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vational gradien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Regeneration and leaf traits variation of Rhododendron campanulatum along elevation gradient in western Nepal Himalaya

  • Dipesh Karki;Bijay Pandeya;Rachana Bhandari;Dikshya Basnet;Balkrishna Ghimire;Shreehari Bhattarai;Bharat Babu Shresth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2호
    • /
    • pp.152-162
    • /
    • 2024
  • Background: Plant species of the alpine treeline ecotone are highly sensitive to climate change and may adjust their population dynamics, and functional traits in response to changing climate. This study examined regeneration patterns and leaf traits variations in an important treeline ecotone element Rhododendron campanulatum along the elevation gradient in western Nepal to assess its potential adaptive responses to climate change. The distribution range of R. campanulatum (3,400-3,800 m above sea level [a.s.l.]) was divided into five horizontal bands, each with a 100 m elevational range. Eight plots (10 m × 10 m) were sampled in each band, resulting into a total of 40 plots. In each plot, all R. campanulatum individuals and co-occurring tree species were counted. From each elevation, R. campanulatum leaf sample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leaf dimensions, leaf density, specific leaf area (SLA), and stomatal density (SD). Results: The density-diameter curve indicated that R. campanulatum was regenerating well, with enhanced regeneration at higher elevation (3,800 m a.s.l.) than at lower. Tree canopy cover appeared to be the major determinant of R. campanulatum regeneration, as indicated by a higher number of seedlings in treeless stands. With increasing elevation, the leaf length, width, SLA, and stomata length decreased but leaf thickness and SD increased. Conclusions: Overall, a higher regeneration and lower SLA with the high SD in the leaves at the upper limit of the species distribution suggested that R. campanulatum is well adapted at its upper distribution range with the possibility of upslope range shift as temperature increases.

소백산국립공원 삼가지구 관속식물의 고도별 분포패턴 (Distribution Pattern of Vascular Plant Species along an Elevational Gradient in the Samga Area of Sobaeksan National Park)

  • 박환준;안지홍;서인순;이새롬;이병윤;김중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1-22
    • /
    • 2020
  • 소백산국립공원 삼가지구 관속식물의 고도별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삼가탐방지원센터(400 m)에서 정상(1,439 m)까지 해발 100 m 단위로 등분하여 11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2과 235속 332종 3아종 37변종 3품종 총 375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구간별 식물 종다양성 패턴을 분석한 결과,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종다양성이 감소하다가 특정구간에서 증가하는 역단봉형 패턴이 나타났다. 고도에 따른 종 분포패턴과 치환성 양이온 Ca2+, Mg2+ 와 토양 pH, 유효인산, 온량지수, 조사면적 등의 환경요인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경사, 토양 수분, 치환성 양이온 Na2+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DCA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구간별 식분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I, II축 상에서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구간별 식분의 배치는 400~500 m 구간부터 1400~1500 m 구간까지 순차적으로 배열되었다. 이러한 식분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토양 수분, pH, K2+, Na2+, 유효인산, 경사도 등 토양 및 지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생물다양성 보전, 지속가능한 이용에 있어서 본 연구 결과는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식물종들의 생태·환경적 특징과, 분포범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관련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