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6초

A Preliminary Study on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Classification Learning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 Shin, Yang-Kyu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4권4호
    • /
    • pp.817-824
    • /
    • 2003
  • We employed a hierarchical document classification method to classify a massive collec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EMR) written in both Korean and English. Our experimental system has been learned from 5,000 records of EMR text data and predicted a newly given set of EMR text data over 68% correctly. We expect the accuracy rate can be improved greatly provided a dictionary of medical terms or a suitable medical thesaurus. The classification system might play a key role in some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various interpretation systems for clinical data.

  • PDF

전자의무기록 식별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연구 (The Study of Metadata Model to Identify Electronic Medical Record)

  • 홍성호;김영섭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3-66
    • /
    • 2014
  • Manag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currently electronic medical system is not designed standard that is uniform and proper. In this paper,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we propose meta-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as a single system.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the research on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related standards. Second, w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abstrac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entities related on electronic medical, and we designed an entity-relationship model. And finally, we have to complete the meta-data through the setting attributes in this entity-relationship model.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hat we can complete metadata highly expressive medical records, and suggest an alternative for problem of current medical records systems.

Statues and Improvement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Jung, Bo-Young;Kim, Kyeong Han;Kim, Song-Yi;Sung, Hyun-Kyung;Park, Jeong-Su;Go, Ho-Yeon;Park, Jang-Kyu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5-202
    • /
    • 2018
  • Objectives: The study was to survey use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 subjects of Korean medicine doctors working for Korean medicine organizations and to contemplate ways to develop utiliz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Methods: On August 2017, it conducted online self-reported survey on subjects of Korean medicine doctors at Korean hospitals and clinic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 total 40 doctors in hospital and 279 doctors in clinic were included. The surveyed contents include kinds of electronic chart, reason for not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problems with creation of medical records. Results: It finds that 100% of those working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and 86.4% of those at Korean medicine clinics have us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Subjects answered the biggest reason for not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was inconvenience. The most serious problems with cre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t Korean medicine organizations found in the study include there was no method of creation of medical records and no standardized terminology for use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Conclusion: For utiliz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t Korean medicine organizations,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development of EMR in favour of its users and development of strategy that motivates use of EMR are required.

Study on the Categorical Structure Standardization for Representation of 3D Human Body Position System

  • Choi, Byung-Kwan;Choi, Eun-A;Nam, Moon-He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4호
    • /
    • pp.260-266
    • /
    • 2020
  • This study presents the categorical structure for ther epresentation of a 3D human body position system in the WD stage after NP approval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analyzes the needs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users and establishes future implementation plans for expanding its use in Korea.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needs of doctors, nurses,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rs, and radiology departments, which are the main stakeholders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 overall requirements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and the requirements for each stage of use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proposes plans to expand the use of the categorical structure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3D human body position system, and also aims to establish a standard system for health and medical terminology in Korea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standards through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폐업 의료기관 전자의무기록 관리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Current Status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s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Closed Medical Institutions)

  • 최기쁨;김휘언;장지혜;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5-76
    • /
    • 2020
  • 우리나라 대부분의 의료기관이 전자의무기록을 도입하고 있지만, 의료기관이 폐업했을 경우의 기록물 관리 및 보존에 있어서 많은 맹점이 존재한다. 폐업 의료기관의 기록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건소로 기록을 이관하는 폐업 의료기관의 수가 현저히 적고, 전자의무기록을 사용하는 의료기관마다 사용하는 시스템 및 서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관을 받는 보건소에서도 해당 기록을 열람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건소의 현실과 전자의무기록이라는 특수성에 부합한 관리기준 및 지침 또한 부재한 상황이다. 최근 폐업 의료기관의 의료기록에 대한 보건소의 보관책임 강화 법안이 통과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관할 보건소의 효율적인 기록물 관리를 위한 방안 마련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관계 법령을 살펴보고 관리·보존이 미흡한 폐업 의료기관 전자의무기록 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조사를 비롯한 정보공개청구 및 전화인터뷰 등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제도적·기술적·행정적인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XML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ing XML)

  • 강병도;정석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6호
    • /
    • pp.1127-1136
    • /
    • 2002
  • 의료계에서는 보다 나은 의료 서비스를 환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발달된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 및 건강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하기 위하여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가 XML을 이용하여 개발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자료저장소, 문서 구조 관리기, 문서 작성기. XML 자동생성기 등의 주요한 4개의 모듈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우리가 개발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가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형외과의 외래환자 의무기록에 적용하여 보았다.

우리나라 전자의무기록의 개선방안 (Improvement Plan of the Korean Electronic Medical Record)

  • 최찬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21
    • /
    • 2014
  • The rapid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facilitates the changes of hospital administration, introducing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instead of paper-based medical record in the medical field.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 have established EMR system after in the middle of 1970s because the primary advantages of EMR is to store and handle vast amounts of records efficiently and increase the quality of health care. Most of health organizations in Korea also apply medical record system to their administration. As the result, they have accomplished a scientific administration system through the use of medical record to handle a variety of patient's information including patient's confidentiality and privacy such as family history, social status, income level, and so on. However, access to and the misuse of EMR causes illegal infringement of patient's information and finally it becomes a very serious medical issue. Potential leakage and misuse of records may seriously infringe patient's privacy rights. In this respect, the related agencie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have been making efforts to prevent patient's records leakages. Especially, the revision bill of Medical Law in 2002 establishes the ways on the security and standards of electronic records. However, it does not provide the proper guidelines which is applied to the rapid changes of the medical environment. One of the most priorities in the hospital administration is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an accurate medical records fulfilled by medical recorder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health care providers to hire ethical-based medical recorders. But, unfortunately most of hospitals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All parts including government, physician and patient must have more concerns on the problems related to EM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proper ways to resolve the problems coming from EMR.

음성인식과 자연어 처리 딥러닝을 통한 전자의무기록자동 생성 시스템 (Automatic Electronic Medical Record Generation System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Deep Learning)

  • 손현곤;류기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731-736
    • /
    • 2023
  • 최근 의료 현장은 전자의무기록, 전자건강기록 등의 의료 기록을 전산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의무적으로 적용되거나 전체 의료 현장에 보급되어 환자 개개인의 과거 의료 기록을 추가적인 의료 행위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의료 문진 및 상담 간 발생하는 의료진과 환자 간의 대화는 별도로 기록되거나 저장되지 않고 있어 추가적인 환자의 주요 정보는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 문진 현장에서 발생하는 의료진과 환자와의 대화를 저장하고 이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주요한 문진 내용만 자동으로 추출, 요약하여 정보화하는 음성인식과 자연어 처리 딥러닝을 통한 의료상담 요약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의료 종사자와 환자의 의료 상담 내용의 인식과정을 거쳐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텍스트를 복수의 문장으로 구분하고, 생성된 문장에 포함된 복수 키워드의 중요도를 산출한다. 산출된 중요도를 기반으로 복수의 문장에 순위를 매기고, 순위를 기반으로 문장들을 요약하여 최종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안하는 시스템 성능은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우수함을 확인한다.

전자의무기록 변경 방지 프로토콜 (Electronic Medical Record Modification Prevention Protocol)

  • 주한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5-144
    • /
    • 2010
  • 의무기록은 의료행위에 대한 매우 중요한 기록으로 임의로 변경되지 말아야 한다. 현존하는 의무기록은 모두 변경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전자의무기록이 점차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전자의무기록을 사용함에 따라 암호학적 기반을 이용하여 의무기록 변경을 방지할 수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결해쉬, 전자서명, 전자공증 등의 암호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의무기록 변경을 방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을 통하여 수행을 분석한다. 제안된 기법은 적은 추가비용으로 의무기록 변경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도록 한다.

전자의무기록 관리시스템 관련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들에 대한 의무기록 관리자의 중요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Assessment of Records Management Metadata Elements Related to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Records Managers)

  • 이은미;김명;임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1-171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 시내 5개 대학병원의 의무기록 관리자들이 생각하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구현 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의 중요도를 설문조사하였다. SPSS 20.0(ver)을 이용하여 중요도 점수는 5점 척도의 평균으로 도출하여 순위를 정하였고 응답자 특성에 따른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90%의 응답자가 국가기록원에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을 고시하고 있음을 모르고 있었다. 가장 중요도가 높은 요소는 '비밀등급 설정' 이었으며 '의무기록 접근행위종류', '내부직원 권한 설정', '의무기록 이용접근자' 요소가 그 다음 순위를 보여 기록정보보호 측면에서의 관리 기능 강화를 필요로 함을 알 수 있다.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외부공개'는 중요도가 낮은 관리요소로 평가되었으나, 전자의무기록 도입 7년 이상인 기관의 관리자들은 7년 미만의 관리자 보다 유의하게 이 세 가지 요소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이는 정보 축적에 따라 의학연구, 의학교육 등에서의 정보 이용에 대한 관리 기준과 시스템상의 적용이 필요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