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athic Abilit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한방의료 품질 향상을 위한 신뢰구현 체계구축 연구 (A Research on Trust Realization Strategies for Oriental Medical Quality Improvement)

  • 김현지;김소연;지영승;남승규;김정호;김영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75-93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medical trust realization system by finding factors influential to it using questionnaire. Methods : 277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a treatment, we conducted a survey from April 1st to October 31th about medical service perception index, medical trust index, patient satisfaction index, patient reliability index, patient flow degree index, recall intension index, and hospital image index.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medical service perception with other 6 indexes, we statistically mad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sults through the survey. Results : B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valuation of hospital image influenced all 6 indexes. The systemicity of treatment process had an effect on 5 indexes except for the flow degree of patients. The humanity of medical team brought out the estimation of 4 indexes except for the patient flow degree and hospital image. The empathic ability of doctor and appropriacy of medical costs hold the next rank influencing 3 indexes. It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systemicity of medical team tend to determine the medical trust and patient reliability. The expertise, professional skill of doctor, the fault, commercial application, fame of medical team, the speed of treatment process, the newest and clean medical facility affected each one index. Conclusions : Korean medicine should find a way to consider the mind of patients for improving the medical quality through trust realization system, keeping up with tim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can find out important causes which influence the trustful medical system. From now on, we should apply this result to actual treatment of psychology customized system. Also, more simple and clear questionnaire was organized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used to forward research to apprehend patient mentality more conveniently.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개 핵심역량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함의 (A Study on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6 Key Competencie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서미경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221-25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적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6개 핵심역량을 기독교교육적으로 해석하여 설명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모형의 대안으로 기독교적 신앙을 토대로 한 신앙적 핵심역량 모형을 구현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기독교적 핵심역량을 '신앙'으로 도출하였다. 기독교적 핵심역량 '신앙'은 성경 지식(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 안에서 자기 자신과 세계와 하나님을 알고, 기독교적 자아정체성, 성경적 가치관, 기독교 세계관을 가지고, 사고하고,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 곧 역량이다. 핵심역량 '신앙'은 모든 역량의 함양과 발휘의 동기, 태도, 가치의 기반(기준)이 될 수 있다. 기독교 신앙적 핵심역량 모형은 기독교적 핵심역량 '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6개의 핵심역량이 함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개 핵심역량을 기독교교육적으로 해석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관리 역량에서 자아정체성은 초월자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 심미적 감성 역량에서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는 최고의 아름다움이신 하나님, 아름다움의 근원이신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해로부터 온다. 인간의 공동체성은 우주만물을 창조하시고 인간을 지으신 하나님이 그 근원이시다. 기독교적인 공동체는 하나님, 타인, 자연과의 삼중관계 안에서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지역·국가·세계가 하나님의 공동체가 된다. 의사소통 역량은 먼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좋은 태도, 존중하는 마음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리고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공통의 언어가 필요하다. 공통의 언어는 서로간의 소통하는 교제를 위해서 주신 성경이다. 하나님은 성경의 언어를 통해서 인간이 하나님을 알고, 인간을 알고, 창조 세계를 알고, 계속해서 하나님과 그리고 타인과 세계와 소통하게 하셨다. 지식정보처리 역량에서 지식과 정보의 처리와 활용에 대한 가치의 기준이 필요하다. 이 기준은 인간 존중을 위한 도덕적, 윤리적인 가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창의적 사고 역량에서 창의성의 근원은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시다.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은 창의적 잠재력을 가진 존재이다. 그리고 창의성은 개인의 선호도와 흥미에 따라 다른 표현 양식을 가지며, 각 개인의 중요도와 성취도에 따라 다른 접근 방법을 가진다. 개인의 창의성은 교육을 통해서 발견할 수 있으며,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