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status

검색결과 1,146건 처리시간 0.024초

장애인의 정보 활용 격차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Digital Divide o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

  • 황주희
    • 정보화정책
    • /
    • 제26권3호
    • /
    • pp.53-68
    • /
    • 2019
  • 본 연구는 인터넷을 활용하는 장애인과 그렇지 않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고, 장애인의 정보 활용 유무와 같은 격차에 있어 성별, 연령과 같은 개인별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차이를 나타나는지를 교차항(interaction term)분석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었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디지털 격차 및 정보 활용 형태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 그룹 내에서의 정보 활용 격차라고 하는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격차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정보 활용 여부는 이들의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을 사용 활용하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이들의 교육수준, 사는 지역, 장애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진행 중인 장애인 대상 디지털 격차해소 정책에 대한 시각을 넓혀 보다 확장된 형태의 디지털 격차해소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정책적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

The Effect of Unemployment in Depression by Age Group: Using 12 States' Data from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 Woo, Kyungmi;Zhang, Zhisun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6-44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unemployment and depression in people from different age groups ranging from 18 to 65 years old.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We performed bivariate analysis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on the 2010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BRFSS) data from 12 state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On a sample comprised of n=53,406 individuals, of whom 2,546 (7.8%) were identified as being depressed and 3,448 (10.6%) as unemployed, we found that individuals aged 61~65 years have a lower depression risk compared to those aged 18-25 after adjusting for other variables including employment status. However, people from 61~65 have higher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when unemployed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in all three models tested (3.95 times higher in unemployed people in model 1, and 2.81 times higher in model 2 and model 3).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may need to be more focus on older adults who are unemployed, with associated support services for their mental health.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although older adults are less likely to be unemployed, there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if they are unemployed (once other confounding factors are taken into account) than younger adults. Policies and interventions can be developed to address not only the physical difficulties but also the mental challenges with which older adults can be at risk facing in case of unemployment.

지역약사의 시리즈형 OTC 약물에 대한 약사의 직능 수행에 대한 평가 (Relationship between the Series named OTC Products and Pharmacist's Professional Workloads in Community Pharmacy)

  • 김정은;임성실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26-233
    • /
    • 2020
  • Background: Currently, the over-the-counter (OTC) drug market is flooded with series OTC products. The pharmacist must follow the OTC product's indication, given that the most critical role of a pharmacist is the right selection and recommendation of an OTC drug for a patient's symptoms in a dynamic pharmacy environment. Therefore, pharmacists must know each OTC product information precisely to avoid any ambiguity due to several OTC series brand names. Objective: We evaluated the risk and effectiveness of OTC series medicines. Methods: From December 5 to December 18, 2019,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45 community pharmacists. Results: A total of 51.0% of pharmacists knew the difference between products named in a series and could explain it spontaneously. Only 0.7% of the pharmacists admitted to not knowing the difference between products named in a series. While 42.9% of pharmacists who owned a pharmacy opined that the OTC medicines named in a series have health benefits for patients, 50.0% of employee pharmacists admitted that they were rather confused because there are several OTC series medicines. In contrast, 69.2% of pharmacists who owned pharmacies and 72.2% of employee pharmacists admitted that OTC series drugs with names similar to popular OTC drugs sell better. Conclusion: While pharmacists had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OTC series drugs per employment status, they opined that OTC series are more helpful in pharmacy management than completely new brand names. Further studies in this regard are needed.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과 노동시장 성과 (A Study on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Experiences and Labor Market Outcome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 권혜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151-178
    • /
    • 2016
  •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현황을 살펴보고, 참여경험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일배움카드제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2,707명(27.6%)이며, 이중 실질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695명(25.7%)으로 나타났다. 내일배움카드제의 참여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경험은 취업여부와 고용형태(정규직취업)에 있어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월평균임금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함의를 도출하고, 내일배움카드제의 정책 효과성 향상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중고령자 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사회정책학적 연구 (A comparative social policy study on determinants of work of old adults)

  • 김수완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2호
    • /
    • pp.69-97
    • /
    • 2012
  • 이 연구는 중고령자의 근로여부와 근로시간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국가비교적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계층효과, 일에 대한 관점, 노동시장 구조의 배출효과와 사회보장제도 등의 유인요인 효과 등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제인식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8개국에 대한 다층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과 관계없이 대다수의 고령자들이 일하기를 원하며, 따라서 대다수 중고령자의 비근로는 일을 하지 않으려는 자발적인 선택이 아닐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55-64세 집단에 있어서는 계층이 높을수록 일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은 계층간 불평등이 발견되었다. 셋째, 근로여부와 근로시간 선호는 사회보장제도의 관대성보다는 시간제 근로비중 등 고령자에게 적합한 유연한 일자리가 제공되느냐에 더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적어도 국가 비교적 관점에서 볼 때 고령자 근로의 핵심적인 문제는 노동공급측의 문제(즉 고령자의 근로의욕)라기보다는 노동수요측의 문제, 퇴직 유인의 문제보다는 일자리 상황과 구조의 문제라고 보여진다.

계급·계층이 복지정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변인의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class and the welfare attitudes and regulating effects of education)

  • 김희자
    • 한국사회정책
    • /
    • 제20권2호
    • /
    • pp.35-68
    • /
    • 2013
  • 서구에서 복지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거론되는 계급 계층은 국내의 복지태도 연구에서는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해왔다. 또한 계층 계급관련변인들이 한국사회에서 큰 설명인이 되지 못한다는 결론을 도출한 연구들에서 그 이유로 교육의 영향이 자주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계급 계층의 지표로 활용되어온 소득, 고용상지위, 직종의 세 변인이 복지태도의 각 하위영역별로 어떠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교육이 과연 복지태도에 대한 계급 계층적 이해의 영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했다. 복지태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기존복지의 강화'와 '복지영역의 확장', 그리고 '보편주의 원리'의 세 하위 요인으로 분류했다. 분석결과 기존복지제도의 강화에 있어서는 계급 계층변인들이나 교육, 또 통제요인인 연령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다. 복지영역의 확장에 대해서는 연령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으며 계급 계층변인들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어 계급 계층을 지지했으나 교육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보편주의 원리에 대해서는 연령은 부의 영향력을, 소득과 직종은 정의 영향력을 보여주었으나 교육을 통제하면 모두 통계적 유의도를 잃거나 설명력이 크게 떨어졌다. 이로써 계급 계층 가설은 특정 복지태도에 대해서만 유의미하며 교육의 억제적 조절효과는 지지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Dental Hygienists in Japan

  • Oh, Sang-Hwan;Nishimura, Rumi;Sugiyama, Masaru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0-20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atus of dental hygienists in Japan. The study explicated the history, core curriculum, National Examination for Dental Hygienists, work roles of dental hygienists, and workplaces of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government policy report on dental hygienists and the information published by each public institution. The latest statistics presented by the institutions were collected through official websites. The employment information of graduates from Hiroshima University was analyzed based on actual field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social demand for dental hygienists has steadily increased and policies and education have been revised accordingly. The work roles of dental hygienists have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the treatment and those of public health fields. In line with major policy changes, the educational period has been extended from 1 year to 3 or 4 years, while the mandatory credits for graduation have been established. Licensing examinations were being performed by the local governments since 1948 due to the different situations of dental hygienists in different areas. In 1992, they were converted into a single national examination. The work roles have expanded from assisting dental treatments to health guidance, home care, and perioperative care. Consequently,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s has increased, especially in health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Dental hygienists perform various roles. However, the most essential role is to provide the best oral care services to the patient. The expected role of dental hygienists has expanded in alignment with public healthcare needs and support for the elderly.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are expected to bring about improvements such as diversifying the channels of education and establishing policies to respond to growing patient needs by cultivating excellent dental hygiene professionals.

네덜란드와 노르웨이의 난민 학위·자격 평가인정제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and Recognition for Refugees' Qualification in Netherlands and Norway)

  • 채재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37-45
    • /
    • 2021
  • 2011년 시리아 내전 이후 전 세계적인 난민 증가와 더불어 국내 유입 난민이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법적 지위 인정과 더불어 취업, 교육 지원, 학위·자격 인정 등이 사회적 이슈로서 대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난민의 학위·자격에 대한 평가인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네덜란드와 노르웨이 사례를 일정한 분석틀(제도추진배경, 주요내용 및 인정 절차)을 토대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양국 모두 증빙서류를 갖추지 못한 난민의 학위와 자격을 평가인정하는 것이 해외 학위·자격 평가인정제도의 공신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스본 인정 협약'에 담긴 '난민의 인권 보호' 취지에 따라 난민 학위·자격 평가인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제도운영 면에서는 양국 간에 차이가 있었지만, 양국 모두 '사전경험학습 평가인정제'를 적용하여 '난민'의 입장에서 유연하게 평가인정을 실시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향후 국내에서 난민 학위·자격평가인정제도를 설계할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캄보디아의 일반고등교육 (GHE)과 직업기술교육훈련 (TVET)에 대한 인식차이 비교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toward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TVET) and General Higher Education in Cambodia)

  • 속찬르띠;방용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83-9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캄보디아의 학생, 교사 및 TVET 기관장들의 직업기술 교육훈련 (TVET)과 일반 고등교육 (GHE)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캄보디아 5개 대표 지역의 TVET 교육기관 들에서 15명의 직업기술 교육훈련 학생, 교사, 기관장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토론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TVET 졸업생은 캄보디아의 기관과 기업 간의 공공 민간 파트너십과 기술 중심의 커리큘럼을 통해 GHE 졸업생보다 노동 시장에서 더 나은 기회를 얻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캄보디아 직업기술 교육훈련 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캄보디아 고용노동부가 국가 차원에서 직업기술훈련 분야로 유인할 수 있는 정책과 직업기술훈련 분야 취업과 진로를 확산하고 개선하기 위한 국가전략을 세워 추진해야 함을 권장한다.

지역사회 노인의 저작 능력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influence of masticatory ability on frailty in the community elderly)

  • 정은주;송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7-54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의 저작 능력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 22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주관적 및 객관적 저작 능력, 노쇠수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작 능력은 연령, 교육 수준, 경제활동 여부, 거주 형태, 틀니 장착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비노쇠 노인의 저작 능력은 노쇠 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저작 능력이 좋은 대상자에 비해 저작 능력이 좋지 못한 대상자에서 노쇠가 있을 위험비는 2.33배 높았으며, 연령을 보정한 결과 저작 능력이 좋은 그룹에 비해 좋지 못한 그룹에서 노쇠가 있을 위험비는 2.30배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인의 저작 능력이 노쇠의 예측요인 중의 하나이며, 지역사회 차원의 구강건강 관리를 통해 노쇠를 예방하여 건강한 노화를 달성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