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Service

검색결과 827건 처리시간 0.024초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후 만족도 (Satisfaction after Running on the Online Self-introduction Consult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COVID-19 Situation)

  • 신승옥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3-120
    • /
    • 2020
  • 본 연구는 일개 대학에서 2020년 8월 3주간에 운영된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에 참여한 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 적용이 취업준비에 도움이 되었는지 알아보고자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사전에 자기소개서 작성이 부족하거나 취업목표 기관이 뚜렷하지 않았다.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 참여 후 취업준비에 매우 도움이 되었고, 관련한 자기소개서 프로그램의 서비스 활용성이 높았다. 프로그램 내 템플릿의 연속된 질문은 자기소개서 작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필요한 취업지원 교육으로 면접준비과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요양보호사의 노인인권의식과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 수준의 관련성: 인권교육 조절효과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Caregiver's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Quality of Service: Focused on Human Right Education)

  • 정은심;서영준;원영주;허민희;노진원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11-324
    • /
    • 2023
  • Background: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has been stably established along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ndeed, the need for a paradigm about human rights-based service approach is being raised throughout society from a service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elderly human rights awareness and quality of service by considering human rights education as a moderate variable.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with 138 caregiv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Gangwon. General characteristics,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were examin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with a hierarchical framework was employed. Thes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25.0. Results: Of the 138 caregivers, 97.1% were female, 87.7% were more than 50 years old, and most of their education level was high-school graduates. Their length of employment ranged from more than 5 years to less than 10 years. The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elderly human rights of the elderly was below normal (mean=2.21), but the quality of service was high (mean=4.21), and the need for human rights education was also high (mean=4.28).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length of employ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wareness of elderly human rights. Moreover, political rights awareness, included as sub-domains of human righ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service. However, the moderating variable, human rights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service. Conclusion: In this study, human rights educa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givers' human rights awareness in relation to service quality. This finding is in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frequency of educatio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practice of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the elderly. Therefore ongoing encouragement for the frequency of current human rights education and improvements in the educational approach appear to be necessary. In addition, these findings reveal the need for strength of education policies and effective in-depth research about human rights and quality of service to respect the human rights of the elderly.

대학급식소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서비스 수행도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oriented Service Performance of University Foodservice Employees)

  • 원선임;박혜영;장유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8권4호
    • /
    • pp.359-371
    • /
    • 2002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oriented service performance in university food service employees Two hundreds-six food service employees working in Seoul were enrolled and the response rate was 85.8%. Of respondents, 85.9% was female and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40 years up (70.8%). Generally, respondents had approximately 5 years job experience and high school level. Mean score of job satisfaction was 3.23 score out of 5.00. The highest and lowest items on job satisfaction were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4.00). and promotions opportunity(2.69), respectively. Considering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s of supervisors, employment and care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P<0.05), job-system and wage(P<0.05), respectively. Mean score of customer-oriented service performance was 3.75. The highest and lowest items on customer-oriented service performance were delivering on time(4.02) and service information for customers(3.21), respectively. Customer-oriented servic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 and wage(P<0.05).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to customer-oriented service performance. Relationship of superviso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lationship of coworkers and career.

  • PDF

일본과 대만의 시간제 고용에 관한 연구 (Part-time Employment in Japan and Taiwan)

  • 이혜경;장혜경
    • 한국인구학
    • /
    • 제23권2호
    • /
    • pp.79-112
    • /
    • 2000
  •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의 확대와 노동유연성 추구라는 유사한 환경을 겪고 있는 일본과 대만에서 시간제 고용의 활성화와 여성화 현상이 매우 대조적임에 주목하였다. 즉 일본에서는 시간제 고용의 활성화와 여성화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었고 대만은 전혀 그 렇지 않은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한 문화권의 두 나라가 시간제 고용을 중심으로 이렇게 대조적인 이유와 이는 양국의 여성 노동공급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발견은 첫째, 시간제 고용을 둘러싼 일본과 대만의 현상을 시간제 \`활성화\` 와 \`비활성화\`로 요약한다면, 이는 가사와 육아의 부담으로 인한 여성의 \`자발적 선택\`이라는 개인주의적 접근보다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합작품, 그리고 국가의 복지 및 가족정책을 강조하는 구조주의적 접근으로 설명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노동시장분절론과 노동유연성론은 유용한 설명틀을 제공하였다. 둘째, 여성의 노동공급에 있어서의 일본과 대만의 차이도 노동시장의 구조와 가족의 대응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일본의 대기업 위주인 그리고 엄격히 분절적인 노동시장의 구조는 시간제 활성화와 여성화를 확대시켰고, 대만의 소(가족)기업 위주인 느슨한 그리고 덜 분절적인 노동시장은 한편으로는 기혼여성의 지속적인 정규직 취업을 용이하게 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공식 고용의 여지를 남겨 놓아, 시간제가 확대될 필요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의 확대와 노동유연성의 추구라는 유사한 환경변화에 대하여 국가별고 다른 적응과 대응방식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특히 대만의 사례는 비공식 노동시장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었으며, 비공식 노동시장의 현존이 산업화가 덜 되어서가 아니라, 노동시장의 특성상 중요하여 하청망을 통한 다품종 소량생산 이라는 산업화 전락의 일환일 수도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Restricting Factors and Countermeasures of Development in Business Services Industry of Shandong Province

  • Zhai, Wen Xiu;Lin, Dong Hua
    • 융합경영연구
    • /
    • 제1권1호
    • /
    • pp.1-14
    • /
    • 2013
  • Firstly, this article expounds that business service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adjusting industrial structure, transforming mode of economic growth, improving people's living standards, enhancing Enterprise's Kernel Competitiveness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y. Then it analyzes the development of business services in Shandong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perspective, by using methodology for statistical analysis, it will review the development scale, professional level, the number of opening units, quantity of employment, and operating revenue of business services in Shandong. On this basis, the article will summarize it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experience and existing shortcomings. The second perspective, by using comparison analysis methodology,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Shandong with Jiangsu, Guangdong, Zhejiang and Shanghai's and found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factors that restrict the development of business service industry in Shandong. In the light of restricting factors, countermeasure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experience at home and abroad. These countermeasures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the optimization and upgrading of industrial structure, improv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speeding up the economic development rapidly and stably.

세이프약국 금연서비스의 성공요인 (Success Factors for the Smoking Cessation Service of the Safe Pharmacy)

  • 강은정;박혜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8-43
    • /
    • 2017
  • Objective: Seoul City has implemented the Safe Pharmacy in 2013. This study aimed to ascertain the success factors of the smoking cessation service of the Safe Pharmacy. Methods: The data for the smoking cessation registration cards were obtained from the pharmacies which participated in 2014 Safe Pharmacy. The sample included 289 smokers in 6 districts who participated at least one sessions of smoking cessation service. the service included both behavioral intervention and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moking cessation servi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success of quitting smoking at the 4th week.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ge, sex, employment, chronic disease, district, smoking amount, registration path, supporters for quitting smoking and number of service sessions. Results: Fifty eight point eight percent of the sample successfully quit smoking at the 4th week. Unemployment, higher smoking amount, and less service sessions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success of quitting smok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uccess rate across districts. Age, sex, chronic disease, registration path, and anti-smoking supporters were not related to the success rate. Conclusion: Pharmacy can be an effective community resource for smoking cessation. Factors that c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service of the Safe Pharmacy and possible ways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pharmacies in smoking cessation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와 지속;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Continuity and Change in Korean Welfare Regime ; After 1990)

  • 홍경준;송호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205-230
    • /
    • 2003
  •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를 주도해 온 거대한 두 가지의 물줄기, 즉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세계화의 확산이라는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복지 정책은 변화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득보장과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이루어진 변화를 통해 1990년 이후 전개된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양상을 가능하면 정확하게 묘사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1990년 이후 사회복지 정책 영역에 대한 투입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1998년에는 GDP 대비 11%선으로까지 사회복지비 지출 규모가 늘어났다. 둘째, 이러한 전환은 복지를 둘러싼 국가와 기업의 역할 재조정을 의미하며, 그것은 바로 '낙후된 국가-성장한 시장'이라는 한국 사회복지체제의 중요한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셋째, 이러한 전환의 핵심적 내용은 소득보장제도의 발전으로 요약된다. 소득보장제도의 빈곤감소 효과와 불평등 완화 효과의 증대가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소득보장제도의 발전과는 대조적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은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다. 가족을 비롯한 공동체의 책임으로 남겨져 비상품화되어 있던 사회복지서비스 부문은 주로 기업에 위임되었던 소득보장 부문과는 대조적으로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1990년 이후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는 주목할 만한 것이었지만, 그것을 통해 체제의 변화까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 PDF

한국의 ICT산업의 발전과 고용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CT Growth and Employment in Korea)

  • 김수경;이상용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77-95
    • /
    • 2014
  • 한국의 ICT산업은 TDX, CDMA에서부터 인터넷 발전 및 최근의 소셜미디어 붐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ICT산업이 생산성 증대효과를 일으키는 것과는 반대로 고용에는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우려가 존재하고 있으며, 반면에 ICT산업의 노동대체효과에도 불구하고 산업 자체의 규모가 확산되기 때문에 고용의 증대를 가져온다는 상반된 주장도 있다. 따라서, 과연 ICT산업에 대한 투자와 산업의 발전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현재의 시점에서 실증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내 ICT산업 설비 총 투자량과 ICT산업 총 생산량을 ICT산업 발전의 대리변수로 두고, 고용변수를 全산업의 총 고용, 이중 제조업, 서비스업, 그리고 ICT산업의 총 고용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ICT산업의 고용에 대한 효과를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사용하여 Granger 인과관계 분석 및 동태적 충격반응함수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ICT산업의 발전은 서비스업 부분에서 고용감소 효과를 보였으나, 제조업 부분의 고용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ICT산업 자체 내의 고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ICT산업의 발전은 전체 산업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적어도 제조업의 고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ICT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고용시장은 축소된다는 주장과 달리, 본 연구결과에서는 ICT산업의 발전이 고용에 반드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용형태와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에서의 격차: 건강자원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The Disparities in Subjective Health by Employment Form and Gender: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s with Health Resources)

  • 김진영;임인숙;송예리아;한신원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181-209
    • /
    • 2012
  • 고용형태와 성별은 건강의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 한국사회의 주요 계층 요인들이다. 기존 연구들이 고용형태와 성별에 따른 건강 격차의 존재를 검토해 왔으나 이러한 격차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용형태와 성별을 동시에 고려한 집단들 사이에서 건강 불평등의 양상을 확인하는 한편, 그러한 불평등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건강 자원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1년 한국 성인에 대한 전국 대표 표본 조사인 한국건강불평등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통계분석을 통해 고용-성별 집단과 각 건강자원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한다. 건강 척도로는 주관적 건강인식이 사용되며, 건강자원으로는 네 가지 차원(사회적 관계, 심리적 자원, 활동요인, 의료서비스 이용)의 총 19개 변수가 포괄적으로 고려된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규직 남성에 비해 나머지 세 고용-성별 집단이 자신의 건강을 더 좋지 않게 평가한다. 둘째, 이러한 건강 격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자원은 각 집단별로 다르다. 가장 건강을 열악하게 평가한 비정규직 여성에게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은 자원은 자녀와의 원만한 관계이다. 비정규직 남성 집단에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은 자원은 부모 혹은 형제자매와의 원만한 관계, 낮은 스트레스, 종교활동 참여이다. 마지막으로, 정규직 여성에게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은 자원은 대인신뢰이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건강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자원을 모든 이에게 무차별적으로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집단의 건강 향상을 위해 특히 효과적인 자원에 초점을 맞춰 개인적 정책적 실천을 도모할 필요성을 제기한 점이다. 현재처럼 계층집단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는 일반 대중에 대한 보건 정책은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낮은 계층의 건강을 위해서는 그들의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

  • PDF

취업준비 과정에서 승무원 이미지와 취업결정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Airline Cabin Crew Images and the Airline Employment Decisions)

  • 김영진;임연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81-688
    • /
    • 2017
  • 이 연구는 경제상황 변화와 인구통계학적 구조변화 등으로 인하여 국내 취업시장이 불안하게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항공산업 발전을 배경으로 항공사 취업을 목표로 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가 항공사 취업결정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42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가 항공사 취업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채택 되었다. 세부적으로는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 중 고객지향성과 패션성이 항공사 취업결정의 호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전문성과 외향성은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 중 직업전문성, 패션성, 외향성 등은 장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형성은 서비스에서 필수적인 요인이지만 승무원을 준비하는 대학생은 취업결정에 앞서 직업으로서의 승무원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항공사 취업준비생은 풍부한 상식, 항공관련 정보력, 기내 식음료 정보 등의 지식을 기반으로 한 직업전문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인적서비스가 강조되는 승무원은 밝은 표정, 고객을 배려하는 인성, 친근한 미소, 상냥한 말씨, 승객과의 친화력, 탁월한 기내서비스 능력 등 고객지향성 요인의 중요성인식과 자질 준비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취업 준비생이 인식하는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와 취업결정에 대한 세부적 인과관계 연구한데 의의가 있으며, 준비생은 직업전문성과 아울러 외향성, 패션성 등과 같은 유형적 요인가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