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 Donating Ability

검색결과 686건 처리시간 0.033초

당뇨처방에 근거한 생약재 복합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a Medicinal Herb Mixture Prepared through the Traditional Antidiabetic Prescription)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16-922
    • /
    • 2011
  • 본 연구는 다양한 생약재를 사용하여 생약재 복합물을 구성하고, 복합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생약재 복합물의 추출 수율은 물 추출물이 35.00%, 에탄올 추출물 25.33%이었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층의 수율이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64% 및 3.76%였다. 생약재 복합물의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34% 및 2.42%이었고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5.04% 및 4.56%이었으며, 용매별 분획물 중 ethyl acetate층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또한 ethyl acetate층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물에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salicylic acid와 ${\rho}$-coumaric acid이었다. 물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43.32% 및 41.32%이었으며, 각각의 용매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패턴과 유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9.68% 및 8.94%였으며, 용매별 분획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전자공여능과 유사하였다.

머루와인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The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Wild Grape(Vitis coignetiea) Wine)

  • 박현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8-73
    • /
    • 2011
  • 머루와인의 pH는 $3.7{\pm}0.1$,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4.3{\pm}0.3$, 색도는 $10.2{\pm}0.8$이었으며,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18.8{\pm}3.9$ mg/100 g, $0.5{\pm}0.2$ mg/100 g이었다. 무기질은 총 10종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K의 함량이 $5.3{\pm}0.2$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u}L/mL$의 농도에서 $90.4{\pm}1.8%$로 가장 활성이 뛰어났으며,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1,000 ${\mu}L/mL$일 때 환원력은 0.932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H 1.2의 조건일 때 1,000 ${\mu}L/mL$의 농도에서 $76.3{\pm}1.3%$로 가장 뛰어난 소거능을 보였다. 머루와인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험 결과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복분자 딸기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 차환수;박민선;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9-415
    • /
    • 2001
  • 복분자딸기 열매의 미숙과와 완숙과 그리고 잎을 사용하여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용매에 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복분자딸기의 잎에서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75% 아세톤으로 추출한 경우 잎에서 건물기준으로 100 g당 11.38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의 전자공여능은 추출 용매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미숙과가 완숙과나 잎에 비하여 90%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pH 1.2, 4.2, 6.0의 조건으로 조사한 결과 pH 1.2일 때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pH 1.2의 조건에서 미숙과의 아질산염 소거율은 80% 메탄올 추출물이 63.24%, 75% 아세톤 추출물은 60.56%로 완숙과나 잎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에서는 잎이 49.83%로 미숙과와 잎에 비하여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의 SOD유사활성은 완숙과가 미숙과나 잎에 비하여 모든 추출조건에서 높은 SOD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E. coli,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를 시험균주로 하여 agar diffusion test를 실시한 결과 모든 추출물이 B. cereus에서만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볶음처리에 따른 치커리의 기능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es)

  • 홍미정;이기동;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13-418
    • /
    • 1998
  • 한국산 치커리 뿌리의 식품학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볶음온도$(120{\sim}180^{\circ}C)$와 볶음시간($10{\sim}40$분)을 달리하면서 치커리차의 품질에 관련된 관능적 및 기능적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갈색도는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음조건별 치커리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볶음처리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면서, 무처리 대조구보다 각각 2배와 3.6배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치커리의 볶음처리에 따른 페놀성 성분의 함량과 과산화물가 측정에 의한 항산화성의 변화는 볶음온도 $160^{\circ}C$, 볶음시간 30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치커리차의 관능적 기호도는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고온에서 장시간 볶음시에는 기호도가 떨어져 볶음온도 $170^{\circ}C$, 볶음시간 30분 이상의 조건에서는 기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음조건에 따른 치커리차 물추출물의 기능적 특성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전자공여작용은 갈색도 및 페놀성 성분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치커리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갈색도 및 전자공여작용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머루 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황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Grape(Vitis coignetiea) Juice)

  • 박현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7-304
    • /
    • 2010
  • 머루 주스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17.0{\pm}0.1$, 색도는 $33.9{\pm}1.4$였으며,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25.4{\pm}3.1$ mg/l00 g, $4.4{\pm}1.4$ mg/100 g이었다. 무기질은 특히 K의 함량이 $11.3{\pm}0.3$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mu}L$/mL의 농도에서 $94.8{\pm}1.2%$의 뛰어난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머루 주스를 이용하여 금속이온의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1,000\;{\mu}L$/mL일 때 환원력은 1.134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H 1.2의 조건일 때 $1,000\;{\mu}L$/mL의 농도에서 $77.1{\pm}1.1%$로 가장 뛰어난 소거능을 보였다. 머루 주스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험 결과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기계식 및 재래식 죽초액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s made by steel kiln and earth kiln)

  • 이범수;최상호;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19-724
    • /
    • 2002
  •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bambuoides sieb. et zucc.)를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탄화시켜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을 얻고 기계식 죽초액을 증류·정제하여 정제 죽초액을 얻은 다음 각각의 죽초액의 아질산염 소거와 전자공여 효과 및 이들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죽초액을 $1{\sim}6%$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에서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pH 하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pH 1.2와 pH 3.0에서 뚜렷한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pH가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져 pH가 6.0일 때에는 미미한 상태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일정한 농도와 pH에서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으며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고 각각 663.4, 571.62, 485.16 ppm이었으며 증류·정제과정에서 함량이 감소되었다. 각각의 죽초액을 $0.2{\sim}1.2%$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별 반응시간에 따르는 전자공여 작용 효과를 비교하였다.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각각의 죽초액의 전자공여 작용 효과가 뚜렷하였고 일정시간 내에서 각 농도에서의 전자공여 작용 효과는 죽초액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기계식 죽초액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재래식 죽초액이나 기계식 정제 죽초액보다 기계식 죽초액에 페놀성 화합물이 더 많이 함유되어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벤젠술핀아미드의 가수분해반응에서 산 및 할라이드 이온의 촉매작용 (Acid and Nucleophile Catalysed Hydrolyses of Benzenesulfinamides)

  • 이종팔;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906-1909
    • /
    • 2010
  • Benzenesulfinamide류의 가수분해반응에서 산 및 할라이드 이온의 촉매작용을 속도론적으로 조사하였다. 반응속도는 산 및 할라이드 이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benzenesulfinyl group에 전자주게기와 이탈기에 전자받게기를 가진 반응기질에서 빠르게 나타났다. 할라이드 이온의 반응성은 브롬 이온이 염소이온 보다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반응 메카니즘은 초원가 중간체와 술포늄 양이온을 거쳐 진행 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었다.

두리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Durian (Durio zibethinus) Extract)

  • 지윤선;장준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5-26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by water and 70% ethanol extract from durian (Durio zibethinus.) seed, sarcocarp and peel. Durian extract were studied for reducing sugar content, polyphenol content,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y,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flavonoid content,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sugar content were increased peel > sarcocarp > seed.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SOD like activity were increased seed > peel > sarcocarp.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relatively high as $21.90{\pm}0.50mg/g$ in the ethanol extract of the see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relatively high as $62.08{\pm}2.63%$ in the water extract of the see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seed > peel > sarcocarp, was relatively high as $58.27{\pm}1.13%$ in the water extract of the seed.

흑마늘 첨가 김치 양념소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Kimchi Seasoning with Black Garlic)

  • 이경행;윤영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5-180
    • /
    • 2017
  • To enhanc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reduce the off-flavor of garlic in the Kimchi, we manufactured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25~75% black garlic instead of raw garlic and measured the contents of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 was $270.91{\mu}g/mL$ in the control and $278.18{\sim}305.75{\mu}g/mL$ in the Kimchi seasoning with black garlic.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lack garlic in the Kimchi seasoning.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gradu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The flavonoid compound content was 26.18 mg% in the control and 26.80~38.72 mg% in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25~75% black garlic. The flavonoid compound content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lack garlic. The flavonoid conte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olyphenol compounds during storage periods. In the case of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ies,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e control was 84.82%, which showed a low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were increased as the amount of black garlic was increased. In the lipid peroxidation test, the control showed no lipid peroxidation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also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during storage as in the control. However, it showed lower activity than the control. Reducing power was higher in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than in the control. The higher the ratio of black garlic, the higher the reducing power.

장생 도라지의 화학성분과 생리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oraji(Platycodon grandiflorum))

  • 손미예;서종권;김행자;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17-720
    • /
    • 2001
  • 4년근과 24년근 도라지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24년근 장생 도라지의 화학성분 조성은 수분 82.7% 조단백 1.6% 조지방2.1%, 조회분 0.7% 총당 6.0% 총 식이섬유 2.3% 조사포닌 3.4mg% 및 비타민 C 3.0mg%였으며 4년근과의 함량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무기물의 함량은 24년근이 4년근에 비하여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K가 879.9mg/kg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4년근과 4년근의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정도는 에탄올>메탄올>물의 순이었고 전자공여능은 24년근이 4년근보다 10-50%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업 소거효과도 10~40% 까지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