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workers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3초

일부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Job-stress on Fatigue Among 119 Rescue Workers)

  • 최성수;김경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33-439
    • /
    • 2016
  • 이 연구는 일부 119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파악하였다. J도의 119 구급대원 264명을 자가 보고 설문지로 2015년 1월 5일부터 3월14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설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건강관련 특성, 직무스트레스와 피로도를 파악하여, 피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119구급대원의 피로는 구급대원의 개인적 특성뿐 아니라 직무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향후 119구급대원들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현장에서의 직무수행 후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해소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구급대원들의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을 통해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응급실 근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유병률 및 발생 기여 요인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Emergency Room Worker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Its Occurrence)

  • 고동률;김건배;이지환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at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occup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ing of PTSD in workers who worked in emergency room in Korea. Methods: This study is a multicenter cross-sectional study that was conducted in three emergency rooms. Data was collected by self-response method through questionnaire. The Impact Event Scale-Revised was used to screen the high-risk group of PTS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ing of high-risk group of PTSD. Results: Total 211 subjec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these, 170 subjects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event (PTE)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60 subjects classified as high risk group of PTSD, so a prevalence of high risk group for PTSD was 28.4%. Factors related to the high risk group of PTSD were the frequency of psychological trauma events experienced over the past 1 year and the high score of QIDS-SR16.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high risk group for PTSD among emergency room workers in Korea is very high. This may adversely affect the safety of patients, so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are necessary.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수발 담당자의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수요도 조사 - 일개 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ed for Emergency Care Education in Nursing Homes)

  • 엄동춘;성시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1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eed for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in nursing homes. Method: 312 people who were engaged in caring for the elderly at nursing homes in D-metropolitan c! ity answered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experiences, the need, and the ideal methods of education for basic emergency care, from Jul. 1. 2007 to Jul. 30. 2007. Result: 69.9% were female. Only 7.1% were nurses and the rest did not have majors in the medical field. 83.0% had experienc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and 89.2%, 78.4% and 44.8% of them had been educated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irway obstruction care, and fracture/sprain/dislocation care respectively. Fifty-three who had not experienced education answered 'no opportunity' as a cause of non-education. The need for emergency care education was 4.53/5.00, and the desire to receive education was 2.81/3.00. Mainly workers wanted to be educated abo! ut airway obstruction (88.1%), and breathing assistance & cardiac massage (72.4%). Workers preferred to be educated 1-2 times per year for 2-3 subjects, through programs including both lecture and practice.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create an adequate program and apply it to the people engaged in caring for the elderly.

석회석 가공 산업 근로자들의 상병 상태 및 사고 유형 (A Study on the Morbidity and the Types of Accident among the Workers of Limestone Industry)

  • 이경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1-168
    • /
    • 2004
  • The workers of limestone industry have relatively higher rate of accident and injury than other industry workers.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s for the planning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s to prevent the accident and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rbidity rate per month and to determine the related health factors, and to find accident experiences of the limestone workers and to analyze the reasons and types of that accident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s developed by researcher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5 workers in limestone industries in Jecheon city.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x^2$-test with SPSS-pc(ver.9.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workers morbidity rate per month was 22%, and morbid factors were Flu., G-I trouble, hypertension, orthopedic trauma, external wound, burn, etc., and the related health factors are self-assessment for health, exercise, accessability for medical facilities. 2. 40% of the subjects have experienced the accidents during last 6 months. The types of the accidents were safety violations, traffic accidents and fire accidents. Injury types were external wounds, fracture/amputation and burn. The workers of limestone industry have higher morbidity rate and experiences of accidents. Therefore the more increased safety and health educations than now for both the workers and the managers are needed. And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increase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the educations needed.

  • PDF

119 구급대원의 직접의료지도 이용경험과 관련요인 (Utilization of Medical Oversight and Related Factors among Some 119 Rescue Workers)

  • 주미현;한미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124-132
    • /
    • 2016
  • 직접의료지도란,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수행하거나 이송하는 구급대원이 의사에게 전문적인 지도와 자문을 제공받는 행위를 말한다. 본 연구는 직접의료지도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광주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119 구급대원 1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3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약 82%가 최근 한 달 이내 직접의료지도 경험이 있었고,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혼자인 경우(OR = 3.87, 95% CI = 1.22~12.27), 1급 응급구조사인 경우(OR = 2.87, 95% CI = 1.02~8.09), 심혈관계 응급환자를 처치한 경우(OR = 9.19, 95% CI = 1.87~45.08)에 직접의료지도 이용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향후 직접의료지도 내용과 제도 개선 시 119 구급대원의 특성과 처치하는 환자의 질병상태를 고려한다면 직접의료지도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교육 활성화 방안 (A Study for Construction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Education Activation Methods)

  • 정지연;유희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7-51
    • /
    • 2013
  • This research is the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argeting construction workers for searching a vitalization method on safety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real condition of the sense of safety consciousness and the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of 147 workers are analyzed by using arithmetic mean, t-test, and ANOVA Analysis of Variance through SPSS PC progra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al condition of safety consciousness, recognition on safety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safety consciousness depen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afety consciousness assessment tool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is needed.

자동차 사고를 재현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Survey of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Simulated Training Program that Reproduces Automobile Accidents)

  • 강민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179-187
    • /
    • 2019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 60명과 응급구조학과 교수 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동차 사고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이다. 연구결과 응급처치 항목에서 경추보호대 착용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76.8%), 시나리오 주제 항목에서 머리 손상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75.4%). 구급대원의 근무경력 43개월을 기준으로 두 그룹별 요구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응급처치 항목은 항쇼크바지 사용법과 KED 사용 및 신속 구출에 대한 요구도가 두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1, p = 0.05), 시나리오 주제는 얼굴, 복부, 기타 손상에 대한 요구도가 두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p = 0.04, p = 0.03). 자동차 사고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119 구급대원과 응급구조학과 교수의 요구도도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추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평가되었다.

응급구조원, 지하철 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in Emergency Workers, Subway Operators, and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 이영선;이소래;주성아;고영빈;김예진;한인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249-273
    • /
    • 2012
  • 본 연구는 응급구조원, 사상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종, 심리적 고통, 대리 외상,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 첫째, 대리 외상은 세 집단 모두 위험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특히 지하철승무원의 대리 외상이 높았으며, 외상 후 성장은 사회복지사가 가장 높고 지하철승무원이 가장 낮았다. 둘째,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은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침습과 회피의 하위항목이 외상 후 성장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셋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종, 침습, 회피, 종교, 성별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리 외상 위험 직종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제공과 외상 후 성장의 치료적 적용을 제언하였다.

1급 응급구조사의 직종에 따른 직무만족도 및 업무스트레스 (Job Satisfaction and Work Stress of EMT-paramedic's According to type of Occupation)

  • 김덕원;최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84-593
    • /
    • 2017
  •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가 배출된지 21년이 지난 시점에서 119와 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들을 근무 기관별로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119와 병원의 차이와 장단점을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의 1급 응급구조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보다 나은 근무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전라북도의 28개 119안전센터와 14개 권역응급의료센터 및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0.0을 사용하였으며, 카이제곱검정, t-test,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업무스트레스는 119근무자(2.92), 병원근무자(3.01)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무만족도는 소방근무자(2.98), 병원근무자(2.54)으로 병원근무자들이 크게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또한 병원근무자들의 보수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가 보였으며($2.07{\pm}0.62$), 월 평균 환자수가 적을수록(p<0.001), 월수입이 높을수록(p=0.047), 휴가가 많을수록(p<0.001) 업무스트레스가 낮고,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119와 병원 모두 근무복지여건의 개선이 필요하고, 119의 경우, 구급대원 폭행 방지 대책과 휴식공간이 필요하고 특히 병원의 경우는 급여와 연간 급여증가율, 고용형태의 안정을 개선해야 한다.

뇨시료 전베타 분석법을 이용한 동위원소 생산시설 종사자 내부오염 스크리닝 및 감시절차 개발 (Gross Beta Screening and Monitoring Procedure using Urine Bioassay for Radiation Workers of Radioisotope Production Facilities)

  • 윤석원;김미령;박세영;박민정;유재룡;장한기;하위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8권2호
    • /
    • pp.52-59
    • /
    • 2013
  • 전베타 방사능 분석법을 이용한 내부오염 스크리닝법을 검증하였고 실제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시설 종사자 내부오염을 판단하는데 적용하였다. 종사자의 작업 종료 후 첫 번째로 채취된 뇨시료(spot 시료)와 24시간 동안 취합된 뇨시료(24 h 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특정 종사자의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측정결과는 일반인 체내 기저준위인 100 Bq $kg^{-1}$을 기준으로 22% 이내로 변동폭이 작았다. 측정결과 작업종료 후 수 시간 이내 종사자 뇨시료의 전베타 농도가 전반적으로 35% 이상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스크리닝 결과와 작업일지를 바탕으로 작업장내부 구조상 오염을 유발하는 요인을 추정 할 수 있었으며 추가 세부 핵종별 분석법을 바탕으로 내부피폭선량을 평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사업장에서 신속히 적용 가능한 내부오염평가 절차를 수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