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eriza fucat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31초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와 붉은뺨멧새의 (Emberiza fucata)에서 Song의 Playback을 통한 이웃-낯선 개체의 인식 (Neighbor-Stranger Discrimination of Yellow-throated Buntings (Emberiza elegans) and Gray-headed Buntings (Emberiza fucata) to Playback of Song)

  • 황보연;박시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9-97
    • /
    • 1996
  • 번식시기동안 상호 이소종인 노랑턱멧새와 붉은뺨멧새의 song을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에서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두종의 수컷들을 대상으로 playback실험을 실시하였다. 노랑턱멧새와 붉은뺨멧새가 각각 자연적 그리고 인공적인 song repertoires로 playback을 하였을 때 이웃-낯선개체를 인식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붉은뺨멧새에 대해 전반부의 song과 후반부의 song을 playback하여 이웃-낯선개체의 인식 여부도 조사하였다. 노랑턱멧새는 자연적인 song repertoires로 이웃-낯선개체를 인식하였으나, 인공적인 song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았다. 붉은뺨멧새는 자연적, 인공적, 그리고 song의 전반부를 playback하였을 때 이웃-낯선개체를 구별하였다. 반면에 song의 후반부를 playback하였을 때는 반응하지 않았다.

  • PDF

노랑턱멧새(Emberiza elegans)의 Song에 의한 종 인식 (Species Recognition on the Basis of Song by Yellow-throated Bunting (emberiza elegans))

  • 성하철;박시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73-579
    • /
    • 1994
  • 본 연구는 1992년 3월에서 1993년 5월까지 충북 청원군 강내면 다락리 야산에 서식하는 노랑턱멧새(Emberizo elegans)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종 인식을 위한 의미있는 song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같은 과(요)에 속하는 붉은뺨멧새(Emberizo fucata)와 쑥새(Emberiza rustsca)의 'stereotyped song'을 분석하였다 또한 세력권을 형성한 5개체를 대상으로 song에 기초한 playback 실험을 통하여 종 인식 능력을 알아보았다. 스피커에 가장 가까이 날라온 거리와 이 거리에서 머문 시간을 측정한 결과 붉은뺨멧새의 song에는 반응이 없었으나 쑥새의 song에는 의미있는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노랑턱멧새와 두 종에 대한 song 특징의 분석을 토대로 종간 인식의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동소성 붉은 뺨멧새 ( Emberiza fucata ) 와 멧새 ( Emberiza cioides ) 의 Stereotyped Song 의 비교 (The Inter- and Intra-specific Comparison of Stereotyped Songs in Sympatric Gray-headed Bunting (Emberiza fucata) and Siberian-Meadow Bunting (Emberiza cioides))

  • Kim, Kil-Won;Shi-Ryong Par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3호
    • /
    • pp.317-327
    • /
    • 1993
  • Stands profiles, yearly changes in growth of annual rings, age and diameter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individuals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s around the Yeocheon industrial complex were investigated. Growth of annual ring in Pinus densiflora, which survived when vegetation of this area was damaged by air pollutants, was suppressed for about 10 years since 1974 when factories in this area began to operate, but since then such suppressed growth tended to be recovered. It was supposed that the suppresed growth was originated from air pollution and that improvement of growth since the suppressed period was due to the release from competition with them by death of neighbouring trees and the resuction of the amount of air pollutants. Physiognomy of Pinus densiflora stands showed mosaic pattern composed of different patche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individuals an stand profiles were similar to those of Pinus densiflora stands regenerated after natural and artificial disturbances. In an age distribution diagram, age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 ranged from 1 to 33 years, Among these individuals were recrited corresponded to the suppresed period of growth of annual ring in Pinus densiflora survived when the vegetation was damaged by air pollution. On the other hand, from the result of analysis of frequency distribution diagram of diameter, it was postulated that even if whis Pinus densiflora community can be maintained as it is for the time being, it might be changed to Quercus community with the lapse of time. Regeneration; Pinus densiflora; Air pollution; Annual ring; Age structure; Diameter structure; Quercus spp. In these analyses, factors for individual recognition and species recognition were suggested.

  • PDF

붉은뺨멧새 Stereotyped song 내 Syllable의 개체내, 개체간 변이 비교 (Intra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Variations of Stereotyped Songs in Gray-headed Bunting (Emberiza fucata))

  • Kim, Kil-Won;Park, Shi-Rvons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76-486
    • /
    • 1993
  • From a population in Kang-Nae, Cheong-won, Chung-Buk, acoustic behaviours of Gray-headed Bunting (Emberizo fucata) were obsenred. The singing of males was classified into two major types, stereotyped song and squeaky song. The stereotyped songs of eight territorial males were recorded Intraindividual and individually distinctive features were studied. Individuals produced their song in distinctive ways in terms of song duration and the number of syllables. Gray-headed Buntings sang various syllable types. We found that a male produced more constant syllables in anterior group than those in posterior group. Males sang distinctive syllables among them. Some syllable types which were frequently appeared in an anterior group. In these analyses, we suggest that the anterior groups in songs of a Gray-headed Bunting express the constant information and the posterior groups contribute to situational communication.

  • PDF

덕유산 국립공원내 조류상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Avifauna in Tokyusan National Park)

  • 이우신;박찬열;조기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3-220
    • /
    • 1994
  • 본 연구는 덕유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구역으로는 주 등산로 2개소를 선정하여, 1993년 2월 20일과 7월 22일 2회에 걸쳐 야생조류에 대해 선조사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조사지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5목 17과 34종이었고 이 중 천연기념물 제 323호인 새매, 황조롱이와 희귀조류인 큰오색딱다구리, 홍여새가 관찰되었다. 해발 1,000m 이상의 초원지역은 갈색양진이의 겨울철 월동지로, 붉은뺨멧새의 여름철 번식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지역에 대한 보호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무주구천동 계곡은 계곡성 조류에게 20년 전에는 양호한 서식지였으나, 인간의 이용밀도의 증가로 인해 계곡성 조류가 다수 감소한 실정이므로 이 지역에 대한 관리가 요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