을 하였다. 승모판막폐쇄부전은 III도가 6명, IV도가 8명 이었다. 시행된 승모판성형술로는 판륜성형술이 12명에서 판첨성형술은 14명에서 시행되었다 한 명은 술후 경식도초음파 검사에서 승모판폐쇄부전이 II도 이상으로 관찰되어 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조기사망은 없었으며 승모판막폐쇄부전은 13명 모두 0-I도를 승모판협착은 13명에서 경도 이하 상태였다. 35$\pm$22개월을 추적조사한 결과 만기사망은 없었다. 승모판막폐쇄부전은 11명(84.6%)에서 0-I도를, 승모판협착은 12명(92.3%)에서 경도 이하 상태였다. 재수술은 한 명(7.1%)에서 수술 47개월 후 승모판 및 대동맥판폐쇄부전으로 이중판막치환술이 필요하였다. 5년 후 승모판막폐쇄부전 재발 및 재수술로부터의 자유도는 각각 91$\pm$9%와 75$\pm$22%였다. 결론: 심내막염으로 인한 심한 승모판막폐쇄부전에서 판막성형술은 양호한 조기 및 중기 생존율과 감염의 재발 없이 현저한 증상 호전을 보이며, 일부 선택된 심내막염성 승모판막폐쇄부전 환자들에서 성형술은 좋은 치료방법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심장판막 치환술후 단기 추적성적 (Four Year Experience with Valve Replacement of Valvular Heart Diseases)

  • 류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6호
    • /
    • pp.1180-1190
    • /
    • 1990
  • 96 patients underwent cardiac valve replacement for valvular heart diseases consecutively between February 1986 to February 1990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The follow up period was between 6 months and 4.5 years postoperatively[mean 23.4$\pm$13.1 months]. 75 cases got mitral valve replacement, 6 cases, aortic valve replacement, 15 cases, double valve replacement. 30[31.2%] patients were male and 66[68.8%] were female and the age ranged from 14 to 66 years old. Early hospital death within 30 days postoperation were 5 patients[5.2%], consisting of by low cardiac output in 2, infective endocarditis in 1, multiple organ failure with sepsis in 1 patient. There was no late postoperative death. Most common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wound disruption [8.7%] and then low cardiac output, pneumothorax, pleural effusion in order. Most common lat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minor bleeding episodes[8.7%] related to anticoagulant therapy which were consisted of frequent epistaxis in 3, gum bleeding in 2, hemorrhagic gastritis in 1, hypermenorrhea in 1, hematoma in right arm in 1 patient. Valve-related complications included valve thrombosis [1.6%/ patient-year], valve failure due to pannus formation[1.1% /patient-year],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1, 1%o/patient-year] and minor anticoagulant hemorrhage[4.4% /patient-year]. 5 cases of reoperations were performed in 4 patients due to valve failure and all of them were in the mitral positions[2.7% /patient-year]. Cardiothoracic ratios in the chest X-ray decreased at the 6th month and 1st year postoperation in all patients. But in New York Heart Association[NYHA] functional class IV, no change in cardiothoracic ratio was found between 6 months and 1 year postoperation. In the echocardiogram, the size of the cardiac chambers decreased, but ejection fraction increased postoperatively in each functional class. In the electrocardiogram, decreases were found in the incidence of atrial fibrillation, left atrial enlargement,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with right bundle branch block increasing postoperatively in each functional class. The actuarial survival rate was 98.4% for all patients, 98.7% for mitral valve replacement, 83.8% for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80% for double valve replacement at the end of a 4.5 year follow up period. Meanwhile the actuarial freedom rate was 91.5% for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91.6% for thromboembolism, 89.0% for prosthetic valve failure and 83.7% for minor anticoagulant hemorrhage. Preoperative NYHA class III and IV were 75% of all patients, but 95% of all patients were up graded to NYHA class I and II postoperatively.

  • PDF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소아와 성인에서 발생한 감염성 심내막염의 비교: 1개 3차 병원의 16년간 경험 (Comparison of Infective Endocarditi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 16-Year, Single Tertiary Care Center Review)

  • 권정은;김여향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3호
    • /
    • pp.209-216
    • /
    • 2016
  • 목적: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소아와 성인에서 발생한 감염성 심내막염의 차이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선천성 심장병이 있으면서 심내막염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 14예와 성인 11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결과: 소아는 모두 심내막염을 진단받기 전에 선천성 심장병을 진단받았고, 팔로사징이 가장 많았다. 성인은 4예만 선천성 심장병을 심내막염 전에 진단받았고, 심실중격결손이 가장 많았다. 심내막염 진단전 소아 6예, 성인 2예가 개심 교정 수술을 받았다. 원인균은 소아에서는 포도알균, 성인에서는 사슬알균이 가장 많았다. 증상 발현 후 심내막염이 진단되기까지 소아는 9일, 성인은 42일이 걸렸다. 결론: 소아 감염성 심내막염은 성인에 비해 진단과 경과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과 치료에는 나이에 맞고, 체계적인 재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판막재치환술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Redo-valve Replacement)

  • 최강주;조광현;김성룡;이상권;전희재;윤영철;이양행;황윤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785-791
    • /
    • 2002
  • 판막재치환술의 결과는 재수술의 위험에 대한 적절한 분석으로 개선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판막 재치환술의 결과를 통해 위험 인자를 분석하여 수술의 결과를 개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6월부터 2001년 8월까지 판막 재치환술을 시행한 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연령은 42 $\pm$ 12세였고 평균 체표면적은 1.52 $\pm$ 0.15 $m^2$였다. 재수술은 승모판막치환술 36예, 다중판막치환술 8예, 그리고 대동맥판막치환술 2예를 시행하였고 첫 판막치환술에서는 승모판막치환술이 43예, 다중판막치환술이 2예, 대동맥판막치환술이 1예였다. 판막 재치환술 후 결과의 예견인자로 분석한 인자들은 성별, 고령(60세 이상), 첫 수술이 30세 미만, 첫 수술과 재수술간의 기간이 15년 이상, 수술 전 NYHA functional class 3 이상, 수술 전 좌심실 구출율 45% 이하, 8시간 이상의 수술시간, 심내막염으로 재치환이 필요한 경우, 병행된 다른 수술의 유무, 신기능 부전 등이었다. 결과 : 사망률은 2예로 4.3% 였다. 수술 후 합병증과 그 외의 좋지 않은 예후와 관련이 있는 위험 인자들은 술전 저심박출증이 있던 경우(p=0.012), 60세 이상의 고령(p=0.045), 심내막염에 의한 재치환술(p=0.023), 8시간 이상의 긴 수술시간(p=0.027)이었다. 수술 사망에 영향을 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없었다. 결론 : 판막 재치환술에서 수술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없었다. 심기능이 나쁜 경우, 고령의 환자, 심내막염으로 인한 재수술에서 이환율을 줄이기 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수술 시간을 단축하려는 노력이 수술 후 결과를 호전시키는 데 도움될 것으로 사료된다.

발살바동맥류 파열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Ruptured Aneurysm of Sinus of Vasalva)

  • 김정택;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607-612
    • /
    • 1997
  • 저자들은 1964년부터 1994년까지 발살바동 동맥류파열로 진단받고 수술받은 53례를 분석하고 추적조사 하였다. 파열된 발살바동은 우관상 발살바동이 43례(81%)로 가장 많았고 무관상 발살바동이 7례(13%), 다발성이 2례있었다. 우관상동에서 발생한 파열은 대부분 우심실로 유출되었고(81.4%), 무관상 발살바동에서 발생한 것은 대부분 우심방으로 유출되었다(71.4%). 수술방법으로는 대동맥과 유출된 심장챔버 양측을 절 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41례(77%)에서는 직접봉합을 12례(23%)에서는 청포를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대동맥판막부전은 26례(49%)에서 동반되었는데 14례에서는 대동맥판 성형술을 10례에서는 대동맥판 치환수술을 하였다. 대동맥판 성형술을 한 14례에서 9년동안 대동맥판쇄부전이 발생하지 않을 빈도는 55%였다.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2례에서 만기사망이 발생하여 10년 생존률은 95%였다. 15례에서 만기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대동맥판 부전이 5례, 조직판막의 구조적실패가 3례, 발살바동의 재파열이 2례였다. 10년동안 만기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53%로 비교적 높았고 심내막염 동반이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결론적 으로 발 移姆옰커\ulcorner\ulcorner외과적 치료는 만족할 만한 단기 및 장기생존율을 보였으나 대동맥판부전 또는 심내 막염과 관련된 경우 만기 합병증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동맥판부전이나 심내막염이 동반되었을 때에는 좀 더 세심한 관찰이 요망된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