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rates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6초

Soybean Seeds Damaged by Riptortus Clavatus (Thunberg) Reduce Seed Vigor and Quality of Bean Sprout Produce

  • Oh, Young-Jin;Cho, Sang-Kyun;Kim, Young-Jin;Kim, Kyong-Ho;Paik, Chae-Hoon;Kim, Tae-Soo;Kim, Jung-Gon;Cho, Youngkoo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39-447
    • /
    • 2010
  • Riptortus clavatus, one of the many insects in major crops, damages pods and seeds, which reduces seed vigor and viability in soybea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versely damaged seeds by R. clavatu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damaged seed with quality and yield of soybean sprouts. All seeds damaged by R. clavatus significantly (P<0.05) reduced seed vigor as measured by the rates of seed germination, germination speed, and seedling emergence. Mean seed germination rate of non-damaged seeds in sprout-soybean varieties was 97.8%, whereas the rates of seeds damaged at different levels, 31-50% and 51-80%, were 23.0 and 5.4%, respectively. The rates of seedling rot and abnormal, incomplete germinatio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s the amount of seeds damaged by R. clavatus increased to 5, 10 and 15% against the total seeds for sprout production. Yield of soybean sprouts from seeds damaged at different levels decreased up to 13% as compared to that in normal seeds. In customer preferences on soybean sprout produce, 84% of customers participated in survey preferred to purchase sprouts from seeds with 5% of damaged seeds, but sprouts produced from seeds with 15% of damaged seeds were intended to purchase only by 22% of the customers. Areas of the seed damaged by R. clavatus were readily infected by pathogens as the seed germinated, resulted in deteriorated quality and reduced yield of sprout produce.

간석지 벼 입모율 향상을 위한 건답직파 방법 비교 (Comparison of Dry-Seeding Methods for Improving Rice Seedling Stand on Reclaimed Saline Soil)

  • 이인;성기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70-375
    • /
    • 1996
  • 포승통의 미사질식양토인 간척지에서 벼 건답직파재배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서안벼를 공시하고, 간이온실에서는 시용 및짚의 양과 토양수분조건을 달리 하여 파종심도별 벼의 출아율을 조사하고, 실제 포장 시험에서는 산파후 로타리 복토 유무에 따른 벼의 입모 및 수량성의 차리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볏짚 처리(특히, 4ton, 6ton/ha)가 무처리보다 출아율이 높았다. 2. 헥타르 당 볏짚 4ton을 처리하고 파종심도가 얕을수록 출아율이 높았으며 초장도 현저히 커졌다. 3. 토양수분의 적습조건은 과습조건보다 출아율이 높았으며, 초장은 적습조건에서 파종심도가 얕을수록 커졌다. 4. 산파후 로타리 복토유무별 입모수는 로타리무복토(73개 /m$^2$)가 로타리복토(44개 /m$^2$)보다 많았다. 5. m$^2$ 당 수수는 로타리무복토가 로타리복토보다 많았고, 수량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 PDF

당근 종자의 전 처리후 비중선이 배생장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sity Separation after Pretreatment on Embryo Growth and Radicle Emergence of Carrot(Daucus carota L.) Seeds)

  • 민태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4-140
    • /
    • 1992
  • 당근종자의 발아율의 낮음과 발아지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Danver 126품종을 공시하여 여러가지 prime처리와 density separation 방법을 이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1. 여러가지 prime처리중 SMP처리(수분함량 90%, 6일간처리)에서 배의 생장이 아주 양호하였고 발아속도 및 발아율이 가장 좋았으며 종자에 피해도 없었다. 2. 무기염처리(0.2M KNO$_3$+0.1M $K_2$HPO$_4$)에 서는 배의 생장은 좋았으나 염에 의해 종자가 피해를 입었다. 3. SMP처리(수분함량 90%, 6일간)된 종자를 density separation한 결과 종자의 비중이 낮을수록 배의 생장이 컸으며 발아율 및 발아속도가 빨랐다.

  • PDF

The effects of cold treatment on the pupal period, emergence rate, and number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spawned

  • JANG, Heeseung;CHOI, Moon Bo;LEE, Hyoki;KIM, Yeongbu;KWON, Ohseok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550-558
    • /
    • 2018
  • To develop a system for the mass production of Protaetia brevitarsislarvae (Pbl), this study analyzed the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ird instar Pbl through successive rearing and cold treatments. In the first generation, females laid 50 eggs each on average, and spawned higher numbers of eggs for the first 5 days but then fewer after this. However, all of the $2^{nd}$-generation females that were produced through the successive rearing of eggs from the $1^{st}$ generation did not spawn. When test insects (TI) were raised at $32^{\circ}C$, their $mean{\pm}SE$ pupal period and emergence rate were $28.4{\pm}1.9$ days and 87%, respectively. However, most individuals raised in cold treatments ($5^{\circ}C$ and $-5^{\circ}C$) without a pre-cooling period did not survive. Individuals exposed to a pre-cooling period, however, had a 7-10 days longer pupal period than those raised at $32^{\circ}C$, and their emergence rate (90%) was slightly higher. Different cold treatment temperatures ($0^{\circ}C$, $3^{\circ}C$, or $5^{\circ}C$) and periods (30 or 60 days) were tested in further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group kept for 30 days at $0^{\circ}C$ and $3^{\circ}C$ had the shortest pupal period of all, and emergence rates exceeded 90% in most group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eggs spawned by the second generation females after cold treatments, the experimental groups held in cold treatments at $5^{\circ}C$ for 30 and 60 days were found to spawn the most eggs. Consequently, the experimental group kept at $5^{\circ}C$ for 30 days was the most effective set of conditions tested during the entire breeding period.

저온, $GA_3,\;KNO_3$ 및 Acetone 처리가 활나물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wn Cold Stratification, $GA_3,\;KNO_3$ and Acetone Treatment on Germination of Crotalaria sessiflora L.)

  • 강진호;김유진;전병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4-129
    • /
    • 2001
  • 생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활나물은 항암효과가 밝혀져 그 이용이 기대되나 종자발아가 불량하여 재배가 어려운 식물이다. 따라서 $GA_3$, 저온, $KNO_3$, acetone처리가 활나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앞으로의 재배연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활나물 종자의 발아율은 $GA_3$ 처리시에는 0.1 mM에 12시간 암상태에서, 저온처리시에는 $3^{\circ}C$에서 1주간 처리하는것에서 가장 높았다. 2. 발아율은 $KNO_3$ 처리시에는 400 mM에 6시간, acetone 처리시에는 200 mM에 6시간 처리하는 것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들 처리결과가 $GA_3$ 또는 저온처리의 최적결과보다 양호하였다. 3. 포장출현율은 200 mM의 acetone 용액에 6시간 처리하는 것보다 400 mM의 $KNO_3$에 6시간 처리하는 것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활나물 종자처리는 $KNO_3$를 이용하여 암상태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처리방법으로 평가되었다.

  • PDF

솔잎혹파리의 월동후(越冬後) 밀도변동(密度變動)에 미치는 주요인자(主要因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Population of the Overwintered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정영진;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
    • /
    • 1986
  • 1980년(年) 3월(月)부터 1981년(年) 9월(月)까지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 둔대리(京畿道 華城郡 半月面 屯台里) 야산(野山)에서 월동후(越冬後) 솔잎혹파리 밀도변동(密度變動)에 미치는 주요인자(主要因子)에 관(關)한 시험(試驗)을 진행(進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중밀도(土中密度) 감소율(減少率)은 양세대(兩世代)에서 용화전까지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용화기에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그 변동상(變動相)은 세대(世代)에 따라 차(差)가 있었다. 2.1979년(年)과 1980년(年) 양세대(兩世代)의 추정(推定) 용화 50%일(日)을 비교(比較)해 볼 때, 1980년세대(年世代)에서 약(約) 2주정도(週程度) 앞당겨졌는데, 이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으로 생각된다. 3. 월동유충밀도(越冬幼蟲密度)에 대(對)한 성충우화율(成蟲羽化率)은 평균(平均) 14.5%로 1979년세대(年世代)에서는 14.1%였고 1980년세대(年世代)는 14.9%로 그 차(差)는 명백(明白)하지 않았다. 4. 성충(成蟲)의 상대적(相對的) 우화율(羽化率)(Y)과 토양함수량(土壤含水量)($X_1$) 및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X_2$)와는 $(X_2),\;Y=-68.41+4.3206X_1-0.6887X_2$라는 식(式)이 성립(成立)되었으며 5%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5. 성충(成蟲)의 상대적(相對的) 우화율(羽化率)과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들 구해 본 결과(結果),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가 클 때 우화율(羽化率)이 낮아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6. 수상(樹上) 충영형성율은 1980년세대(年世代)에서는 평균(平均) 49.63% 였으나, 1981년세대(年世代)에서는 평균(平均) 86.87% 로 대부분(大部分)의 적송(赤松)이 고사(枯死)내지 고사단계(枯死段階)에 이르렀다.

  • PDF

사료용 호맥의 성력화 파종방법에 관한 연구 I. 수도입모중 호맥 파종시 파종방법 및 종자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Labor Saving Sowing Methods of Soilage Rye 1. Effects of the Sowing Methods and Seed Treatments on the Emergence Rates of Rye when Sowing on the Paddy Field before Rice Harvesting)

  • 이성열;홍정기;이한범;한세기;허범량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0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130-131
    • /
    • 1990
  • PDF

과수원(果樹園)의 잡초발생(雜草發生)과 제초제유형(除草劑類型) (단제(單劑) 및 혼제(混劑))별(別) 살초특성(殺草特性)의 비교연구(比較硏究) (Weed Emergence in Orchard and Comparison of Weeding Performance of Some Orchard-Herbicides (Single and Mixture Products))

  • 구자옥;조용우;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5-96
    • /
    • 1986
  • 평지(平地) 성목원(成木園)과 경과지(傾科地) 유목원(幼木園)의 2개 과수원에서 Paraquat, Glyphosate, Oxyfluorfen, Napropamid 및 Ustinex 등 5종(種)의 과수원용 제초제를 공시하여, 잡초의 발생특성과 제초제를 인한 잡초생태형별(雜草生態型別) 과별(科別) 발생특성의 변동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잡초 및 제초제의 유사군분류(類似群分類)를 함으로써 새로운 제초제조합(除草劑組合) 모형화(模型化)의 다음 기초자료를 얻었다. (1) 과수원의 발생초종은 7생태형, 23과, 45종으로 일년생과 다년생의 분포는 각각 24종과 22종이었다. (2) 출현빈도가 높은 잡초종이 대부분 높은 현존량을 보임으로써 출현빈도가 잡초문제의 근간을 형성하는 경향이었다. (3) Paraquat은 속효 속재생성과 하계 일년생으로의 천이경향(遷移傾向)을, Glyphosate는 다년생 잡초의 탁월한 방제특성을, Napropamid는 잡초발생전의 토양 잔류성을, Oxyfluorfen은 하계일년생과 지중형 반지중형의 일부 다년생의 방제특성을 나타내는 각각의 장단점을 보였고, Ustinex는 혼합제로서의 다양한 초종 안정적인 제초효과를 보였다. (4) 제초제별 감수성반응에 따른 잡초를 분류한 결과, 발생빈도반응에서는 3군(群)과 8개(個) 단독과(單獨科)로 분류 되었다. 두 분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단독과(單獨科)로만 분류된 잡초는 산형과(科) 닭이장풀과(科) 화본과(科) 및 마디풀과(科)였다. (5) 제초제는 방제특성에서 상호간의 차이가 독특하게 컸으므로 유사군분류(類似群分類)가 되지 않는 경향이었으며, 비유사성(非類似性)이 큰 조합(組合)은 Paraquat이나 Glyphosate, Napropamid나 Glyphosate와 Napropamid나 Oxyfluorfen의 관계에 있었다.

  • PDF

입묘율 향상을 위한 더덕 종자의 처리 효과 (Effects of Seed Treatments for Promoting Seedling Emergence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강진호;심영도;정종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8-75
    • /
    • 2001
  • 더덕 재배시에 종자 발아율이 낮아 입묘가 불량함으로서 영농에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재배면적이 비교적 넓은 더덕의 입묘을을 향상시키고자 파종 이후 종자가 부딪히는 광조건을 고정한 후 Priming, $GA_3$, 건조, 침종 등 파종전 종자에 손쉽게 가할 수 있는 처리의 효과를 구명하여 더덕종자의 파종전 처리를 모형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발아율은 청색광, 적색광 또는 암상태에서 $Ca(NO_3)_2$ 150 mM에 2일간 priming 처리하는 것보다는 0.1 mM에 3일간 1일 12시간의 청색광을 가하면서 $GA_3$를 처리하는 것에서 높았다. 그러나 $GA_3$ 처리 후의 건조는 적색광을 처리하면서 $35^{\circ}C$에 4시간 건조하는 것이 발아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한편 $GA_3$ 처리된 종자는 건조시켜야 발아율이 향상되었으며, 파종 직전 1일간 침종시켜야 발아 뿐만 아니라 유묘출현도 향상 촉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입묘율을 높이기 위한 더덕종자의 파종전 처리는 $20^{\circ}C$에서 1일 12시간의 청색광을 가하면서 $GA_3$ 0.1 mM에 3일간 침종한 후에 $35^{\circ}C$에서 4시간 적색광을 처리하여 건조된 종자를 파종 직전 $20^{\circ}C$의 물에 1일간 침종하는 과정으로 모형화되었다.

  • PDF

도라지의 입묘율 향상을 위한 종자처리의 모형화 (Seed Treatment Procedure to Promote Seedling Emergence of Platycodon grandiflorum)

  • 강진호;심영도;전병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1
    • /
    • 2002
  • 도라지의 재배과정에서 빈번히 부딪히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낮은 발아율로 인한 입묘불량이다. 파종전 종자 처리를 통하여 약용작물중에서 재배면적이 넓은 도라지의 입묘율을 높이고자 파종 이후의 광조건을 고려하여 priming, $GA_3$, 건조, 침종 등의 처리효과를 구명한 후 파종전 종자처리를 모형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priming 처리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인 암상태에서 $Ca(NO_3)_2$ 150 mM에 2일간 처리하는 것 보다는 0.01 mM에 3일간 1일 12시간의 적색광을 가하면서 $GA_3$를 처리하는 것에서 높았다. 2. $GA_3$로 처리된 도라지 종자의 최적 건조방법은 발아율로 평가할 경우 $35^{\circ}C$에 4시간 적색광을 처리하면서 건조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3. $GA_3$ 처리 후에 건조된 종자는 파종 직전 2일간 증류수에 침종할 경우 발아와 유묘출현이 촉진되었다. 4. 이상의 결과로부터 입묘율을 높이기 위한 파종전 도라지 종자의 처리 모형은 $20^{\circ}C$$GA_3$ 0.01 mM의 용액에 3일간 1일 12시간의 적색광을 가하면서 침종한 다음 $35^{\circ}C$에서 4시간 적색광을 비추면서 건조한 종자를 파종 직전 2일간 $20^{\circ}C$의 물에 침종하는 과정으로 요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