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검색결과 3,197건 처리시간 0.034초

Mathematical Description of Seedling Emergence of Rice and Echinochloa species as Influenced by Soil burial depth

  • Kim Do-Soon;Kwon Yong-Woong;Lee Byu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62-368
    • /
    • 2006
  • A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burial depth on seedling emergences of rice (Oryza sativa) and Echinochloa spp. and to model such effects for mathematical prediction of seedling emergences. When the Gompertz curve was fitted at each soil depth, the parameter C decreased in a logistic form with increasing soil depth, while the parameter M increased in an exponential form and the parameter B appeared to be constant. The Gompertz curve was combined by incorporating the logistic model for the parameter C, the exponential model for the parameter M, and the constant for the parameter B. This combined model well described seedling emergence of rice and Echinochloa species as influenced by soil burial depth and predicted seedling emergence at a given time after sowing and a soil burial depth. Thus, the combined model can be used to simulate seedling emergence of crop sown in different soil depths and weeds present in various soil depths.

Development of a flux emergence simulation using parallel computing

  • 이환희;마가라 테츠야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71.1-71.1
    • /
    • 2019
  • The solar magnetic field comes from the solar interior and is related to various phenomena on the Sun. To understand this proces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duce its evolution using a single flux rope. In this study, we are interested in the emergence of two flux ropes and their evolution, which takes longer than the emergence of a single flux rope. To construct it, we develop a flux emergence simulation by applying a parallel computing to reduce a computation time in a wider domain. The original simulation code had been written in Fortran 77. We modify it to a version of Fortran 90 with Message Passing Interface (MPI). The results of the original and new simulation are compared on the NEC SX-Aurora TSUBASA which is a vector engine processor. The parallelized version is faster than running on a single core and it shows a possibility to handle large amounts of calculation. Based on this model, we can construct a complex flux emergence system, such as an evolution of two magnetic flux ropes.

  • PDF

Effect of Seed Priming on Quality Improvement of Maize Seeds in Different Genotypes

  • Seo Jung Moon;Lee Suk S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81-388
    • /
    • 2004
  • In Korea, production of super sweet corn has been economically feasible and is substituting for traditional sweet corn due to better flavor in recent years. Major limiting factors for super sweet corn production are low field emergence and low seedling vigor. The optimum water potential (WP) for the priming of normal and aged seeds of dent, sweet (su) and super sweet (sh2) corns was studied to improve low seed quality. Seeds were primed at 0, -0.3, -0.6, -0.9, and -1.2 MPa of polyethylene glycol (PEG) 8000 solution at $15^{\circ}C$ for 2 days. Priming eff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rn, seed quality, and WP of PEG solution. Although WP of priming solution did not influence the emergence rate of extremely high quality normal dent corn seeds, it reduced time to $50\%$ emergence (T50) and increased plumule weight. In contrast, the emergence rate of aged field corn was improved by seed priming at 0 MPa and plumule weight and $\alpha-amylase$ activity was enhanced. The optimum WP for both normal and aged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was between -0.3 and -0.6 Mpa. At the optimum WP emergence rate, $\alpha-amylase$ activity, and content of DNA and soluble protein increased, while T50 and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reduced.

Effects of Priming and Growth Regulator Treatment of Seed on Emergence and Seedling Growth of Rice

  • Lee, Suk-Soon;Kim, Jae-Hyeun;Hong, Seung-Beo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4-137
    • /
    • 1999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iming and growth regulator treatment of seeds on the emergence and seedling growth of rice, Oryza sativa L. (cv. 'Ilpumbyeo'). Normal seeds were primed in a -0.6 MPa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at 15$^{\circ}C$ for four days with air-bubbling. Then both primed and non-primed seeds were soaked in water, 100 ppm GA$_3$, 2 ppm ABA, and 10 ppm kinetin solutions for 24 hours. The seeds were planted in soil at 3 and 5 cm depths and allowed to germinate in a growth cabinet at 2$0^{\circ}C$. Generally, the emergence rate at the 3 cm seeding depth was higher and emerged faster compared with the 5 cm seeding depth. The emergence rate of primed seeds was higher and emerged faster compared to non-primed seeds. GA$_3$ and kinetin treatments were the most effective to improve the emergence rate of non-primed seeds. Coleoptile length at the 5 cm seeding depth was longer than that at the 3 cm seeding depth. Leaf number,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of primed seedlings were higher compared with non-primed seeds. GA$_3$ promoted the elongation of plant height and mesocotyle length.

  • PDF

담배잎의 노화과정에 따른 단백질의 생화학적 변화 (Biochemical Changes of Protein during the Senescence of Tobacco Leaf)

  • 이상각;심상인;강병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63-568
    • /
    • 1996
  • 담배 생육단계별 RNA, protease 활성도와 단백질 패턴의 변화를 파악하여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생리 ㆍ생화학적인 변화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용성 단백질 함량은 출엽 후 15일까지 증가하여 출엽 후 35일까지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총 RNA 함량은 출엽 후 15일에 가장 높았으며 출엽후 30일까지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Protease 활성 변화는 중성 protease (pH 7.8)가 활성이 높았으며 노화말기인 출엽 후 50일부터 갑자기 증가하였다. 전기영동 패턴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61.0kd의 polypeptide은 출엽 후 35일부터 생성되어 노화말기까지 증가하였다.

  • PDF

세 갈대 개체군의 절단 부위별 삽목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tting Culms Sec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Three Reed Populations)

  • 홍문기;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2
    • /
    • 2012
  • Culm cutting is very effective and convenient method for asexual propagation and even much less destructive than the other ways such as excavation of rhizomes. Despite that culm cutting is such a useful method, only few investigations for raising its efficiency have been carried out. We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geographical populations and cutting sections on the shoot emergence, biomass production and its allocation in terms of cutting efficiency. Culms were sampled from three environmentally distinct wetlands : riparian marsh, salt marsh and montane fen and then they were cut separately into four sections from the bottom to the top part. Both factors of different population and section affected the shoot emergence together. Middle parts on the culm always showed more shoot emergence irrespective of different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first section from salt marsh and fourth section from the montane fen did not exhibit any shoot emergenc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rease of shoot emergence between different sections during investigation period was confirmed only from salt marsh population. Not only different population but also appropriate cutting sectio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for better efficiency in cutting of reed culms.

Monosodium Glutamate(MSG) 와 Saccharose가 먹초파리(Drosophila virilis)의 羽化率에 미치는 影響에 대한 硏究 (A Study of the Effects of MSG and Saccharose on the Emergence Rates of Drosophila virilis)

  • 강순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85-195
    • /
    • 1974
  • 먹초파리(Drosophila virilis) 羽化에 미치는 MSG와 saccharose의 影響을 調査하기 위하여 4가지 系統(Sinchon_1, Sinchon-II, Choongju, Jegu)의 먹초파리 MSG와 saccharose의 7가지 濃度(0.0M, 0.1M, 0.3M, 0.5M, 0.7M, 1.0M, 1.2M)을 各各 標準飼料에 添加하여 여기에서 羽化하며 나온 個體數를 比較 檢討하였든 바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먹초파리의 羽化率은 MSG와 saccharose의 濃度間에 有意的인 差異를 보이며 濃度가 增加함에 따라 迂闊率이 低下하였다. 2. MSG와 saccharose에 對한 먹초파리의 羽化率에 미치는 影響은 먹초파리의 4個 系統間에는 有意的인 差異가 없다. 3. MSG가 saccharose보다는 먹초파리의 羽化에 對해 抑制的  果가 더 큰 傾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推理된다.

  • PDF

강우처리후 토양건조에 따른 피막형성 및 경도변화가 벼와 피의 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rusting and Hardening during Drying after Artificial Rainfall on Seedling Emergence of Rice and Barnyardgrass)

  • 이변우;권용웅;명을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1-138
    • /
    • 1996
  • 건답직파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입모율의 확보와 잡초 방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강우 후 토양이 건조하면서 형성되는 토양 피막과 토양 경도의 변화가 벼와 피의 출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실험은 강우를 차단하기 위하여 사방이 트인 비닐하우스에서 실시하였으며 사양토, 양토, 미사질양토를 공시하여 파종 . 복토(4cm)후 0, 20, 40mm의 강우를 인위적으로 처리하며 출아율과 유아 특성을 조사하였다. 벼는 이탤리코나베르네코, 다다조, 갈색까락샤레벼, 동진벼, 섬진벼를 공시하였으며, 피는 돌피와 강피를 공시하였다. 실험기간 중 평균기온은 31.3$^{\circ}C$였고, 일사량은 16.6MJ/m$^2$/day였다. 1. 파종 .복토 후 강우 처리를 한 경우 토양이 건조됨에 따라 토양 피막이 형성되었으며 토양 경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토양 경도는 강우량이 많을수록, 점토 함량이 높을수록 높았다. 2. 벼는 강우 처리로 출아율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동진벼와 섬진벼는 점토 함량이 높은 사양토에서 현저히 낮아졌다. 피의 평균 출아율은 벼보다 낮았으나 토성 및 강우 처리에 의한 출아율의 차이는 없었다. 3. 섬진벼와 동진벼의 출아율은 출아기의 평균토양경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토양경도가 1.0kg/$cm^2$이하일 때는 80%, 1.7kg/$cm^2$이상일 때는 50%이하로 감소하였다. 4. 출아속도는 피가 벼보다 빨랐고, 강피는 돌피보다 빨랐다. 벼 품종 중에서는 이탤리코나베르네코와 다다조가 빨랐으며 갈색까락샤레벼는 출아율은 이들 품종과 비슷하였으나 출아 속도는 늦었다. 5. 피는 벼에 비하여 중배축의 신장 정도가 현저히 컸다. 벼 품종중 이탤리코나베르네코와 다다조는 불완전엽과 중배축이, 갈색까락샤레벼는 중배축의 신장이 잘 되어 본엽이 지상에서 전개되었으나 동진벼와 섬진벼 는 유아의 신장이 잘 안되어 지중에서 본엽이 전개되었다. 6. 강우 처리 후 토양의 경화와 토막 형성에 의하여 벼 특히 우리 나라 장려품종들의 출아가 현저하게 저하된 데 반하여 돌피와 강피, 벼 품종 중 이탤리코나베르네코, 다다조, 잡초성 벼인 갈색까락샤레벼는 출아율의 저하가 적었는데 이는 피와 이들 벼 품종이 출아 속도가 빠르고 또한 중배축과 불완전엽의 신장성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온도에 따른 난지형 마늘 출현 모형 (A Simple Emergence Model of Southern Type Garlic Based on Temperature)

  • 문경환;최경산;손인창;송은영;오순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3-348
    • /
    • 2014
  • 일 평균기온을 이용하여 난지형 마늘의 출현시기와 출현율을 일별로 예측하는 동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난지형 마늘은 최적온도인 $12.7^{\circ}C$보다 증가하면서 출현율과 출현속도가 감소하였다. 일 평균기온을 입력하여 난지형 마늘의 일별 출현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베타함수와, 출현속도를 누적하여 마늘 출현율의 변화를 예측하는 비선형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으로 생장상의 실험결과를 잘 설명할 수 있었다. 모형을 재배기간 온도조건이 다른 온도구배터널에 적용해본 결과 온도구배터널 재배 마늘의 출현시기와 출현율을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노지 포장에서는 모형에서는 출현시기가 실제 관측된 것보다 5일 정도 빠를 것으로 예측되어 토양수분 등 온도이외의 다른 요인을 반영할 수 있도록 모형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건답직파에서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벼 품종의 출아특성 (Seedling Emergence of Dry-seeded Rice Varieties under Two Soil Moisture Regimes)

  • 이변우;명을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02-511
    • /
    • 1994
  • 벼 건답직파에서 벼 품종들의 출아·입모 특성과 유아의 신장 특성과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국내의 재래종, 육성종 및 샤레벼, 미국 직파재배품종, 이태리 품종 등 98개 품종을 토중 4.5cm에 파종하여 적습과 과습조건하에서 출아율, 입모율, 평균출아일수, 중배축장, 하위절간장, 초엽장, 불완전엽장 등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습조건에서 입모율은 9∼92.5%, 평균출아일수는 12∼25일 범위였고, 과습조건에서의 출아율은 0∼90%, 평균출아일수 27∼34일로 양조건 모두 품종간 변이가 매우 컸으며, 대부분의 품종은 과습조건에서 출아율이 낮아지고 출아속도가 늦어졌다. 2. 출아·입모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인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초엽장, 불완전엽장이었고,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제1, 2절간장, 초엽장, 불완정엽장이었다. 3. 평균발아일수는 중배축장, 초엽장, 불완전엽장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표준편회귀분석결과 출아·입모의 품종간 차이에 가장 유의적으로 기여하는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과 초엽장,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과 제2절간장이었다. 5. 평균출아일수의 품종간 차에 유의적으로 기여하는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불완전엽장으로 회귀계수는 부의 방향이었으며, 제1,2절간장은 정의 방향이었다.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만이 유의적 기여를 하였는데 회귀계수는 부의 방향이었다. 6.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건답직파조건에서 출아율이 높고 출아속도가 빠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중배축, 초엽 및 불완전엽의 신장이 잘되는 특성의 선발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