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ngered wildlife polic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멸종위기 야생생물 민원 텍스트 마이닝 연구 - LDA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주요 이슈 발굴 - (A Text Mining Study on Endangered Wildlife Complaints - Discovery of Key Issues through LDA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

  • 김나영;남희정;박용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05-220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public on endangered wildlife using complaint big data. We collected 1,203 complaints and their corresponding text data on endangered wildlife, pre-processed them, and constructed a document-term matrix for 1,739 text data. We performed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plaints on endangered wildlife peaked in June-August, and the interest shifted from insects to various endangered wildlife in the living area, such as mammals, birds, and amphibians. In addition, the complaints on endangered wildlife could be categorized into 8 topics and 5 clusters, such as discovery report, habitat protection and response request, information inquiry, investigation and action request, and consultation request. The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for each topic showed that the keywords reflecting the call center reporting procedure, such as photo, send, and take, had high centrality in common, and other keywords such as dung beetle, know, absence and thin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network. Through this analysis, we identified the main keyword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in each topic and derived the main issues for each topic. This study confirmed the increasing and diversifying public interest and complaints on endangered wildlife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professional response. We also suggested developing and extending participatory conservation plans that align with the public's preferences and demand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complaint big data on endangered wildlife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decision-making and public promotion on endangered wildlife.

경기도 내 분포·서식 생물종에 대한 주요 조사의 통합적 분석 및 함의 (Integrated Analysis of Major Surveys on Biota in Gyeonggi Province and its Implications)

  • 박은진;이응경;현진오;박미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3-108
    • /
    • 2014
  • The inventory list of wildlife species inhabiting or distributing in Gyeonggi Province was made by compiling species data from precedent surveys, 10 national level nature surveys, 1 survey that Gyeonggi-do conducted, and 46 local surveys presented in scientific journals. Total 2,913 wildlife species including 2,041 vascular plants, 39 mammals, 304 birds, 34 herptiles, 145 fish, and 350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listed in the inventory. It explains 47% of nationwide total species in vascular plants, 31.5% in mammals, 58.2% in birds, 65.4% in herptiles, 12.2% in fish. The total number of important species including endangered species, national monuments, national red lists, etc. was 628 species, accounting for 21.6% of all listed species in Gyeonggi Province. More than 90% of endangered bird species, almost half of endangered fish and herptile species were found in Gyeonggi Province. In particular, abundant bird diversity and inhabitation of many endangered bird species were identified in Gyeonggi Province. Species diversity was greater in the northern area adjacent to the Demilitarized Zone and the eastern forest area. The distribution of the important species such as national endangered species was more distinct in these areas, especially in Gapyeong and Yeoncheon Counties. The inventory list compiled in this study implicates the level of management for biological resources and can provide information for policy decisions regarding new survey sites, protection management of specific species and areas, management practices by spatial characteristics. It should be more compiled and updated with survey data to be utilized as basic indices for loc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manag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나도승마(Kirengeshoma koreana Nakai) 생태정보 수집 및 서식지 평가 (Ecological Data Collection and Habitat Assessment of Kirengeshoma koreana Nakai)

  • 장래하;김선령;도재화;윤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21-234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bitat assessment system for the endangered wildlife II Kirengeshoma koreana Nakai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based on field survey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rough spatial data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Evaluation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31 variables for 23 K. koreana habitats. Afterwards, the importance and evaluation range for each assessment factor were selected. The selection of survey variables, assessment factors,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assessment range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t each stage. As a result, the assessment factors and importance were 16% for precipitation of the wettest month, 10% for vegetation zone, 12% for vegetation type, 10% for crown canopy vitality, 14% for tree layer coverage, 13% for drainage grade, 12% for soil depth, and 13% for distance to stream including dry stream. This study provides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and a habitat assessment system for K. koreana habitats. Therefore,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preparing an endangered wildlife conservation policy, preparing a habitat improvement plan, and selecting an alternative habitat.

낙동강하구의 생태계 현황과 관리방안 (Current Status of the Ecosystem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Management Plan)

  • 한상욱;조광진;김평범;신해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43-953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etland protection area at tthe Nakdong River through vegetation and biota surveys, which showed that brackish water meets fresh water, a unique ecological environment has been created, biodiversity is high, and diverse habitats are distributed. Eleven plant communities, including four woody communities and seven grass communities, are distributed along the coast, and a total of 514 species, including 11 endangered wildlife specie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species diversity. Among them,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Eulsuk-do area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Barreir Islands areas. The presence of a population of Sterna albifrons on Sinja-do and a population of Eremias argus on Jinwo-do, an area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wetland protection area, confirmed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wetlands and the need to expand the boundaries of the wetland protection area. It is judged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a systemat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the wetland protection area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s basic data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policy.

사천 가화천하구습지의 식생 및 생물상 특성: 생태계 보전 대책의 제안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Biota in the Gahwacheon Estuarine Wetland, Sacheon, South Korea: Proposals for the Ecosystem Conservation)

  • 추연수;조광진;임정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37-246
    • /
    • 2022
  • 하구습지는 생물생산성이 높고 물리적 환경도 독특하여 국가 생물다양성 관리 및 그들의 서식처 확보 관점에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구습지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열린 하구이며 다양한 서식공간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화천하구습지의 식생 및 생물상 조사를 통해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수역 다년생 초본식생, 염습지식생, 암극지식생 등 5개 상관식생형의 12개 식물군락이 확인되었다. 남강댐 방류, 조수의 영향으로 수변부의 좁은 입지를 따라 식생이 대상분포하고 있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 포함 총 715종이 확인되었다. 다양한 하상구조와 미소서식처가 분포하고 있는 I, III구간에서 종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해수 유입에 따른 기수역의 형성으로 다양한 기능군을 가지는 멸종위기 야생생물도 분포하여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화천하구습지의 생태정보의 수집은 하구 생태계의 보전·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울산 태화강하구습지의 생태적 특성 및 보전을 위한 제안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in the Taehwagang River Estuarine Wetland, Ulsan, South Korea)

  • 김평범;장연희;추연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71-183
    • /
    • 2023
  • 하구습지는 독특한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생물에게 중요한 서식처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과도한 개발과 이용에 따른 인위적 간섭으로 하구습지 고유의 기능 및 특성을 변화시킨다. 본 연구는 생태계가 우수한 하구습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태화강하구습지를 대상으로 식생 분포 특성 및 생물상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목림 식생, 정수 및 유수역 다년생 초본식생, 부유·침수식생 등 6개 상관식생형의 25개 식물군락이 확인되었다. 지형다양성이 높은 상류부에서 다양한 유형의 습지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7종 포함 총 696종이 확인되었다. 생태적 연결성이 양호하여 감조하천이 형성되는 구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군을 가지는 기수성 생물종이 분포하며, 하천 구간별 수환경에 따라서 잠수 및 수면성오리류 등 다양한 수조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태화강하구습지의 생태정보의 수집은 하구 생태계의 보전·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글라데시의 생물다양성 보전 및 세계자연유산 (Biodiversity Conservation & World Natural Heritage in Bangladesh)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5호
    • /
    • pp.376-384
    • /
    • 2017
  • 방글라데시는 인도히말라야와 인도차이나 경계에 위치한 아열대 몬순기후지역이며 생물다양성 핫스팟으로 알려져 있다. 식생은 활엽수림, 침엽수 및 혼효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지와 망그로브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경관은 많은 강과 해안선 및 언덕과 농업 산림으로 이루어진 수려한 경관이다. 전 세계적인 선라반이라 불리는 망그로브가 있으며, 이 지역은 방글라데시와 인도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9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지역이다. 망그로브의 62%가 방글라데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많은 동식물이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으로 인해 자연환경이 변화고 있으며, 벌채림이 증가하고, 자연서식자가 감소된다. 이런 이유로 많은 종이 멸종에 처하게 되고 사라진 종도 많다. 이 지역 사람들은 직간접적으로 자연자원에 이익을 얻게 되며, 현재 생태관광이 주 수입원이다. 자연자원의 보호를 위해 정부는 각종 법령을 제정하고 있으며 많은 NGO가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접경지역을 통한 오염물질과 자연재해는 방글라데시의 큰 위협요인이다.

2015-2019년 한국 연안습지에 서식하는 바닷새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Seabird in Coastal Wetland of Korea in 2015-2019)

  • 김용희;이용우;박치영;한승우;이시완;김영남;조수연;황인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7권3호
    • /
    • pp.158-172
    • /
    • 2022
  • 2015~2019년에 한국의 주요 연안습지 24~34개소를 중심으로 바닷새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바닷새는 총 7목 16과 111종이었고, 연간 출현종은 51~89종으로 2018년에 가장 많았다. 연간 관찰된 개체수는 92,821~265,783개체였으며, 2018년에 가장 많았다. 권역별로는 전라남부권역에서 가장 많은 종 수(55~72종)가 확인되었으며, 가장 많은 개체수(연평균 62,542개체)는 충청권역에서 관찰되었다. 조사지점별로는 2016년에 순천만 조사지점에서 68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비인/장안 지역에서 2018년에 95,399개체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서식지 이용 유형별 바닷새 조성비는 해안성조류가 평균 38%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헤엄치는 조류, 섭금류, 해양조류, 맹금류 순이었다. 법정보호종은 해양보호생물 8종, 멸종위기 야생동물 19종(I급 6종, II급 13종), 천연기념물 12종이 확인되었다. 주요 연안습지에서 바닷새는 조사시기에 따라 출현종 및 개체수의 차이를 보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실태조사 및 서식지 특성을 고려한 보전 정책 반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이용한 한국, 중국, 일본의 우제목 연구 동향 분석 (The Tresnds of Artiodactyla Researches in Korea, China and Japan using Text-mining and Co-occurrence Analysis of Words)

  • 이병주;김백준;이제민;어수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15
    • /
    • 2019
  • 우제목은 짝수 개의 발굽을 갖는 포유동물로 다양한 종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멧돼지, 고라니와 같은 야생 우제목 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로드킬 등의 급증과 산양, 사향노루 등 일부 종의 개체수 급감으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우제목 관련 국내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국내 우제목의 연구 동향 분석도 이루어지지 않아 실질적인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 연구 동향분석에 있어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분석은 연구 문헌들에서 나타나는 주요 단어들을 추출하고 단어들 간의 연관성을 정량화하는데 활용되고 있으며, 연구 주제의 분류에 있어 객관성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분석을 통해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우제목 연구 논문을 분석하고 국가별 연구 주제를 비교하여, 국내 우제목 연구에서의 부족한 점과 향후 필요한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국가별로 우제목과 관련된 연구 논문을 검색하여 수집한 665편의 논문들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결과, 총 199개 단어가 추출되었다. 추출된 단어들에 대한 동시출현단어분석 결과 3개의 단어군이 형성되었다. 각 단어군에 포함된 단어들을 살펴본 결과, 단어군1은 "서식환경/생태", 단어군2는 "질병", 단어군3은 "보전유전학/분자생태"와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별로 각 단어군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중국과 일본은 비교적 고른 단어군 비율을 나타낸 반면, 한국은 "질병"과 관련된 단어군2의 비율이 69%로 상당히 큰 편중을 나타내었다. 연도에 따른 각 단어군별 단어수 회귀 분석 결과에서도 중국과 일본은 3개의 단어군에 해당하는 단어수가 시간 경과에 따라 비교적 고르게 증가하였지만, 한국은 단어군2의 증가율이 나머지 단어군의 5배 이상을 나타냈다. 국내 우제목 연구는 중국과 일본에 비해 질병과 관련된 연구 위주로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며, 서식 특성, 행동, 분자생태를 포함한 연구는 매우 적게 수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 야생 우제목 동물에 의한 피해 조절과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한 합리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 야생 우제목에 대한 생태 연구를 집중적으로 실시하여 기초생태 자료를 축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