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mathematical concepts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6초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Hearing Teachers' Voic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31-2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하위 48개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 교사 223명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수업, 개념에 초점을 두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공학을 사용하는 수업, 좋은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드러냈다. 좋은 수학 수업의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가능성 지도에 대한 고찰과 개선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to improve teaching of chance)

  • 고은성;탁병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29-45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가능성 지도가 우연(chance)과 무작위성(randomness)의 개념과 관련하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연과 무작위성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가능성 지도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자료에 기반을 둔 추론의 경험이 결여되어 있었으며, 무작위성 지도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또한 표본공간의 지도가 누락되면서 모순적인 소재가 활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능성에 대한 지도가 특정 학년에 편중되어 지도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확률 지도의 개선을 위해 크게 확률 실험의 지도와 표본공간의 지도를 제안하며, 또한 특정 학년에 편중된 구성을 위해 자료 영역의 내용을 조절할 것을 제안한다.

초등학생의 수학 일기 쓰기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Writing Typ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sented in Mathematics Journal)

  • 고상숙;박만구;김정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85-10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수학 일기 유형들을 분석하고 학년이 올라가면서 수학 일기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파악하여 수학교육에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일기 경진대회'에 제출한 교구수학부문 222편의 자료 중 미성년자 학생과 그 학생의 학부모 동의를 모두 받은 170편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학 일기 유형 분석을 위한 틀은 3명의 연구자 간의 독립적인 분석을 통해 12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이 쓴 수학 일기 쓰기의 유형으로 관찰 일기, 문제 만들기, 개념 정리 일기, 복습 일기 등 다양한 일기를 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영역으로는 수와 연산 영역과 도형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일기 쓰기를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 일기 쓰기에서 나타난 유형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실험에 의한 관찰일기, 문제만들기, 개념정리일기 등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고, 소수이지만 아이디어 일기와 설명 일기가 새롭게 나타났으며, 반면 게임을 통한 (승리) 전략 세우기와 같은 유형은 하락하였다. 이는 활동중심 또는 단순한 묘사를 필요로 하는 유형에서 수학적 개념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수학 일기의 유형은 12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지만 학교 현장에서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글쓰기에 교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지구조 분석 - 단어연상검사(Word Association Test) 적용 - (An analysis of 6th graders' cognitive structure about division of fraction - Application of Word Association Test(WAT) -)

  • 이효진;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3호
    • /
    • pp.329-35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cognitive structure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6th graders' problem-solving abilities about the division of fraction and to propose a method for improving the 6th graders' understanding about the division of fraction through the word association test.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1)The lower level students' is, the lower the step that the chunk appeared in cognitive structure is. 2)The basic level students' association frequency between any two concepts was less than the excellent level students and the ordinary level students' it. 3)The basic level students' connection number between concepts was far less than the excellent level students and the ordinary level students' it. 4)The connection between natural number and unit fractions, subtraction of fraction and division of fraction, division of fraction and reduction to common denominator, and division of fraction and common multiple that expected in this study did not appear in the three groups.

초등 수학 개방형 과제의 해법 공간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zing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 김남균;김수지;송동현;오민영;이현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81-10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과제의 해법 공간을 분석하는 틀을 개발하고 그 유용성과 적용 가능성을 학생들의 해법 공간 분석 사례를 바탕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문헌검토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개방형 과제의 해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틀로 결과 공간(Outcome spaces), 방법 공간(Method spaces), 표현 공간(Representation spaces)의 하위 공간으로 조직화한 해법 공간 분석 틀(OMR-framework)을 개발하였다. 약수와 배수 주제의 개방형 과제 유형 중 역 과제와 구성활동적 과제를 개발하고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81명에게 과제를 해결하게 하였다. 해법 공간 분석 틀(OMR-framework)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해법 공간을 분석한 결과, 해법 공간과 방법 공간에서 역과제와 구성활동적 과제에 대한 학생의 약수와 배수 개념 이해의 특성과 문제해결에서 사용되는 가역적인 사고 및 조작과 구성의 사고 방법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의 표현 공간에서 형식적인 수학적 표현 외에 학생들이 구성한 비형식적인 다양한 표현 방식을 분석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해결한 것을 결과, 방법, 표현의 관점에서 해결의 특징을 분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법 공간을 이루는 결과 공간, 방법 공간, 표현 공간 사이의 연결성도 탐색할 수 있었다.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만들기에 관한 예비교사 지식 조사 연구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Story Problem for Division of Fractions)

  • 노지화;고호경;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1호
    • /
    • pp.19-30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지식 중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제기(problem posing)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눗셈에 관한 스토리 문제 제기 능력은 나눗셈의 개념을 실생활 맥락에서 유연하게 사용하는 능력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초등 예비교사들이 향후 교실에서 실생활 소재를 통해 나눗셈 교수 내용을 구성하고 가르치는데 있어 중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자연수 나누기 분수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틀 기준에 따라 '수학적 정교성'과 '주요 오류 유형' 그리고 '나눗셈 연산 모델'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함에 따라 초등 예비교사의 나눗셈 교사 지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한국과 싱가포르의 6학년 도형영역 교과서 비교 분석 및 수학수업의 적용사례

  • 천미향;최창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109-133
    • /
    • 2012
  • In this research, I selected a Singapor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hich substantially reflects Singapore curriculum, and compared it with Korean one to understand how they differ in the contents system of the curriculum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geometry and measurement strand, and analyzed their common points and different points intensively with textbooks for sixth-grade students. Also, I translated a chapter of the textbook, 'Mathematics in Action'. That chapter was about circumference and the area of the circle which is related to the shapes part. Then, I taught it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compare their achievement and the change of reaction to studying the shape-related parts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when we analyze the contents of shape-related part of the textbooks for sixth-grade students of both countries, Singaporean textbook contains more contents that ar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which implies that it is more desirable to teach new concepts of shapes when students are in their higher grades. Second, as for the way they develop the activity of each chapter, Korean textbook sticks to a uniform way, while the Singapore textbook uses various ways for different subjects and grades. In addition, when they organiz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tudent's activity and lead students with various methods by suggesting several questions and situations.

The Effect of Solid Geometry Activit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on Concepts Understanding and Mastery of Geometric Thinking Levels

  • Patkin, Dorit;Sarfaty, Yae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31-50
    • /
    • 2012
  • The present study explored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focused activities (intervention programme) can enhance 22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roficiency in solid geometry thinking level as well as change for the better their feelings in this discipline. Over a period of 6 weeks th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activities and diversified experiences with 3D shapes, using illustration aids and actual experience of building 3D shapes in relation to the various spatial thinking levels.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tervention programme, comprising task-oriented activities of solid geometry, enhanc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mastery of their geometric thinking levels as well as examine their feelings towards this disciplin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me. The findings illustrate that learners' levels of geometric thinking can be promoted, entailing control on higher thinking levels as well as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is field.

GRADED w-NOETHERIAN MODULES OVER GRADED RINGS

  • Wu, Xiaoyi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7권5호
    • /
    • pp.1319-1334
    • /
    • 2020
  • In this paper, we study the basic theory of the category of graded w-Noetherian modules over a graded ring R. Some elementary concepts, such as w-envelope of graded modules, graded w-Noetherian rings and so on, are introduced. It is shown that: (1) A graded domain R is graded w-Noetherian if and only if Rg𝔪 is a graded Noetherian ring for any gr-maximal w-ideal m of R, and there are only finite numbers of gr-maximal w-ideals including a for any nonzero homogeneous element a. (2) Let R be a strongly graded ring. Then R is a graded w-Noetherian ring if and only if Re is a w-Noetherian ring. (3) Let R be a graded w-Noetherian domain and let a ∈ R be a homogeneous element. Suppose 𝖕 is a minimal graded prime ideal of (a). Then the graded height of the graded prime ideal 𝖕 is at most 1.

초등학생의 각 개념 형성에 나타난 수학적 은유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aphors of angle concepts)

  • 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79-93
    • /
    • 2023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각의 다면성을 어떻게 형성하고 학년이 올라가면서 초등학생의 각 개념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은유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각 개념 학습 요소인 각, 직각, 예각, 둔각에 대하여, 이 용어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것을 낱말로 표현하고 그 근거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각과 직각은 3학년 1학기에 학습하므로 3~6학년 총 268명의 응답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예각과 둔각은 4학년 1학기에 학습하므로, 4~6학년 총 192명의 응답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은유적 표현'과 그 '근거'를 짝지어 은유적 표현을 정리하고, 기하적 도형이라는 질적 측면, 측정 및 회전량이라는 양적 측면, 점과 선의 구성 요소와의 관계적 측면에서 코드화하였다. 은유적 표현을 범주화한 결과, 질적 측면에서 <사물의 은유>, <인간형의 은유>, <감정의 은유> 범주 등, 양적 측면에서 <움직임의 은유>, <변화의 은유>, <감정의 은유> 범주 등, 관계적 측면에서 <도형 관계의 은유> 범주를 찾았다. 초등학생의 은유적 표현은 모양으로 접근하는 각의 질적 측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학년이 올라가면서 각의 크기 및 벌어진 정도의 양적 측면이나 각의 구성 요소 및 다른 도형과의 관계적 측면이 증가하였다. 직각과 예각은 모양의 접근이 두드러졌고 둔각은 세 가지 접근의 빈도 분포가 유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추출한 초등학생의 은유적 표현은 각 개념 형성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거나 수업 구성 및 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면적인 각 개념의 형성을 위하여 차시별 도입 방법만이 아니라 관련 학습 내용 간의 학습 계열의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고,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도형과 측정 영역이 하나의 영역으로 변경되면서 각의 다면성과 연계하여 학습 계열 설정의 논의가 더욱 중요한 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