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assessment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6초

형용사를 이용한 자동 주관적 평가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Subjective Assessment System Using Adjectives)

  • 민병운;민병찬;정순철;김철중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1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Subjective Assessment System (ASAS). The proposed subjective assessment system is designed to evaluate human emotion and sensibility (or "gamsung" in Korean terminology) with subjective responses of volunteers about the experiment of emotion and sensibility. Once volunteers enter their subjective responses about the experiment into the developed system, the proposed system can automatically generate statistical results of human emotion and sensibility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Then, the system stores the statistical results in the database which will be open to public through internet. The proposed system will be integrated into the universal" gamsung"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human emotion and sensibility.

불면증 환자의 핵심감정평가도구를 활용한 정서적 특성 연구 (A Study on Emotional Characteristics with the Core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Chiljeong in Insomnia Patients)

  • 최성열;유영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1-200
    • /
    • 2015
  • Objectiv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certify the objectivity and significance of the Core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Chiljeong as a diagnostic measure in insomnia patients. Methods: We collec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inpatient and outpatient targets that had symptoms of insomnia.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repeated measure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Bi and Kyeong emotion scores were higher but the Hui emotion score was lower for insomnia patien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SI score and the Core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Chiljeong, the more severe the insomnia, the higher the Sa and Kyeong emotion scores were, whereas the Hui emotion score was lower. Patients that were male, married, old, and had higher education showed a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Gyeong and ISI scores. Conclusions: Using the Core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Chiljeong for insomnia is thought to be helpful in both the diagnostic and clinical aspects of insomnia.

사용자 및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성별이 사용자의 평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users and interface agents' gender on users' assessment of the agent)

  • 정덕환;조경자;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523-538
    • /
    • 2007
  • 본 연구는 의인화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와 사용자의 성별이 에이전트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에이전트의 시각적인 사실성의 수준에 관계없이 성별과 정서 표현 방식의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은 공감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얼굴 사진을 에이전트로 제시하고 에이전트의 성별과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사용자의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참가자로 하여금 에이전트와 함께 과제에 참가하게 한 다음 에이전트에 대한 느낌을 대인 평가 척도를 이용해 평정하도록 한 결과, 전반적으로 여성 에이전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참가자가 이성의 에이전트를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구 2는 시각적인 사실성이 떨어지는 그래픽 캐릭터를 이용하여 에이전트로 제시하고 성별과 정서 표현 방식을 조작하였다. 참가자로 하여금 에이전트와 함께 과제에 참가하게 한 다음 에이전트에 대한 느낌을 평정하도록 한 결과, 연구 1과 마찬가지로 여성 에이전트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참가자는 참가자의 상태에 호응하는 방식으로 공감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에이전트를 에이전트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는 조건이나 정서를 표현하지 않는 조건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시각적인 사실성이 떨어지는 에이전트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경우에도 에이전트의 성별의 효과와 공감적인 정서 표현 방식의 효과는 여전히 사용자의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지지하였다.

  • PDF

영상의 재생 스타일에 따른 감성적 효과와 감성 평가 도구의 개발 (Affective Effect of Video Playback Style and its Assessment Tool Development)

  • 정경아;석현정
    • 감성과학
    • /
    • 제19권3호
    • /
    • pp.103-120
    • /
    • 2016
  • 본 연구는 영상의 시간적 요소를 제어하였을 때 어떠한 감성적 효과가 나타나는가를 탐구하였고,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영상 감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는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원본 영상 대비 영상의 재생 스타일 적용이 야기할 수 있는 감성적 가치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영상의 배속, 방향성, 연속성 등 세가지 시간적 요소를 제어해 총 11 가지의 재생 스타일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재생 스타일 각각에 대하여 원본 영상과 견주어 어떠한 감성적 효과가 부가되는가를 어휘 형태로 수집하였다. 원본 영상으로는 중성적인 감성과 네 개의 감성 영상 - 기쁨, 여유로움, 화남, 슬픔 - 을 활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N=30) 총 3,800 개의 단어들이 수집되었으며, 위 단어들은 899 종의 감성 어휘로 정리되었다. 그리고 감성 어휘들은 유의어 관계에 의해 총 52 가지의 감성 어휘 군집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재생 스타일이 적용된 영상의 감성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극물로 재생 스타일이 적용된 11 가지 상업적 영상물을 수집하고, 각 영상을 재생 스타일이 적용되지 않은 원본 영상으로 변환하였다. 그리고 첫 번째 실험과 같이 재생 스타일이 적용된 영상과 원본 영상을 동시에 제시해, 재생 스타일에 의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자들은 (N=30) 감성 어휘 899 종 가운데 선별된 대표적인 영상 감성 어휘 38개에 대해 5 점 척도로 응답하였다. 요인 분석법을 통해 응답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감성 요인 - 기쁨, 슬픔, 회상적, 이상함 - 이 추출되었다. 이 4개 요인은 보편적인 정서 이론가 비교하여 기쁨과 슬픔이 공존한다는 차이점을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애니메이션 기반의 감성 평가 도구를 개발한 후 이에 대한 활용 가치 및 응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터치폰 인터랙션의 Flicking에 대한 감성 터치감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Emotion Assessment by Touch Sensibility Flicking on Mobile Phone)

  • 김지혜;황민철;김치중;박재언;문성철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3-540
    • /
    • 2010
  •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roper level of touch sensibility for twenties while flicking touch phones. A rapid prototype of $480{\times}800$ pixel size was developed for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20 undergraduates, not visually and physically handicapped in using touch phones. 15 different modes, with each mode changing in velocity when flicking the prototype were randomly presented to each subject. The subjects were asked to score what they felt in each mode on a 1-to-6 Likert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one-way ANOVA procedure. Each mo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8 representative emotions except for exclusivity feeling and fresh feeling. Each velocity mode was scaled by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technique. Then, vector coordinates in each emotion were obtain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15 velocity modes and each emotion were joint-plotted by the MDS, PROXSCAL.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be basic data for studying affective touch sensibilities in multiple ways.

Emotion Modeling for Emotion-based Personalization Service

  • Kim, Tae Yeun;Bae, Sang Hy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97-104
    • /
    • 2020
  • This study suggests the emotion space modeling and emotion inference methods suitable for personalized services based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models. For personalized emotion space modeling taking into account the subjective disposition based on the empirical assessment of the personal emotions felt by the personalization process of emotion space was used as a decision support too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is confirmed that the special learning to perform personalized emotion space modeling without considering the subjective tendencies. In particular to check the possible reasoning based on fuzzy emotion space modeling and sensitivity for the quantification and vague human emotion to it based on the inherent human sensitivity.

한의학 칠정(七情)에 기반을 둔 핵심감정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re Emotion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the Chiljeong)

  • 이고은;박보영;김향이;유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9-122
    • /
    • 2014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e emotion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the Chiljeong. Methods: We searched for a literature review of oriental medicine and established the operational definition. Based on the existing psychological scale measurement, we selected the items and analyzed the reliability through a two-step preliminary study. Results: 1) Through the analysis of reliability after the two-step preliminary study (first: 170 items, n=63, second: 152 items, n=42), we had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 0.70) as well as good test-retest reliability (>0.70). Thus, we demonstrated that this scale had reliability. 2)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each emotion, we had a comparatively strong positive-correlation (>0.6), except for Hui, and found a particularly high correlation of Sa, U and Bi. Conclusions: We developed the final 141 items of the core emotion assessment instrument through the two-time preliminary study. In the future, the main study on the clinical and non clinical groups of various ages should be continued.

Assessment Criteria and Capability Scores for Upper Extremity Functions from Inclusive Design Perspectives

  • Kim, Taesun
    • 감성과학
    • /
    • 제19권2호
    • /
    • pp.89-100
    • /
    • 2016
  • Inclusive design is increasingly gaining attention, as some people find using products difficult after becoming physically impaired, despite daily use. However, making inclusive products is a challenge for designers or companies, as a lack of knowledge and tools stems their low involvement in it. Developing inclusive design tools is thus needed. This study developed criteria to assess upper extremity capabilities corresponding to specific daily activit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8 physiatrists and orthopedists. Non-parametric statistics were employed and medians were adopted as representative scores in the assessment criteria based on normality and reliability test results, non-normal data, and strong reliability of respondents in ranking. Consequently, an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with 14 criteria (divided into range of motion and strength) and capability scores between 0 and 100, which discerned the moderately impaired from the severely disabled and fully capable. Since the doctors agreed to adopt the criteria but assign numeric values, especially for mild impairments, their capability assessment perception was likely influenced by dichotomy. To compensate for these deficits, qualitative or ergonomic approaches are considered simultaneously.

가로경관에 대한 감성평가모형 적용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streetscape using the Model of Emotion Evaluation)

  • 이진숙;김지혜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149-1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감성분석기법이 환경평가에 적극 적용되어지면서 쓰이는 감성평가모형을 선행연구조사와 실험을 통해 두 가지 축약형 모형과 추론형 모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두 가지 유형의 대표 모형인 EPA모형과 PAD모형의 평가어휘들의 특성을 실험을 통해 분석해 본 결과, 두 모형은 개발방식과 어휘구성에 큰 차이가 있고, 요인분석을 통해 어휘들이 모형별로 축약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사성 관계를 다차원척도법으로 분석한 결과 서로 관계성이 어느 정도 성립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감성평가모형이 감성평가에 사용될 때는 한쪽으로 치우치기 보다는 모형의 특징을 분석하여 적용하면 보다 객관적인 이미지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경관 환경평가로만 국한되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의 평가대상이 비교될 수 있는 감성평가모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