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검색결과 2,239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 교사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29-637
    • /
    • 2019
  •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의 빠른 변화를 교사들이 수용하여 교육에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빠른 변화의 중요한 축이 인공지능에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부터 인공지능 교육을 해야 한다. 이런 변화에 발맞추어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기본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개발 내용은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인공지능 개념을 이해해야 것이고, 두 번째 단계에는 인공지능 도구를 알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하고, 마지막 단계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 단계를 적용하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교육한 후에 현장 적용하고 평가하는 방법으로 실제 초등학교 교사 15명을 실험한 결과 초등학교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담당할 교사들에게 유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될 것 이다.

일본의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in Japan)

  • 신승기;배영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95-604
    • /
    • 2014
  • 일본 문부과학성에는 21세기를 이끌어갈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것을 '사는 힘'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를 위해 '신 학습지도 요령'을 개발하여 2011년부터 초등학교에 적용하고 있다. 변화하는 교육현장에 대응하기 위해 정보교육과 관련하여 2010년에는 '신 성장 전략 회의'를 실시하였으며, '교육 정보화에 관한 지침서'를 공표하였고, 2011년에는 '교육에서 ICT를 활용하기 위한 방향'이라는 연구를 통해 내용체계가 구성되었다. 특히 초등학교에서는 각 교과에서 정보교육을 통합하여 필수내용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는 중등교육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정보교육을 준비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초, 중, 고등학교가 연계된 정보교육의 일원화된 교수 학습방법과 정보과학적 사고를 토대로 이루어진 정보교육이 우리나라의 정보교육의 방향에 미치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혼합학습 환경에서 비만학생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김정겸;이은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24
    • /
    • 200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available for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which refered to a combination of ofline and online learning. And it's also intended to verify its efect to bost the eficiency of obese schol children's learning about obesity.Methods : The subjects were 52(experimental group=21, control group=31 )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who OVA. Results : The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tailored to blended learning setting wasn't more conducive to lowering the obesity level of the obese students t han the typical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But the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was more efective than the typical one in improving the knowle dge of the obese students about obesity, and in enhancing the academic self-eficacy of the children. Conclusion : As the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 tailored to blended learning setting was effective in boosting the relevant knowledg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put into developing obese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programs available for both online and offline to help students to access information on obesity and manage it better.

초·중등학교 교육정보자원 운영의 내실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bstantial Proposal of the Educ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Oper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구덕회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03-112
    • /
    • 2007
  • 본 연구는 교육정보화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보급된 초 중등학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교육정보자원 운영의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된 문제를 규명하고 내실화를 위한 방안들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관련된 이전의 연구자료를 분석하고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학교에서 교육 정보 자원의 사용에 대한 현 상태를 조사하였으며 학교 현장 및 국내 유관 부처를 방문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 중등학교 교육정보자원 운영의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산출된 교육정보자원 운영의 내실화 방안들이 초 중등학교 및 정부부처에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환경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 조병찬;류재인;정진수;김효남;박국태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2호
    • /
    • pp.1-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study, 1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H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amp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oncern of environmental problems were water-pollution and garbage problems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environment and injudicious development. Second, most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y answered that they were doing best to teach students with the main purpose of helping them develop value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ird, most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arried out during class using current events and the emphasis on garbage separation and recycling. They also showed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field trip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urth, it appeared to come from media-oriented environmental education. Most teachers mainly used newspapers and visual materials. 1'hey were obtain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media. Since in-service teachers' conceptions could directly effect presen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PDF

초등정보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Gifted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 전우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7-368
    • /
    • 2010
  • 현대는 지식 정보화 사회이며 한 나라를 이끌어 갈수 있는 원동력은 지식기반의 산업의 육성에 달려 있다. 또한, 개인의 경쟁력 측면에서도 정보화 능력 및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지식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 갈 정보영재의 발굴과 교육은 더욱 중요하다. 현재 정보영재교육은 사교육과 공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초등학교 정보영재교육과정의 현황을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보영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다양한 관점에서 제안한다.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잔류농약 인식에 기초한 안전 식생활 교육용 앱 개발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App for Safe Dietary Life based on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ceptions on Pesticide Residue)

  • 채현자;김정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1-16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app that informs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correct information on pesticide residue based on their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s on pesticide residu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918 parents living in 8 different districts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a majority of parents felt uncomfortable with pesticide residue and wanted to have the proper information regarding it. Based on the above results, an app named 'Perfect Conquest of Pesticide Residue' consisting of 5 main menus of 'Pesticide residue, Is it safe?', 'Safe management of pesticide residue', 'Perfect removal of pesticide residue on fruits and vegetables through washing', 'Shopping without anxiety', 'Playground' and their own sub-menus was developed. When the app was applied to 30 parents using smart phones, a majority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detailed information and fun activities. Therefore, this app could be utiliz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tool for the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by allowing them to have proper awareness on pesticide residue. Furthermore, more apps could be developed on other food risk factors to promote safe dietary lif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New Informatics Subject according to Computing Competency

  • Mi-Young Ryu;Seon Kwan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245-252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정보 교과의 신설을 위해 초등교사의 컴퓨팅 역량에 따른 교과 신설에 대한 인식과 방법을 분석하였다. 먼저 초등 정보교과의 신설 필요성과 그에 따른 시수, 확보방안 등의 설문을 개발하였고 전국의 초등교사 16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팅 역량과 심화전공에 따른 정보교과 신설에 대한 의견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과의 성격, 수업 시수, 시수확보 등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정보교과를 신설하기 위해서는 컴퓨팅 역량이 낮거나 컴퓨터 관련 전공을 하지 않는 교사를 대상으로 그 필요성과 인식의 제고를 위한 방안을 마련되어야 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많은 초등 교사들이 정보교과의 신설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2025교육과정 개정 이후 SW와 AI를 포함하는 정보교과가 초등교육과정에 신설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초등학생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성취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hievement Goals of Computer Programming for Elementary students)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55-264
    • /
    • 2014
  •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에서 창의성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창의성 교육의 핵심은 자신의 창의적인 생각을 직접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 교육이다. 이미 각 나라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교육은 정보, 문제 해결, 알고리즘, 프로그래밍의 4분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영역의 성취 기준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성취 기준은 우리나라 다른 교과의 교육과정과 해외 교육 사례를 기반으로 만들었다. 본 연구의 타당도 분석은 초등학교 선생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의 한 영역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컴퓨팅사고 프레임워크 기반 초등 소프트웨어교육 경험 분석 (Analyzing Elementary Student Experience on Software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Framework)

  • 이정민;이명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15-42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소프트웨어교육 경험을 Brennan과 Resnick(2012)이 제안한 컴퓨팅사고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개념, 수행, 관점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A 초등학교 5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스크래치를 활용한 소프트웨어교육을 실시하고, 소프트웨어교육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는 총 27명의 학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그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소프트웨어교육에서 학습자들은 직접 스크래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컴퓨팅사고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을 학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 소프트웨어교육에서 학습자들은 스크래치 프로젝트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컴퓨팅사고의 실행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 소프트웨어교육에서 스크래치 프로젝트를 통해 학습자들의 컴퓨팅사고 관점에서 창의적인 표현성과 상호작용적인 연결성의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소프트웨어교육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컴퓨팅사고력 증진을 위한 소프트웨어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