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Co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3초

저서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노출에 따른 국내산 해산무척추동물 요각류(Tisbe sp.)와 단각류(Monocorophium acherusicum)의 만성영향 (Chronic Effect Exposed to Carbon Dioxide in Benthic Environment with Marine Invertebrates Copepod(Tisbe sp.) and Amphipod(Monocorophium acherusicum))

  • 문성대;최태섭;성찬경;이정석;박영규;강성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9-369
    • /
    • 2013
  • Chronic effects such as reproduction and population dynamics with elevated $CO_2$ concentration were evaluated using two representative marine benthic species, copepod (Tisbe sp.) and amphipod (Monocorophium acherusicum) adopting long-term exposure. Juvenile copepod and amphipod individuals were cultivated in the seawater equilibrated with control air (0.395 mmol $CO_2$/air mol) and high $CO_2$ air having 0.998, to 3.03, 10.3, and 30.1 mmol $CO_2$/air mol during 20 and 46 days, respectively. After the exposure period, the number of benthic invertebrate was counted with separate larval and juvenile stage such as naupliar, copepodid and adult for copepod, or neonate and adult for amphipod, respectively. The individual number of both test species at each life-st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eawater with 10.3 mmol $CO_2$/air mol or higher. Recently, the technology of marine $CO_2$ sequestration has been developed for the reduction of $CO_2$ emission, which may cause climate change. However, under various scenarios of $CO_2$ leaks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or sequestrated $CO_2$ in marine geological structure, the potential risk to organism including various invertebrates can be expected to exposure.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tailed consideration on the adverse effect with marine ecosystem can be prerequisite for the marine $CO_2$ sequestration projects.

Trans-$[Co(en)(tmd)Cl_2]^+$ 錯이온의 水化反應에 對한 反應速度와 立體化學 (Kinetics and Stereochemistry for the Aquation of trans-$[Co(en)(tmd)Cl_2]^+$Cation)

  • 정종재;노병길;김은기;오상오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07-611
    • /
    • 1991
  • trans-$[Co(en)(tmd)Cl_2]^+$ 착이온의 수화반응에 대한 입체화학 생성물의 trans 이성질체와 cis이성질체의 비율을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온도를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하였다. 이 실험 결과 cis-이성질체가 약 30% 이었으며, 중간체가 재배열됨을 알 수 있었다. 이 메카니즘을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EHT법을 이용하여 각 중간체의 Stability energy profile과 Interaction diagram 및 Orbital crrelation diagram를 계산하였다. 이 계산 결과 cis-이성질체의 생성경로가 실험결과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Square Pyramid(SP)에서 약간 distortion된 상태에서 수화반응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금속, 암모니아, 유기주석화합물이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vy Metals, Ammonia, and Organotin Compounds on the Survival of Arkshell Clams, Scapharca broughtonii)

  • 김찬국;김동훈;이정석;이규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3-105
    • /
    • 2004
  • Arkshell clams, Scapharca broughtonii, are economically important edible bivalves and widely cultiv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Recently, the production of S. broughtonii has been dramatically decreased and various reasons including chemical pollution were suspected to be related to the production declines. However, it remains unknown whether the chemical pollution level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were high enough for the biological and ecological disturbance for the population of S. broughtonii, because no systematic toxicological study using S. broughtonii has been conducted previously. In the present study, we exposed arkshell clams, S. broughtonii to various waterborne pollutants including heavy metals (Cd, Cu and Hg), ammonia and organotins (tributyltin and triphenyltin) to determine the effect concentrations of these pollutants for the survival of S. broughtonii for 20 days. The median lethal concentrations ($LC_50$) of S. broughtonii were 2.1 mg/l for Cd, 0.065 mg/l for Cu, 0.40 mg/l for Hg, 79.4 mg/l for total ammonia (1.9 mg/l for unionized ammonia), 0.5 ${\mu}$g/l for TBT, and 14${\mu}$g/l for TPhT. Lethal toxicity of the most pollutants increased with both exposure duration and concentration. The toxicity of TBT was greatest for S. broughtonii, followed by TPhT > Cu > Hg > Cd > ammonia. The sensitivities of S. broughtonii to heavy metals and TBT were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aquatic organisms, but they were relatively tolerable to ammonia. The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of the tested pollutants were compared with the effect concentrations of those for the survival of S. broughtonii to assess the potential risks of the pollutants in the field conditions.

  • PDF

뫼스바우어선원 적용을 위한 58Ni 표적체 및 Co가 확산된 Rh복합재 제조 (Synthesis of 58Ni Target and Co Diffused Rh Composite for Application of Mössbauer Source)

  • 엄영랑;최상무;김종범;손광재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32-437
    • /
    • 2015
  • The en-riched $^{58}Ni$ powders are dissolved in acid solution and coated on a Cu target for proton irradiation at cyclotron to produce $^{57}Co$ radioisotope. The condition of the plating bath and the coating process are determined using the en-riched powders. To establish the coating conditions for $^{57}Co$, non-radioactive Co ions are dissolved in an acid solution and electroplated on to a rhodium plate. The thermal diffusion of electroplated Co into a rhodium matrix was studied to apply a $^{57}Co$ Mssbauer source. The diffusion depth from surface to matrix of Co is depended on the annealing temperature and time. The deposited Co atoms diffuse completely into a rhodium (Rh) matrix without substantial loss at an annealing temperature of 1200 for 4 hours.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른 발광미생물의 상대발광량과 밀도변화에 대한 연구 (Influence of Increas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n the Bioluminescence and Cell Density of Marine Bacteria Vibrio fischeri)

  • 성찬경;문성대;김혜진;최태섭;이규태;이정석;강성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1호
    • /
    • pp.8-15
    • /
    • 2010
  • 해수의 용존 이산화탄소 증가가 해양미생물인 Vibrio fischeri의 발광량 및 세포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380(대조구), 1,000, 3,000, 10,000 그리고 30,000 ppm 농도구배에 24시간 동안 노출하고, 매 6시간마다 발광미생물의 발광량과 세포밀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5개 농도구배에 노출된 발광미생물의 발광량은 12시간째에 3,000 ppm 이상의 농도구배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발광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24시간째에는 30,000 ppm 농도 조건에서만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0,000 ppm 이하 농도 조건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광미생물의 세포밀도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각 농도별 시간에 따른 영향은 발광량 변화와 유사하였다.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와 발광미생물의 발광량 및 세포밀도 사이에는 유의한 농도-반응 관계가 있으며, 다만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저해영향으로 배양이 지속됨에 따라 뚜렷하게 회복하는 특성을 보여 증가된 농도의 이산화탄소 영향이 항상 일정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해양미생울 개체군 성장에 미치는 이산화탄소의 영향을 평가한 것으로 향후 해수의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미치는 다양한 해양생물에 대한 영향 및 위해성 예측과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해양미생물에 대한 생태영향평가 결과는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해양 지중저장사업의 환경위해성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수중 용존 $CO_2$ 농도 증가가 해양생물 및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사례 연구 (Influence of the Increase of Dissolved $CO_2$ Concentration on the Marine Organisms and Ecosystems)

  • 이정석;이규태;김찬국;박건호;이종현;박영규;강성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3-252
    • /
    • 2006
  • 산업혁명이후 대기중 이산화탄소 등 온실기체의 농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의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전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활동에 의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CO_2$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최근 $CO_2$를 해양 심층부에 직접 투기하거나(해양분사법), 해저면(해양저류법)또는 지중에 주입(해양지중법)하여 격리하고자 하는 방안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해양은 대기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큰 $CO_2$의 저장고로서 이미 대기중 $CO_2$ 농도의 증가는 표층해수로 유입되는 $CO_2$ 유입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향후 100년간 해수로 유입되는 $CO_2$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에 따라 표층 해수의 pH는 최대 0.4이상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해수의 산성화는 산호, 석회조류(cocolithophorid)와 같이 몸의 일부를 석회질로 구성하는 생물들의 성장에 심각한 저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실험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성게나 어류의 유생과 같이 환경변화에 민감한 생물들은 $0.1{\sim}0.2$ 정도의 pH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이 저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대기중 $CO_2$ 농도 증가에 따른 해양생태계 훼손의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반면에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포집된 $CO_2$ 심해처리는 처리지역 주변의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고 해수의 pH를 감소시켜 심해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심해처리 기술을 개발하는 단계에서 처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학적 위해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국내에서는 발광미생물과 저서단각류에 대한 용존 $CO_2$의 저해 영향에 대한 시범적인 연구가 본 연구진에 의해 수행되었는데 해수의 pH가 1.5 이상 감소한 경우에는 유의한 저해영향이 관찰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단각류의 경우 동일한 pH에서도 $CO_2$로 산성화된 해수의 독성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CO_2$ 해양생물학적 영향에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여러 연구 결과들을 방법론에 따라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향후 대기중 $CO_2$ 증가 또는 해양처리에 따른 용존 $CO_2$ 농도 증가에 따른 생태계 위해성을 예측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구리, 카드뮴, 펜벤다졸, 설파티아졸이 국내산 풍년새우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 Cd, Fenbendazole and Sulfathiazole on the Survival of the Korean Fairy Shrimp Branchinella kugenumaensis)

  • 문성대;조창현;곽인실;이창훈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4호
    • /
    • pp.311-320
    • /
    • 2009
  • The short term (24-hr) and long term (21 days) effects of copper, cadmium, fenbendazole and sulfathiazole on the survival of the Korean fairy shrimp Branchinella kugenumaensis were evaluated. The 24-hr median lethal concentrations ($LC_{50}$) of copper, cadmium, fenbendazole, and sulfathiazole were 39, 512, 182, and 31,818 ${\mu}g/L$, respectively. The toxicity of copper is highest among 4 chemicals used in this study, while sulfathazole the lowest. After the long term (21 days) exposure experiment, the $LC_{50}$ copper, cadmium, fenbendazole, and sulfathiazole were 1.12, 2.1, 0.1, 6.6 ${\mu}g/L$, respectively. The long term effects of antibiotics were highly enhanced while the short-term effects were not strong. The sensitivities of B. kugenumaensis to copper and cadmium were higher than or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freshwater branchiopods (Streptocephalus spp., Thamnocephalus sp.), and far higher than the marine species (Artemia sp.).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rvival of B. kugenumaensis after long term exposure to relatively lower concentrations of copper, cadmium, fenbendazole and sulfathiazole. Therefore, B. kugenumaensis seems quite a good candidate species for the ecotoxicological assessments of freshwater environments.

국내산저서단각류 Mandibulophoxus mai와 Monocorophium acherusicum의 생존, 성장 및 민감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Survival, Growth and Sensitivity of Benthic Amphipods, Mandibulophoxus mai and Monocorophium acherusicum)

  • 이규태;이정석;김동훈;김찬국;박건호;강성길;박경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6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한국에서 퇴적물 독성 실험생물로 개발되고 있는 저서 단각류 Mandibulophoxus mai와 Monocorophium acherusicum의 생존과 성장 및 민감도(sensitivity)에 대한 온도의 영향를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각 실험 단각류의 생물학적 영향으로 각기 다른 수온 조건에서의 생존과 성장률을 통해 결정하였다. 표준 독성물질인 카트뮴(Cd)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독성 민감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각기 다른 온도에서 카드뮴이 첨가되지 않은 해수와 카드뮴이 첨가된 해수에 노출된 단각류의 생존률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연구결과, 온도는 두 실험 단각규 모두의 생존, 성장 및 카드뮴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p<0.05). 두 실험종 모두 80%이상의 생존율을 보인 온도범위는 13-2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실험종의 일일 성장률은 M. mai의 경우 20℃, M. acherusicum의 경우 25℃에서 다른 온도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Cd 민감노에 대한 영향은 M. mai는 20℃, M. acherusicum은 15℃가 다른 온도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온도는 단각규를 이용한 치사 및 반치사 생물 검정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독성평가에 활용되는 생물종에 대한 적절한 실험 온도 범위를 결정하는 것은 표준 독성시험법을 개발하는데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학 사항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부유토사가 담수 어류 3종(붕어, 잉어, 송사리)의 초기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Early Life Stage of Three Freshwater Fish (Carassius auratus, Cyprinus carpio, Oryzias latipes) Exposed to Suspended Solids)

  • 문성대;강신길;이창훈;성찬경;안광국;최태섭
    • 생태와환경
    • /
    • 제47권2호
    • /
    • pp.82-9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부유토사로 인한 탁도 증가가 어류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실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 강 또는 호소에서 출현 비율이 높은 붕어, 잉어, 송사리를 대상으로 수정란 부화율 평가를 수행한 결과 붕어, 잉어는 4,040 NTU 수준까지 수정란 부화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지만, 송사리는 254 NTU 이상의 구간에서 부화율이 저해되는 영향을 보였다. 붕어, 잉어, 송사리 치어의 4일간 노출 결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반면 성장률 결과에서 잉어와 붕어는 7일, 14일, 21일 모두 143 NTU 구간부터 성장저해 영향을 보였다. 송사리는 14일 노출 시 254 NTU, 21일간 노출 시 501 NTU 구간부터 성장저해 영향을 보였다. 따라서 강 또는 호소에서 143 NTU 이상의 탁도가 발생할 경우 붕어, 잉어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고, 250 NTU 이상의 탁도는 송사리와 같이 민감 어종의 부화율이 저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