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Vocabular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5초

MMORPG의 감성평가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cklist of Emotional Evaluation for MMORPG)

  • 박상진;곽훈성;서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217-224
    • /
    • 2006
  • 대규모 다인 접속이 가능한 온라인 게임이 인기를 누리면서 다수의 온라인 게임 제작회사의 개발 건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게임의 양적 팽창속도에 비해 질적 팽창속도가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는 소수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선두업체를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영세 업체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제작 절차 부재와 출시 전 정확한 테스트가 수반되지 않아 예측 가능한 결과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는 게임성 점검 단계를 통해 중요한 기능이 구현되지 않거나 특정한 부분의 치명적인 에러를 찾는데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사용성 평가 시스템에 치우쳐 있는 평가체계를 사용성과 더불어 게임을 하면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해 게임에서 느끼는 감성어휘를 수집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Interactivity, Interface, Information 요인으로 분류한 후 그에 맞는 평가문항을 설계하여 감성평가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중국역사영화 '영웅'의 건물배경에 대한 감성분석 (Emotional Analysis on the Building Background of Chinese History Film 'Hero')

  • 선위;송승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1-292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역사영화 '영웅'의 소재로 활용된 건물배경에 대한 관객의 감성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감성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통해 건물배경에 적합한 감성어휘를 도출하고 이를 설문형태로 감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화의 건물 배경이 관객에게 감성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중국 전통양식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Emotional Vocabulary-based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 Park, Kyung-Woo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58-162
    • /
    • 2013
  • In these days,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digital contents increased because of growing internet users. Now the digit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is producing video which is based on keywords and contents. This paper proposes the sensibility-bas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which can analyze and manage contents of video production system. Due to the sensibility-based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manage sensibility contents what users want. As a result, by building a database, we can provide intelligent and meaningful services. In addition, contrary to low grade's contents-based production system, we can cope actively with users' demands.

'해리 포터'에 대한 감성의 탐색적 연구 : 건물배경을 중심으로 (The Exploratory Study on Sensibility of 'Harry Potter' towards the Building Background)

  • 선위;송승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4-12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매직영화인 '해리 포터'를 대상으로 영화 속 건물과 배경에 대한 관객의 감성을 탐색적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영화 속 건물배경에 적합한 감성어휘를 도출하였다. 영화의 건물 배경이 관객에게 감성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서양 고전적 고딕 양식과 문화를 감성적인 측면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현대 식음공간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bjects Appeared in Interior Spaces of Contemporary Restaurants and Bars)

  • 안주희;류호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4-189
    • /
    • 2008
  • The change in a society have brought about other changes in the overall areas of culture and art. And have brought the advent of "object", which is a unique cultural aspect. The object became a trend of the world in a culture and art. This trend has satisfied the modern people who have look for new visual stimulation. The object appears well in the spaces restaurants and bars where are reflected in consumer's needs and change of life pattern. The reason is that the spaces restaurants and bars have expressed the differentiated and individualized image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times. There are three types of the expressed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interior design. These are visual, function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But in this study it could not be found that it characterized with one concrete vocabulary and concept. Therefore, it is need to understand the various tendency which expressed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the spaces restaurants and bars.

  • PDF

모바일 웹 기반의 면접 환경 개선을 위한 감성어휘 분석 모형 설계 (Design of Emotional Vocabulary Analysis Model for Interview Environment Enhancement Based on Mobile Web)

  • 김용우;박석천;홍석우;김태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8-1041
    • /
    • 2013
  • 모바일의 발전과 확산으로 인해 모바일 웹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사용성과 접근성이 용이한 웹 기반에서 인적자원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인적자원과 관련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활용성에 대한 연구가 여러 기업에서 진행 중이며 국내외 인적 자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들은 모바일을 활용하여 인적자원 시스템에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은 모바일 웹 기반의 인사 시스템에서 감성 어휘를 구축하여 면접자가 면접을 통해 받은 감성이나 인상에 대한 정보를 면접자의 모바일을 통해 설문지 형태로 모바일 웹 기반으로 한 채용 시스템에 입력하게 한다. 입력된 정보는 감성 어휘의 특정 형용사를 기준으로 구축된 감성 사전을 통해 면접 환경 개선에 필요한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모바일 웹 기반의 감성 어휘 분석 모형을 설계하여 면접 환경 개선을 할 수 있는 시각화 모델을 제안한다.

감정 어휘 사전을 활용한 영화 리뷰 말뭉치 감정 분석 (Movie Corpus Emotional Analysis Using Emotion Vocabulary Dictionary)

  • 장연지;최지선;박서윤;강예지;강혜린;김한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79-383
    • /
    • 2021
  • 감정 분석은 텍스트 데이터에서 인간이 느끼는 감정을 다양한 감정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감정 분석은 긍정과 부정, 또는 중립의 극성을 분류하는 감성 분석의 개념과 혼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에서 느껴지는 감정들을 다양한 감정 유형으로 분류한 감정 말뭉치를 구축하였는데, 감정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 심리학 모델을 기반으로 분류한 감정 어휘 사전을 사용하였다. 9가지 감정 유형으로 분류된 한국어 감정 어휘 사전을 바탕으로 한국어 영화 리뷰 말뭉치에 9가지 감정 유형의 감정을 태깅하여 감정 분석 말뭉치를 구축하고, KcBert에 학습시켰다. 긍정과 부정으로 분류된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KcBert에 9개의 유형으로 분류된 데이터를 학습시켜 기존 모델과 성능 비교를 한 결과, KcBert는 다중 분류 모델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감성어휘을 통한 디지털이미지 크리에이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Image Creating Through Emotional Dimension)

  • 박상진;곽훈성;서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89-97
    • /
    • 2006
  • 디지털 방식이 가져온 변화는 기존사회 가치체계 자체의 변화를 추구하며 남과는 다르게 차별화 시키고자하는 사고방식이 그전보다 훨씬 강해지고 있다. 따라서 변화된 환경에 맞는 다양하고 독창적인 이미지 연출이 필요하며, 이미지 제작을 위한 표현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고는 디지털 이미지 크리에이팅에 관한 것으로 먼저 개발 대상을 선정하고, 감성차원을 통해 개발 대상에서 연상되는 감성어휘를 추출한다. 이후 대상간의 연계성을 시네틱스의 상징적 유추를 통해 시각화시키는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본 논고에서 활용된 시네틱스 기법은 그 특성상 대상의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그 해결책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과 접근방법을 찾을 수 있기에 문제 정의와 문제 해결에서 창조성을 자극시키는 도구로써 사용되었다 궁극적인 연구 목적은 단순한 이미지의 왜곡이나 변형이 아니라 본질적인 의미가 담긴 디지털 이미지 제작의 방법 모색과 프로세스 접근에 대한 태도의 전환을 통해 독창적이고 다양한 디지털 이미지 연출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 PDF

뉴트로 패션 스타일의 시각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Image of Newtro fashion style)

  • 김정후;김정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1-9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tro fashion style and extract key descriptive terms for visual image evaluation based on the style. To achieve this, a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survey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ewtro fashion exhibited a variety of styles depending on the items being considered. In particular, the windbreaker style is composed of windbreakers, sweatshirts, and training pants, the blazer style consists of blazers, sweatshirts, and denim pants, and the padding style is characterized by short padding, sweatshirts, and jogger pants. 2) A total of 28 terms were identified as vocabulary to represent the visual images of newtro fashion. Among these, 17 terms appeared with a frequency of 30 or more times across the three styles. Commonly used terms included 'emotional', 'desirable', 'empathetic', 'unique', 'moody', 'retro', 'sophisticated', 'stylish', 'vintage', 'confident', 'youthful', 'trendy', and 'modern'. 3) By examining terms with a frequency of 50 times or more, the visual images associated with each style were compared. For the windbreaker style, the newtro fashion image was predominantly described as 'desirable', 'youthful', 'modern', 'stylish', and 'emotional'. The blazer style was associated with 'retro', 'unconventional', 'stylish', 'trendy', 'empathetic', 'modern', 'intricate', and 'unique'. In the padding style, the newtro fashion image was characterized as 'youthful', 'intricate', 'cute', 'stylish', 'modern', 'unique', and 'confident'.

청소년의 정서문제와 게임 몰입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roblems and Game Commitment in Adolescents)

  • 조옥희;허묘연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101-110
    • /
    • 2018
  • 본 논문은 2016년 기준 전국 고등학교 1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이 게임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게임은 한국의 대표적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한 분야로 문화콘텐츠로써의 강국이 되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산업 분야이다. 하지만 게임 과몰입은 게임 과몰입이라는 부정적인 어휘로 표현되며 사회문제 및 청소년 문제로 언급되며 게임이라는 콘텐츠에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모든 사용자는 콘텐츠를 즐길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독 게임에만 이런 부정적인 단어가 사용되며 마치 사회문제인 것처럼 잘못 포장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기존 연구에서 도출되었던 많은 정서적 문제들은 일반 청소년의 경우 게임이용과 관련성을 보기 힘들었으며, '우울'과 관련된 문항들을 통해 일상생활에 대한 의욕이나 에너지가 부족한 학생들은 게임이용에서도 의욕이나 흥미를 나타내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매사에 적극적이며 정서적으로 밝은 학생들이 게임 콘텐츠 이용 빈도 수 또한 높다는 결론을 통해 게임과 청소년 정서문제의 긍정적인 면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