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phon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2초

스마트폰 기반 ECG 센서를 이용한 BAN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AN System using ECG Sensor based on Smartphone)

  • 이민기;김규호;이기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7-22
    • /
    • 2010
  • 최근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많은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u-Healthcare의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ECG 센서와 Zigbee 통신모듈로 BAN(Body Area Network)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생체신호를 3G(WCDMA) 통신을 이용하여 전문가나 의사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환자에게 응급상황 발생시 스마트폰의 GPS모듈을 이용한 위치 검색까지 설계하였다. 센서 모듈간 데이터 필드를 정의하고 설계된 시스템 구조를 기반으로, 최근 스마트폰 중에 각광받고 있는 iPhone 플랫폼에서 구현하였다.

Looking Back over a Decade "Final Decision Call after the Accidents of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 Nakajima, Isao;Kurokawa, Kiyoshi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7권2호
    • /
    • pp.147-156
    • /
    • 2020
  • The author Nakajima was involved in the field of disaster communications and emergency medical care as guest research scientist at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dependent Investigation Commission established by the National Diet of Japan and reviewer of the Commission's report, and Kurokawa was the chairman of this Commission. Looking back over a decade, we are on the liability issue of bureaucrats and telecom operators, so it's becoming clear what was hidden at the time. The battery of NTT DoCoMo's mobile phone repeaters had a capacity of only about 24 hours, and communication failures increased after one day. The Government also failed to issue an announcement of "Vent from reactor" under the Telecommunications Act Article No. 129. This mistake lost the opportunity to use the third-party telecommunications (e.g. taxi radios). Furthermore, as a result of LASCOM (telecommunications satellite network for local governments via GEO) and a variety of unexpected communication failures, the evacuation order "Escape!" could not be notified to the general public well. As a result, the general public was exposed to unnecessary radiation exposure. Such bureaucratic slow action in emergencies is common in the response to the 2020 coronavirus.

CDMA망 기반 3채널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평가 (Evaluation of CDMA Network Based Wireless 3 Channel ECG Monitoring System)

  • 홍주현;차은종;이태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5-301
    • /
    • 2008
  • A wireless 3 channel ECG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so that it could monitor the health and movement state during subject's daily life.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a wireless biomedical signal acquisition device, a personal healthcare server, and a remote medical server. Thre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ccuracy, reliability and operability, applicability during daily life of the developed device. First, ECG signals were measured using the developed device and commercial reference device during sitting and marking time and compared to verify the accuracy of R-R intervals. Second, the reliable data transmission to remote server was verified on two types of simulated emergency event using patient simulator. Third, during five types of motion in daily life, the accuracy of data transmission to remote server using CDMA network was verified on two types of event occurring. By acquiring and comparing subject's biomedical signal and motion signal, the accuracy, reliability and operability, applicability during daily life of the developed device were verified. In addition, PDA-phone based wireless system enabled subject to be monitored without any constraints. Therefore, the developed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for monitoring the aged and chronic diseased people and giving first-aid in emergency.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연구 (A Study of Coping Ways in Emergency Situations Using SmartPhones)

  • 구민정;서정만;장영현;한우철;백영태;표성배;임현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87-90
    • /
    • 2012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발생되는 정지의 위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심폐소생술의 방법을 스마트폰으로 습득할 수 있게 제작하였으며, 심폐소생 자동기기가 비치되어 있는 경우, AED(자동심장제세동기,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사용하여 심폐소생할 수 있는 방법을 단계별로 제공하고 동영상으로 따라해 볼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신체의 위급한 상황에 대한 발견 및 응급대처 후 인접한 병원에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바로 찾아 볼 수 있도록 메뉴를 설정하였으며, 부가적으로 화재시 일반차량들이 소방차의 길을 터주는 안내 동영상도 탑재하여 공익홍보 효과를 더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익적인 특성의 국민 대상 안내, 지침을 App으로 홍보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앞으로 일반적인 상업용 기업의 메뉴얼로 확장 가능하다.

  • PDF

퍼텐셜 필드를 이용한 화재 응급 대피 시스템 설계 (Design of Fire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ing Potential Field)

  • 이민구;정경권;이원석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8권3호
    • /
    • pp.26-32
    • /
    • 2011
  • 본 논문은 화재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대피자를 로봇에 비유하여 퍼텐셜 필드 방식으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장애물은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나타내게 되며, 한정된 공간에서 센서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전역적인 탐색이 가능해진다. 건물 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와 복합 감지 센서로부터 상황 정보를 습득하여 무선으로 서버에 전송하면 퍼텐셜 필드 방식으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탐색하여 유도등을 대피 방향으로 동작시키며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무선을 이용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제안한 화재 대피 알고리즘의 기능 및 성능 테스트를 통해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소아치과 전문의 수련과정의 진정법 실태조사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in the Korean Pediatric Dentistry Residency Program)

  • 심연수;안소연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3-110
    • /
    • 2013
  • Background: Recently the use of sedation by pediatric dentists in Korea is increased. This study describes training programs about sedation practices in Korean pediatric dentistry residency program. Methods: A questionnaire was filled in by participants of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on 17th-18th August, 2008. Also the data about sedation practices of the training institution is collected by phone call. Results: Seventy two percent of respondents used sedation. Most of them used sedation with agents under 25% of their patients. Distribution of ages in patients sedated with agents was 3 years, 4-5 years, under 2 years, 6-10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Determinative factors of using sedation were behavior management, number of visiting, amount of treatment and general condition, and oral route was the most favorable route. Sixty six percent of them have failed on sedation, and thity percent of them have rarely failed on sedation. Only fifty percent of dentists using sedation completed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rse. Conclusions: For safety, dentists using sedation need to be educated about emergency equipment and management. Especially medication dose, use frequency and the detail related to treatment procedure should be discussed carefully. Also putting a patient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taking emergency measures should be discussed with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Ubiquitous-Based Mobile Control and Monitoring of CNC Machines for Development of u-Machine

  • Kim Dong-Hoon;Song Jun-Yeob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455-466
    • /
    • 2006
  •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control and monitor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ler (CNC) machines anywhere and anytime for the development of a ubiquitous machine (u-machine). With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hone, the machine status and machining data of CNC machines can be monitored in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s, including the environments of IMT2000 and Wireless LAN. Moreover, CNC machines can be controlled anywhere and anytime. The concept of the anywhere-anytime controlling and monitoring of a manufacturing system was implement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u-manufacturing and u-machines. In this concep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NC controller and the PDA phone was successfully performed anywhere and anytime for the real-time monitoring and control of CNC machines. In addition, the interface between the CNC controller and the developed application module was implemented by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for Process Control (OPC) and shared CNC memory. For communication, the design of a server contents module within the target CNC was based on a TCP/IP. Furthermore, the client contents module within the PDA phone was designed with the aid of embedded c++ programming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the interface, the monitoring data, such as the machine status, the machine running state, the name of the Numerical Control (NC) program, the alarm and the position of the stage axes, were acquired in real time from real machines with the aid of the OPC method and by sharing the CNC memory. The control data, such as the start, hold, emergency stop, reserved start and reserved stop, were also applied to the CNC domain of the real machine. CNC machines can therefore be controlled and monitored in real time, anywhere and anytime. Moreover, prompt notification from CNC machines to mobile phones, including cellular phones and PDA phones, can be automatically realized in emergencies.

Array 안테나를 이용한 위성전화신호의 검출 방법 (A Novel Detection Method of the Satellite Phone Signal based on Array Antennas)

  • 김윤봉;송정익;한저;김재명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53-58
    • /
    • 2007
  • 위성통신시스템은 넓은 커버리지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위성통신 시스템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의 사용률은 셀룰러 시스템과 같은 다른 무선통신시스템과 비교할 때 상당히 낮은 효율을 보인다. 그러므로 할당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파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허가 대역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분석해보고, 새로운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부분인 위성 터미널의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Spectrum Sensing과 Eigenvalue 검출하고, 결론을 통하여 터미널의 신호를 검출하고 성능을 분석한다.

  • PDF

IoT 기반 홈 보안 시스템 (Home Security System Based on IoT)

  • 김강철;;한석붕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7-154
    • /
    • 2017
  • 본 논문은 휴대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IoT 기반 홈 보안 시스템을 개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카메라, 게이트웨이와 Xively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라즈베리파이는 3 종류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Xively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카메라의 영상화면을 인터넷을 통하여 휴대폰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서버는 Xively, 라즈베파이에 존재하는 소켓 서버와 Google에 있는 이메일 서버로 구성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움직임, 화재 위험, 가스 누출이 발생하면 이메일, 텍스트 문자와 영상화면을 전송하고, 라즈베리파이를 통하여 가스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실험결과로부터 가스 누출 등으로 위험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이메일, 문자 메서지를 전송받고, WIFI 또는 LTE를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집내의 영상화면을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마트 폰 음성 인식 서비스의 상황별 만족도 조사 (Study on the Situational satisfaction survey of Smart Phone based on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 이윤정;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51-357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 폰 음성인식 서비스를 분석하고 음성인식 서비스의 상황별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기대요구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더 나은 음성인식 서비스 발전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음성인식 서비스의 개념과 현황을 알아보고, 2차로 육하원칙을 기조로 한 설문지를 통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는 스마트 폰 음성인식 서비스를 전화를 걸 때에 가장 많이 사용하며, 주로 혼자 있을 때 사용하며 시간대는 대체로 평이하지만, 저녁 시간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해당 서비스는 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며 손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서비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별 다양한 결과를 통해 개인화 서비스, 조건 인식 기능, 위급 상황 자동인식, 음성으로 잠금 해제 등 다양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국내 스마트 폰 음성인식 서비스 개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