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vation Coverage Ratio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공동주택 경관평가를 위한 시각밀도 지표에 관한 연구 입면차폐도와 규제지침을 중심으로 (An Visual Density Index for the Housing Landscape Evaluation Focused on the Elevation Coverage Index)

  • 강인호;이승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53-62
    • /
    • 2004
  • Recently the landscape of housing has been emphasized. This trend seems to reflect the negative aspects of housing landscape in urban area. Throughout the analysis on the various visual density index,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Elevation blockage ratio(EBR) was permit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s of housing blocks, and the preference of block layout was different to the location of site. 2) EBR regulation level was acceptable. But 40m level of general area should be stepped up to the 35m level.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oor area ratio(FAR) and the EBR was not high.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gulate the EBR to the location. 4) Elevation coverage ratio(ECR)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FAR. It means that FAR can substitute for the ECR, and ECR should be regulated to the level of FAR.

소양강댐 유역의 강우관측망 적정성 평가 (Evaluation of Raingauge Networks in the Soyanggang Dam River Basin)

  • 김재복;배영대;박봉진;김재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8-182
    • /
    • 2007
  • In this study, we evaluated current raingauge network of Soyanggang dam region applying spatial-correlation analysis and Entropy theory to recommend an optimized raingauge network. In the process of analysis, correlation distance of raingauge stations is estimated and evaluated via spatial-correlation method and entropy method. From this correlation distances, respective influencing radii of each dataset and each methods is assesse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d entropy analysis has estimated correlation distance of 25.546km and influence radius of 7.206km, deducing a decrease of network density from $224.53km^2$ to $122.47km^2$ which satisfy the recommended minimum densities of $250km^2$ in mountainous regions(WMO, 1994) and an increase of basin coverage from 59.3% to 86.8%. As for the elevation analysis the relative evaluation ratio increased from 0.59(current) to 0.92(optimized) resulting an obvious improvement.

  • PDF

공동주택단지배치의 간극비와 바람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s of the Gap Ratio of Apartment Houses Arrangement and the Wind Field)

  • 문출성;오세규;조성우
    • KIEAE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75-82
    • /
    • 2011
  • In Korea, the ratio of population in urban areas used to be only 50.1% in 1970, but with the value risen to 90.8% in 2009, urbanization is going on rapidly. Urbanization, which occurs by the rampantly planted buildings, has become major source of raising building density, changing wind direction and reducing wind amount, and such reductions are affecting even inside the building. In each year, among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in Korea, residential portion takes up significant ratio, and specifically the ratio of apartment house is shown to be highest.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for the improvement of natural ventilation performance. The natural ventilation performance of apartment house are significantly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 but in macroscopic perspective, the performance is established fundamentally by the layout characteristics of the main building of the apartment house in preparation for wind conditions. So far researches on raising the thermal comfort through elevation of ventilation performance have been conducted actively, but many of them propose only theoretical concepts deduced through wind path analysis, and do not include any indicator to measure ventilation performance simply only with area data from layout planning stage. Therefore, in this study, gap ratio a wind field measuring indicator was developed, and after the ventilation characteristics by layout types and main building uniformity were identified, the scope of gap ratio efficient for ventilation and that of uniformity were clarified, followed by verification through simulation.

GSIS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다중관찰자의 경관선호도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 Analysis of Viewscape Preference on Observers Using GSIS & ANN)

  • 고제웅;이환주;조기성;정영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7-168
    • /
    • 2000
  • 평지보다 가용 면적이 많은 산지의 개발은 협소한 도시적 용도의 토지의 부족으로부터 기인한 많은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등장하고 있다. 산지를 개발할 경우에는 자연경관을 고려한 개발이 되어야만 하며 경관을 고려한 산지개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찰자들이 어떠한 경관요소에 의해서 경관을 평가하는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경관을 고려한 산지개발의 기초적인 연구로서 경관선호도 요인 분석에 있어서 GSIS와 AN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관찰자들은 여러 가지 경관요소 중에서 주로 산정의 표고와 건물의 표고와의 차이인“높이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용적률, 건폐률 순으로 경관평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erforating patterns of cutaneous perforator vessels in anterolateral thigh flaps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and clinical outcomes

  • Lee, Sang Soo;Hong, Jong Won;Lee, Won Jae;Yun, In-Sik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4-70
    • /
    • 2022
  • Background: Anterolateral thigh (ALT) flaps are versatile soft tissue flaps that have become the standard soft-tissue flaps used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They provide a long vascular pedicle, constant vessel diameter, abundant soft tissue coverage, and minimal donor site morbidity. The ALT flap was initially designed on the basis of a septocutaneous (SC) perforator. However, more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a substantial number of ALT flaps are now based on musculocutaneous (MC) perforators, and the ratio between MC and SC perforators varies among stud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forating pattern of ALT flaps along with their clinical outcomes during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From October 2016 to July 2020, 68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 ALT flap procedure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were enrolled retrospectively. The perforating pattern of the cutaneous perforator vessel (MC perforator/SC perforator/oblique branch), pedicle length, and flap size were analyzed intraoperatively. Patient demographics and flap necrosis rates were also calculated. Results: The highest number of cutaneous perforator vessels supplying the ALT flap were the MC perforators (87%). The proportion of MC perforat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C perforators and oblique branches. Flap necrosis occurred in seven cases (11.86%); sex,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coronary artery disease, perforator course, and history of radiotherap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flap necrosis. Conclusion: The ALT free flap procedure remains popular for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the majority of cutaneous vessels supplying the flaps were MC perforators (87%). When using the MC perforator during flap elevation, careful dissection of the perforator is required to achieve successful ALT flaps because intramuscular dissection is difficult. Perforator pattern and history of radiotherapy did not affect flap necrosis.

지리정보기반의 재해 관리시스템 구축(I) -민간 보험사의 사례, 태풍의 경우- (GIS-bas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a Private Insurance Company in Case of Typhoons(I))

  • 장은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6-120
    • /
    • 2006
  • 자연재해 및 인위적 재해는 지리학에서 인문지리와 자연지리를 통합할 수 있는 주제로 기대되고 있으나 실제로 지리정보를 이용한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와 시스템이 개발된 사례는 많지 않다. 태풍 루사와 매미가 국내 개인 및 국가에 입힌 손실만큼 손보사에게 끼친 손실이 막대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자연재해 피해액에 대한 추정과 재보험 가격산정을 위한 시나리오 구성이 요구되었다. 태풍을 사례로 한 본 연구에서는 태풍경로에 따른 풍속예측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전국단위의 필요한 지리정보를 구축하였다. 1: 5,000 수치 지도를 기본지도로 사용하였으며, 기상자료 및 계약물건의 소재지에 대한 주소자료를 점형 자료로 구축하였으며, 과거 관측된 태풍의 주요 기압의 변화 값을 속성으로 하여 경위도 좌표로 선형 자료로 구축하였으며, 토지피복도는 풍속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자료로 모델의 변수 조정에 사용하였다. 모든 자료를 전국을 1km 간격의 격자형자료로 변형하여 중첩할 수 있고, 태풍 풍속모델과 격자별 피해가능정도를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풍속에 대한모델의 정확도는 실제 기상측정지점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검증과정을 거쳤으며(전체 평균 $R^2=0.68$), 변이가 큰 기상측정지점 변화를 준 보정과정을 통해 예측시스템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풍속에 따른 피해율을 적용한 피해민감도곡선을 주거지역, 공업지역, 기타지역으로 나누어 적용하고 실제 손해배상액과 비교해 본 결과, 과대평가된 부분과 과소평가된 부분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와 시스템 구축으로 민간보험사는 재보험 요율에 근거자료를 보유할 수 있을 뿐더러 유사 재해 시 대응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작동함으로 자원의 배분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대외적 신인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향후 하천범람모형 및 태풍과 지진으로 인한 해일 모형, 내수 침수모형을 추가하여 종합적인 재해모형으로 완성할 예정이다.

여름철 공원 수림지 가장자리의 온열환경 기울기 변화 - 하동송림과 함양상림을 대상으로 - (The Gradient Variation of Thermal Environments on the Park Woodland Edge in Summer - A Study of Hadongsongrim and Hamyangsangrim -)

  • 류남형;이춘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3-85
    • /
    • 2015
  • 본 연구는 공원 수림지 경계로부터 내부로의 거리에 따른 수림지 가장자리의 온열환경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형적인 여름 날씨를 나타낸 2015년 7월 31일부터 8월 5일까지 6일간 소도읍에 소재하고 있는 장령림인 하동송림의 소나무 순림(수령: $100{\pm}33$년, 울폐도: 75%, 수고: $12.8{\pm}2.7m$, 지하고: $9.8{\pm}2.7m$, N $35^{\circ}03^{\prime}34.7^{{\prime}{\prime}}$, E $127^{\circ}44^{\prime}43.3^{{\prime}{\prime}}$, 표고 7~10m) 남측 가장자리와 함양상림의 졸참나무-개서어나무 군락(수령: 졸참나무 58~123년, 개서어나무 102~125년, 울폐도: 96%, 수고: 교목층 $18.6{\pm}2.3m$, 아교목층 $5.9{\pm}3.2m$, 관목층 $0.5{\pm}0.5m$, 지하고는 교목층 $11.0{\pm}3.2m$, 아교목층 $3.1{\pm}1.7m$, 관목층 $0.2{\pm}0.3m$, 초본층의 피도 60%, N $35^{\circ}31^{\prime}28.1^{{\prime}{\prime}}$, E $127^{\circ}43^{\prime}09.8^{{\prime}{\prime}}$, 표고 170~180m) 동측 가장자리의 경계로부터 내부로의 거리별 기온, 상대습도, 풍속, MRT나 UTCI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선형 시그모이드 함수를 적용하여 수림지 가장자리가 가지는 경계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기온, 상대습도, 풍속, MRT, UTCI의 저감효과를 구명하였다. 깊이의 결과 값이 -를 나타내는 것은 수림지의 바깥을 의미한다. 1) 최고 기온, 최저 상대습도, 최고 기온시 풍속에 대한 수림지 가장자리 효과가 미치는 깊이는 상록침엽수림인 하동송림의 경우는 수림지의 경계로부터 각각 $12.7{\pm}4.9m$, $15.8{\pm}9.8m$ 그리고 $23.8{\pm}26.2m$였으며, 낙엽활엽수림인 함양상림의 경우는 수림지의 경계로부터 각각 $3.7{\pm}2.2m$, $4.9{\pm}4.4m$ 그리고 $2.6{\pm}7.8m$였다. 2) 이용자가 체감하는 더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체가 흡수한 온열환경에 근거한 최고 MRT와 최고 UTCI(체감더위지수)에 대한 수림지 가장자리 효과가 미치는 깊이는 하동송림의 경우는 수림지의 경계로부터 각각 $7.1{\pm}1.7m$$4.3{\pm}4.6m$였으며, 함양상림의 경우는 수림지의 경계로부터 각각 $5.8{\pm}4.9m$$3.5{\pm}4.1m$였다. 3) 미기후 즉 온열환경 요소인 기온, 상대습도, 풍속 그리고 인체가 흡수한 온열환경에 근거한 주간(10:00~17:00) MRT와 UTCI에 대한 수림지 가장자리의 효과는 식생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하층식생이 발달한 함양상림이 식생밀도가 낮고, 하층식생의 거의 없는 하동송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체감 더위지수인 UTCI의 10분 평균값이 최댓값을 나타낸 시점을 기준으로 하면, 수림지 경계로부터 내부로의 거리가 하동송림의 경우는 $4.3{\pm}4.6m$, 함양상림의 경우는 $3.5{\pm}4.1m$에서 온열환경 기울기의 변화가 비교적 완만해지므로, 수림지 계획시 이용객의 온열환경을 고려한 완충대의 적정 폭은 하동송림의 경우는 4.3~8.9m, 함양상림의 경우는 3.5~7.6m이다. 또한 온열환경에 대한 완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수림지 완충대 식생의 수직구조는 다층 구조의 수관과 닫힌 가장자리로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