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Categor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4초

얼굴 매력의 교차문화적 비교 (Th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facial attractiveness)

  • 김수정
    • 감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271-284
    • /
    • 2008
  • 한 시대나 사회의 얼굴매력에 대한 관점을 영화배우 등 인기연예인의 얼굴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물리적 특징에 기반 한 한국 및 외국 연예인 얼굴 의 교차 문화적 특징 및 추세를 알아보았다. 얼굴인상감성모형을 이용하여 각 연예인얼굴의 물리적 특징을 측정하고 얼굴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의 여자연예인 47명, 남자연예인 47명, 외국 여자연예인 116명과 남자연예인 87명으로 총 297명이었다. 교차문화적인 분석에서 나타난 한국과 외국의 남녀 연예인 얼굴의 공통적인 특징은 날카로운 인상이었다.

  • PDF

감성 개념을 이용한 웹 이미지 검색 결과 분류 (Categorizing Web Image Search Results Using Emotional Concepts)

  • 김영래;권경수;신윤희;김은이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562-566
    • /
    • 2009
  • 영상 검색에서 보다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시스템들은 결과내 재검색을 위한 카테고리 내 검색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감성 카테고리를 사용하여 영상을 분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영상에 포함된 컬러와 패턴 정보를 가지고 감성 벡터를 추출하여, 각 영상을 8 개의 감성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이때, 감성 카테고리는 고바야시가 정의한 8 개의 어휘 {romantic, natural, casual, elegant, chic, classic, dandy, modern}를 사용한다. 질의에 대한 결과가 주어지면, 사용자는 선택한 감성 카테고리로 재분류된 영상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야후 이미지 검색에서 수집된 풍경 영상 1,000 장으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증명하였다.

  • PDF

스토리텔링 마케팅에서의 공간에 관한 연구 (Study of Space in Storytelling Marketing)

  • 정선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5-130
    • /
    • 2006
  • The various kinds of consumption belong to a general category and at the same time the expression of most basic aspiration in the human life. Since the ancient times, the consuming activities have lasted with the other basic activities and the consuming space conducting consumption has developed as physical devices along with the human history. Those companies that have been given attention and getting favorable impression currently being selected by the consumers are now concentrated on the storytelling marketing. The storytelling marketing is that the emotion-oriented marketing activities give consumers the opportunities to enjoy the product contained stories to put the stories to marketing activities. It approaches to consumer with human story emotionally rather than rationally and heart rather than mind. Recently, the architecture has become artistic either it was linked and contacted media or part of marketing. We think that the story telling marketing is the eternal triangle among art, architecture and marketing that is a propensity or movement to interior at this time. I found out that the storytelling marketing methodology is able to touch the consumer's heart and stimulate consumption aspiration that makes new circumstances and experience expressing space. And for that, effective marketing methodology is to give the consumers a more exciting and enjoyable motivation in accord with the modern society to give companies positive image to customers and accordingly for the companies to gain profits. The story telling space that is filled with ideas which produce new circumstance and experience using the established narrative and theme will be required continuously and able to develop in the future.

  • PDF

NICU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정체성 (Maternal Identity in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admitted in NICU)

  • 신희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7-125
    • /
    • 2004
  • Purpo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maternal role attainment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admitted in NICU and to conceptualize the phenomena. Method: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utiliz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8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Paradigm model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and presentation. Result: The central category was 'unstable maternal identity'. The properties of the core phenomena was 'ambivalent feeling to baby' 'negative emotion' 'commitment to baby'. The loss of control due to premature delivery was the causal condition. contextual condition was the 'perceived threats' due to severity of the premature infant and uncerainty of the baby's life. The mother's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and familial and social support was recognized as intervening conditions during the process of maternal role attainment. The strategic action/interactions were emotion-focused coping, reappraisal of the situation, problem-focused coping, and information seeking. The consequence was the maternal role attainment with competence and expectation. Conclusion: The process of maternal role attainment was affected by threats due to severity of the baby and intervening factors and interaction strategy.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to develop adequate intervention method during the process of maternal role attainment.

  • PDF

한국인 20대 여성 얼굴의 감성모형 (An Affective Space Model for the Faces of Korean Women in Twenties)

  • 박수진;한재현;정찬섭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47-55
    • /
    • 2001
  • 박수진, 김한경, 한재현, 이정원, 김종일, 송경석 및 정찬섭(2001)에서의 발견을 토대로 얼굴의 감성모형을 개발하였다. 박수진 등의 연구에서는 얼굴의 감성구조를 이루는 2개의 차원축으로 ‘날카롭다-부드럽다’, ‘앳되다-성숙하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축들로 이루어진 얼굴의 2차원 감성공간 내에 균일하게 17개의 위치를 선정하고 각 위치들에 합성된 해당 얼굴들을 배치함으로써 감성에 영향을 주는 전체적인 얼굴특징이 무엇인지를 가시화하였다. 또한, 얼굴의 물리적 특징들이 감성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두 개의 주요 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범주모형으로서 개별 감성어휘들과 얼굴의 물리적 특징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PDF

심미적 영향요소인 단순/복잡과 제품 형태의 기능 표현 지각 그리고 선호도의 관계 (The Research on the Product's Aesthetic Influential Factors of Simplicity/Complexity and Applying functions to Its Shape, and the Consumers' Preferences Related to Them)

  • 조광수
    • 감성과학
    • /
    • 제8권1호
    • /
    • pp.63-74
    • /
    • 2005
  • 본 연구는 심미적 영향요소 중 하나인 단순$\cdot$복잡이 과연 선호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다른 심미적 차원들과의 관계를 정립하기 위한 초기 연구 과정 중 하나이다. '제품이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 제품 형태에 표현될 때 과연 심미적 영향요소 중의 하나인 단순$\cdot$복잡이 그 기능 표현에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기능 표현, 단순 복잡 그리고 선호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택된 제품들을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 제품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범주별 성향을 찾고 이를 기본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검증하도록 한다.

  • PDF

텍스타일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에 대한 실증적 접근 - 디지털 나염 전용 캐드 설계를 위한 모티브 개발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Approach on Textile Designer's Mental Model focused on the Motif Development for designing CAD tool of Digital Textile Printing)

  • 송승근;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0-16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오디오 프로토콜 분석 방식을 이용해서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 중 모티브 개발 단계에서 디지털 나염(DTP : Digital Textile Printing) 전용 캐드(CAD)와 같은 디자인 저작도구를 설계할 때 어떤 요소에 중점을 두고 개발 할 것인지에 대한 향상된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토콜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디자인 행동 범주의 틀을 하향식(top-down)방식으로 설정하고 실제 행동 프로토콜 (action protocol) 분석을 통해 상향식(bottom-up)방식으로 세부 디자인 행동을 도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선행연구의 건축디자인과는 다른 특징을 지니기 때문에 프로토콜 분석에서도 새로운 디자인 행동 범주(action category)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모델 휴먼 프로세서(Model Human Processor)이론을 근거로 디자인 행동을 모터 행동(motor action), 지각 행동(perceptual action), 인지 행동(cognitive action)의 세 가지 범주[4]로 나누었으며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합한 코딩 스킴(coding scheme)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코딩 스킴을 토대로 디자인 저작도구에 대한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Cognitive Model)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은 디지털 나염을 기반으로 하는 모티브 개발 단계에서 스케치와 렌더링에 대한 디자인 저작 도구의 향상된 설계지침 뿐만 아니라 방향도 시사하였다.

  • PDF

로고 유무에 따른 감성 분석 (Sensitiv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Logo)

  • Yoon, Hyung-Kun;Fu, kaili;Zhou, Junjun;Zhuo, Tian
    • 감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355-366
    • /
    • 2012
  • This paper analyses the sensory responses of Chinese female consumers towards different designs of perfume bottle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logos on them. We used total 40 samples of the perfume bottles, 20 with logos on them and 20 without, and the results show that young Chinese female consumers prefer simple designs over complex designs that contain different types of free curves with vivid colors.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logos on bottles was found not to change the responses significantly, meaning that the logos on bottles do not affect sensibility of Chinese female towards perfume bottles. A logo's impacts on the bottle depended in part on the bottle's color and shape. Overall, a perfume bottle with simple shapes and light colors became regarded as more resplendent when the logo was added, but a bottle with more complex shapes and vivid colors tended to become regarded as plainer after adding the logo. This shows that a logo serves as a conciliatory element in the impression of the whole bottle in the 'resplendent-plain' category.

  • PDF

규범적 표상의 방향성 효과 (The effect of orientation on recognizing object representation)

  • 정효선;이승복;정우현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501-510
    • /
    • 2008
  • 규범적 표상은 단어나 주제가 주어졌을 때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심상이다. 이러한 규범적 표상은 대상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특정한 조망이나 방향으로 떠오르게 된다. 규범적 표상이 측면임을 시사하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규범적 표상의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규범적 표상을 자연범주와 인공범주로 구분하여 자극의 제시 방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실험은 그림의 방향성(왼쪽/오른쪽)과 범주(동물, 자연범주/도구, 인공범주)를 두 가지 독립변인으로 하여 설계하였으며 단어-그림 일치 판단과제를 사용하여 정답 반응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답 반응률은 범주 내에서 방향성에 따른 모든 조건에서 천장효과를 보였으며 아주 근소한 차이만 있었다. 반응시간에서 범주변인의 주효과, 범주와 방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자연범주에 속하는 동물 그림에서 방향성 효과가 관찰되었다. 동물의 머리가 왼쪽으로 향하는 그림이 오른쪽으로 향하는 그림 보다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빨랐다. 그러나 인공범주에 속하는 도구 그림에서는 방향성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의 규범적 표상의 방향성은 왼쪽을 향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 PDF

김수현 멜로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성 이데올로기 <내 남자의 여자>를 중심으로 (Category Grammar and Gender Ideology of the Su-Hyeon Kim's Melodrama Focused on )

  • 유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75-183
    • /
    • 2009
  •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에 관한 본격적 연구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역사를 써 온 김수현 작가의 최근작 멜로드라마 <내 남자의 여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김수현 작가의 차별성과 경향성을 분석하고 있다. 김수현 작가는 연구 대상 작품을 통해, 불륜이라는 선정적 소재를 '심리 추적과 이분법 파기'라는 장르 문법을 구사함으로써 사랑에 관한 '자기 성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성공한다. 이는 한국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에 제기돼 온 상투성과 이분법, 비현실성, 감정 과잉의 텍스트 문제점을 극복하는 결과이다. 또한 김수현 작가는 서사와 인물화를 통해 기존의 가부장 중심 성 이데올로기를 전복하는 진보적 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는 김수현 작가의 이 같은 장르 문법 차별성이 한국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에 끼칠 수 있는 영향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멜로드라마에서 보여준 진보적 경향성이 김수현 작가의 다른 장르 작품에도 투영되는지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함으로써, 지속적인 드라마 작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