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ngered vegetation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Occurrence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VAM) Fungi and Their Effect on Plant Growth in Endangered Vegetations

  • Selvaraj, Thangaswamy;Padmanabhan, Chellappan;Jeong, Yu-Jin;Kim, 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885-890
    • /
    • 2004
  • A survey for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VAM) occurrence was undertaken in three endangered vegetation sites in the area of Kudankulam atomic power station. Fifteen VAM fungal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root-zone soils of fourteen different plant specie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spores and of percentage root colonization as exemplified by Phyllanthus niruri and Paspalum vaginatum (450, 95%; 60, 25%). Although VAM species are not known to be strictly site specific, the fact that Acaulospora elegans was observed only in site 1, Glomus pulvinatum in site 2 only, and Gl. intraradices in site 3 only, showed site-specificity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infection efficiency, two host plant species in the sites, P. niruri and Eclipta alba, were selected and inoculated in field with three selected VAM fungal spores. Gl. fasciculatum was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VAM species in percentage root colonization, number of VAM spores, and dry matter content. When the nutrients in roots of P. niruri and E. alba were analyzed, there was higher uptake of K (4.2 and 3.4 times, respectively) and Ca (5.3 and 4.9 times, respectively), the analogues for $^{137}Cs$ and $^{90}Sr$,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might be concluded that VAM association helps the plants survive in a disturbed ecosystem and enhances uptake and cycling of radionuclides from the ecosystem.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Flora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of Sonjook Island)

  • 박선주;김종흥;김상민;박홍덕;우복주;백기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41
    • /
    • 2004
  • 본 조사지역인 손죽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에 속하며, 지리적으로는 동경 127도 21분, 북위 34도 16분에 위치하고 있다. 유관속 식물을 대상으로 2001년 12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12개월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관속식물은 113과 291속, 519종, 60변종, 5품종 총 584종이 동정되었다. 이 지역은 전형적으로 곰솔이 우점종이며, 남방계 식물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중 특산식물은 10과 10속 8종 5변종으로 총 13종류로 이 지역에서 관찰되는 전체식물종의 2.0%를 나타낸다.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솔잎란, 애기등, 섬첨남성, 및 지네발란 등이 관찰되었다. 그 외에 귀화식물은 9과, 20속, 23종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종 281종류의 8.2%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은 면적에 비해 한국특산식물, 회귀식물 및 멸종위기식물 등이 많이 분포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지만 한편으로는 귀화식물의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는 등 환경오염에 따른 인위적인 훼손의 위협 증대되고 있어 섬 전체에 대해 지속적인 정부의 강력한 관리 및 개발 규제가 있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두대간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및 종조성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s and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ctor between Danmoknyeong and Guryongnyeong of Baekdudaegan)

  • 김민수;조현제;김준수;배관호;천정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6-184
    • /
    • 2018
  •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백두대간 일대인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을 보다 더 생태적이고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조사구 142개소에 대해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식생조사 및 입지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림식생의 유형은 1개 군락군, 2개 군락, 4개 군, 4개 소군의 단위체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상재도급 V형에 해당하는 신갈나무와 당단풍나무는 대체적으로 향존중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지역의 산림생태계 관리 계획에 있어 중점관리대상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종다양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VT3형에서 우점종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고 VT4형의 종들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종들이 제일 풍부하게 나타났다. 또한, 단목령-구룡령 구간에서는 희귀식물이 다소 분포하였는데 멸종위기종인 벌깨풀과 위기종인 구실바위취, 취약종인 백작약, 두메대극, 금강초롱꽃, 어리병풍, 약관심종인 등칡, 도깨비부채, 참배암차즈기, 미치광이풀, 병풍쌈 등 총 24종의 희귀식물이 나타났다.

대암산 작은용늪 및 애기용늪 생태현황분석 (Ecosystem Analysis for Little Yong-neup, Baby Yong-neup in Daeam-san in Korea)

  • 이란;박은경;박미옥;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3-56
    • /
    • 2014
  • In this study, ecolog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Yong-neup, Daeam-san for 5 times. This area is considered DMZ zone located between Yanggu-gun and Inje-gun, Gangwon-do, where has been recognized highly valuable for ecological preservation. As a result, Sphagnum and hydrophobic vegetation were found in Little Yong-neup, revealing its characteristics of high moor, where as no Sphagnum were found in Baby Yong-neup. Thereby, the carnifica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both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A main cause of damage was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stating rink and increases of visitors. The damages of vegetation in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have been intensified by road construction or uses of groundwater while relocating military troops to upper stream of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further causing the damages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nd soil erosion. These artificial factors have caused the carnification of wetland protection areas including Little Yong-neup. The terrestrial vegetations, such as Plantago asiatica, Geranium Koreanum and Artemisia feddei have increased compared to current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5 endangered species, such as Lychnis wilfordii and Trientalis europaea and 5 other introduced species, such as Aster pilosus and Taraxacum officinale were found. 10 different species of mammal and 2 species of amphibian were investigated; and in addition to this, a original form of Sphagnum fens, the remaining wetland was found. Therefor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damages in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through their ecological survey and accordingly proposing a direc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creation of habitats for plant and animal, restoration of vegetation through eco-friendly materials and indigeneity, relocation of the current military troops, securing of structural stability.

삼천포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향상 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Measure for Ecosystem Health of Samcheonpo Stream)

  • 정길상;최한수
    • 생태와환경
    • /
    • 제56권4호
    • /
    • pp.414-419
    • /
    • 2023
  • 삼천포천은 제방을 따라 제내지에 인공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상구조가 인간활동으로 교란되어 있다. 본 연구결과 부착조류와 저서성 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이 여타 하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하천 복원 시 제방의 제외지와 제내지를 동시에 친환경적으로 복원을 고려함으로써 생물다양성 증대를 도모하고 하상 복원 등을 통해 회유성 어류들이 하천생태계로 유입되어 생태계의 안정성 및 건강성을 회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Palmer et al., 2014). 이를 위해서는 생태하천 복원시 사용되는 재료는 무생물적 재료를 지양하고 과거부터 주로 서식하는 자생식물 등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하도 구조는 하상의 현재 유로형상 (flow channel pattern)을 유지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유로 연장이 필요한 경우 직강화 등에 의해 축소되어서는 안되며 축소된 유로는 복원을 권장한다. 분절된 지류는 본류와 연결시키고 연력이 곤란한 웅덩이는 대상하천에 맞게 소택형 습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생태통로(Eco-corridor) 확보 및 추이대 조성을 통해 생태환경 기능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제내지의 폐천 부지는 하천구역으로 편입하여 생태습지 등으로 이용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Choi and Lee, 2019). 생태적 복원을 위해 주차장, 체육시설 및 공원 등은 배제해 자연성을 유지하되 주민의 활용도를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통하여 삼천포천의 자연성 회복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및 주민에게 다양한 문화 휴식 공간 제공 등의 생태계 서비스 능력을 향상을 기대한다(Bennett et al.,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