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f-life decision making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6초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t End of Life: A Content Analysis)

  • 고진강;고정미;박혜영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5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what critical care nurses perceived about life-sustaining treatment at end of life. Method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he unit of analysis was interview text obtained from fifty critical care nurses of a general hospital. Results: Seven categories in two content areas were abstracted. In the negative perception area,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were abstracted: patients' suffering, dying with damaged dignity, patients' isolation from family members, regret about choos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family members' burden. In the positive perception area,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were abstracted: willingness to sustain life and duty as family members. Conclusions: Nurses have better competencies pertaining to understanding patients' responses and suffering than any other health care professions do. Nurse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advocating for patients and their family in the process of end-of-life care decision making.

  • PDF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towards End-of-life Care Decision-making)

  • 오승민;조완제;김종구;이혜리;이덕철;심재용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3호
    • /
    • pp.140-146
    • /
    • 2008
  • 목적: 말기 암 환자의 증가, 노년인구의 증가, 연명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완치될 수 없는 질환을 가진 말기 환자에 대한 치료 결정(End of life decision making)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나 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은 낮은 상태에 있고 이로 인해서 말기 환자에게 말기진정과 같은 결정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시행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때로는 잘못된 시행으로 윤리적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통하여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올바른 태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미래 의료계의 주역이 될 의과대학생들이 말기진정을 포함하여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등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6월 25일부터 6월 29일 사이에 1개 의과대학 본과 1, 2학년 학생과 임상 실습중인 3학년 학생 총 388명을 대상으로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 등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한 태도와 인구사회학적 자료를 설문 조사하였다. 응답이 완료된 267명을 대상으로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한 태도와 각 인자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일개 의과대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의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의 시행에 찬성하는 비율은 각각 37.1%, 21.7%, 58.4%, 60.3%, 41.6%였다. 이 비율은 각 항목의 윤리적 타당성에 대한 설문 결과와 유사하였다. 1학년보다는 3학년에서 능동적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더 반대하였고,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에 대해서는 더 찬성하였다. 종교 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각 항목에 대한 찬성이 적었으며 교육 경험 유무, 특히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3학년 학생에서 말기 진정에 더 많이 찬성하였다. 연령, 임종 환자 경험 유무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결론: 말기 환자 치료 결정의 구체적 임상 행위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태도에 이전 연구에서처럼 종교 또는 교육이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임상실습을 통한 교육경험이 태도 변화에 중요하였다.

  • PDF

Advance Care Planning: Preliminary Report of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Korean American

  • Park, Jin H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4호
    • /
    • pp.232-241
    • /
    • 2013
  • 목적: 한국에 있는 한국 사람들과 미국에서 사는 재미 교포들간의 삶의 마지막 치료에 대한 의식, 삶의 마지막 전 계획에 대한 태도, 진실을 직면하는 태도 그리고 마지막 치료에 대한 결정을 누가 내리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다른 관점들에 대해 밝히고자 한 예비 연구논문이다. 방법: 65세 이상의 한국에 사는 한국인들 25명, 미국에서 20년 이상 사신 한국인들 23명이 선택되었고 이들은 자신 개인신상에 대해 묻는 질문지와 임종에 가까워질 때 원하는 치료, 임종 전에 사전 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한 것, 고칠 수 없는 자신의 병에 대한 진실을 대한 태도, 그리고 누가 마지막 치료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를 원하는 지에 대한 질문지에 답하게 되었다. ${\chi}^2$ test로 한국인들 대상자들과 재미 교포 대상자들의 다른 점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고, P value가 0.05보다 작은 것을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결과: 삶의 마지막 돌봄의 인식, 돌봄계획에 대한 태도, 그리고 진실 알리기 등의 항목에서는 한국인과 재미 교포간에 비슷한 의견을 보였다. 하지만, 삶의 마지막 돌봄에 대한 문서화, 진실을 누구에게 먼저 알릴 것인지, 그리고 선호하는 의사결정모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한국인과 재미교포 사이에는 몇 가지 삶의 마지막 이슈에 대해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간호대학생 임종치료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of-lif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천주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39-449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임종치료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조사 연구는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최종 217명의 간호대학생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율적 의사결정'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학년), 생명의료윤리 교육 수강, 죽음에 대한 태도,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였다. '의료인의 의사결정'에 대한 선호도는 종교를 가지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영성'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학년), 종교를 가짐, 전공만족도였다. '통증 조절'에 대한 선호도는 교육수준(학년), 사망한 환자 관찰경험, 나쁜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와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학 전공 커리큘럼에서 연명치료, 생애말기간호 및 생애말기 의사결정에 관한 교육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간호사와 입원 환자가 지각한 임종기 치료선호도 (Comparing the Preference for Terminal Care in Nurses and Patients)

  • 김동순;소애영;이경숙;최정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4-224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terminal care between hospitalized patients and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in 79 patients and 107 nur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11, using the Preference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Scale - Korean Version (PCEOL-K) with 5-point scale of 26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tool was Cronbach's ${\alpha}=.74$. Results: The mean score (SD) of PCEOL-K's sub-dimensions in nurses' priority was: (a) pain $3.70{\pm}0.63$, (b) spirituality $3.63{\pm}0.61$, (c) family $3.40{\pm}0.70$, (d) autonomous decision making $2.30{\pm}0.66$, and (e) decision making by healthcare professionals $2.14{\pm}0.64$. In patients' priority, the $M{\pm}SD$ score of each sub-dimension was: (a) pain $3.86{\pm}0.65$, (b) family $3.83{\pm}0.57$, (c) decision making by healthcare professionals $3.37{\pm}0.85$, (d) spirituality $3.01{\pm}0.80$, and (e) autonomous decision making $2.43{\pm}0.63$.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regarding decision making by healthcare professionals (t=-11.28, p<.001), family (t=-4.66, p<.001), and spirituality (t=5.71, p<.001). Conclusion: The PCEOL-K of patients was higher than nurses'. A terminal care program for hospitalized patients at the end of life should be plann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CEOL-K in nurses and patients.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노인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전후 완화간호의 제공 (Palliative Care Provided for Older Patients with Terminal Stage of Cardiopulmonary Disease Before and After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 최정자;김수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5-53
    • /
    • 2021
  • 본 연구는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연명의료결정 전후에 제공된 완화간호의 빈도와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 연구이다. 일개 대학병원 내과계 병동에 입원한 말기 심폐질환 노인환자 124명의 전자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 연명의료결정 이후에 경구진통제 투여, 통증 경감을 위한 냉온요법과 마사지요법, 요로감염 시 약물투여와 소변 배양검사, 구강간호, 세발간호, 부분목욕의 제공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경감을 위한 기도 및 이완요법, 호흡곤란 시 구·비강간호, 정서적 간호 제공은 연명의료결정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영적 간호는 전체적으로 가장 적게 제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연명의료결정 이후에 비약물적 통증관리와 안위간호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Ethics in the Intensive Care Unit

  • Moon, Jae Young;Kim, Ju-Oc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3호
    • /
    • pp.175-179
    • /
    • 2015
  • The intensive care unit (ICU) is the most common place to die. Also, ethical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occur frequently in the ICU. Thus, ICU clinicians should be competent in all aspects for ethical decision-making. Major sources of conflicts are behavioral issues, such as verbal abuse or poor communication between physicians and nurses, and end-of-life care issues including a lack of respect for the patient's autonomy. The ethical conflict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job strain and burn-out syndrome of healthcare workers, and consequently, may threaten the quality of care.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handling ethical conflicts properly is emerging as a vital and more comprehensive area. The ICU physicians themselves need to be more sensitive to behavioral conflicts and enable shared decision making in end-of-life care. At the same time, the institutions and administrators should develop their processes to find and resolve common ethical problems in their ICUs.

Effects of Advance Care Planning on End-of-Life Decision Mak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Kim, Minju;Lee, Jie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2호
    • /
    • pp.71-8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vance care planning on end-of-life decision-making. Methods: Databases including RISS, KISS, KMbase, KoreaMed, PubMed (MEDLINE), Embase, and CINAHL were searched for studies that examined the effects of advance care planning interventions. The inclusion criteria were original studies in English or Korean; adults ≥18 years of age (population); advance care planning (intervention); completion of advance directives (AD) or advance care planning (ACP) (outcomes); and randomized or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nd non-RCTs, respectively) (design). Study quality was measured using the checklists of the Joanna Briggs Institute. Meta-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program. Results: Nine RCTs and nine non-RCT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effect sizes (ES) of the outcome variables in nine RCTs were meta-analyzed, and found to range from 0.142 to 0.496 for the completion of AD and ACP (ES=0.496, 95% CI: 0.157~0.836), discussion of end-of-life care (ES=0.429, 95% CI: -0.027~0.885), quality of communication (ES=0.413, 95% CI: 0.008~0.818), decisional conflict (ES=0.349, 95% CI: -0.059~0.758), and congruence between preferences for care and delivered care (ES=0.142, 95% CI: -0.267~0.552). Conclusion: ACP interven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letion of AD and ACP. To apply AD or ACP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P interventions that reflect aspects of Korean culture.

재가노인의 자기초월, 삶의 만족도와 임종기 치료 선호도 관련성 (Self-transcendence, Lif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of the Elderly)

  • 이정인;김순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12-220
    • /
    • 2016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자기초월, 삶의 만족도, 임종기 치료선호도 정도를 파악하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의 노인 208명을 대상으로하고 자료수집은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자기초월 정도는 2.79점이며, 삶의 만족도 정도는 9.97점, 임종기 치료선호도 정도는 3.24점으로 나타났다. 자기초월은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F=3.38, p=.011)에서와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 (F=13.88 p<.001)에서, 삶의 만족도는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F=24.42, p<.001)에서 유의하게 높게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자기초월은 삶의 만족도(r=.559, p<.001),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r=.182, p=.008), 영성요인( r=..324, p<.001), 가족요인(r=.224, p<.001)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삶의 만족도와 영성요인(r=.165, p=.017),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과 가족요인(r=.278, p<.001),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과 통증요인(r=.146, p=.035)이 유의한 순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자기초월이 임종기 치료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초월과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고 임종기 대상자 관리를 위한 전략이 구체적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생의 말기치료 결정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조사 (Korean Nurses' Attitude towards Advance Directives and End of Life Decision Making)

  • 김미영;김금순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7-90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research on nurses regarding end of life decision and advance directives (ADs) and their attitude, experience and confidence towards them in order to define the role of nurses. Methods: In this research,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fter receiving a written consent from 332 nurs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14^{th}$ to $30^{th}$ of September, 2009. The instrument used for conducting the study was revised version of KAESAD (The Knowledge, Attitudinal, Experiential Survey on Advance Directives). Results: We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nurses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s ADs. However, they hardly had any experience regarding them which leads to low confidence in assisting preparing ADs. Also, attitude towards ADs had no correlation with experience and confidence. Conclusion: In order to bring about the confidence level from positive attitude that nurses have, there needs to be a systematic change in nursing education. For that, it requires an education system that emphasizes the role of nurses which incorporates Korean culture and characteristics regarding death iss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