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ical conductivity

검색결과 3,468건 처리시간 0.027초

진공증착법에 의한 산화철박막의 제조 및 전기적특성 (Preparation of Iron Oxide Thin Films by Vacuum Evaporation Method and Its Electrical Properties)

  • 조경형;오재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7-93
    • /
    • 1985
  • The hematite the magetite and the maghemite thin film were prepared by oxidation and reductino of the vaccum-evaporated iron thin film. Interre;atoms between film preparation process and the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t room temperatu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iron the hematite the magnetite and the maghemite thin film were $1{\times}10^4\Omega^{-1}cm^{-1}$, 2{\times}10^{-5}\Omega^{-1}cm^{-1}$, $3{\times}10^{-5}\Omega^{-1}cm^{-1}$, and $4{\times}10^{-5}\Omega^{-1}cm^{-1}$, resp-ectively. The surface of each thin film was dense and homogeneous. At the temperature that the iron thin film was converted into the hematite thin film the electrical conductivity decreased rapidly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hematite thin film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The hematite thin film was reduced to the magnetite thin film in H2 atmosphe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decreased rapidly at the temperature that the maghemite thin film is formed by oxidation of the magnetite thin film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aghemite thin film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 PDF

화학적기상증착법에 의한 구리박막의 전기전도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Electrical Conductivity of Copper Thin Films Prepared by CVD Technology)

  • 조남인;김용석;김창교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59-466
    • /
    • 2000
  • For the applications in the ultra-large-scale-integration (ULSI) metallization processing copper thin films have been prepared by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technology on TiN/Si substrates. The films have been deposited with varying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substrate temperatures and copper source vapor pressures. The films were then annealed in a vacuum condition after the deposition and the annealing effect to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films was measured. The grain size and the crystallinity of the films were observed to be increased by the post annealing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also increased. The best electrical property of the copper film was obtained by in-situ annealing treatment at above 40$0^{\circ}C$ for the sample prepared at 18$0^{\circ}C$ of the substrate temperature.

  • PDF

산화물유리에서의 $Na^+$이온과 $Ag^+$이온 교환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 (Electrical conductivity in oxide glasses subjected to $sodium \leftrightarrow silver$ ion exchange treatment)

  • 한준수;강원호;이효경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9권3호
    • /
    • pp.284-290
    • /
    • 1996
  •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bulk galsses in the system Na$_{2}$O-CaO-Al$_{2}$O$_{3}$-B$_{2}$O$_{3}$-SiO$_{2}$ containing 20 to 30mol% sodium which have been subjected to a sodium .tautm. silver ion exchange reaction for 24, 36 and 48 hrs. were analysed by impedance spectroscopy method. Ion exchanged glasses exhibit activation energy values lower than those of the untreated on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 with sodium content and ion exchanging time. In this experimen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xhibits a manximum value of 1.78*10$^{-4}$ S/cm at 200.deg. C which contains 30mol% sodium and subjects ion exchange reaction for 48hrs.

  • PDF

Influence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Dielectric on WEDM of Sintered Carbide

  • Kim, Chang-Ho;Kruth, Jean-Pierre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12호
    • /
    • pp.1676-1682
    • /
    • 2001
  • This work deals with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dielectric and cobalts percentage on output parameters such as metal removal rate and surface roughness value of sintered carbides cut by wire-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WEDM). To obtain a precise workpiece with good quality, some extra repetitive finish cuts along the rough cutting contour are necessar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ncreases of cobalt amount in carbides affects the metal removal rate and worsens the surface quality as a greater quantity of solidified metal deposits on the eroded surface. Lower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dielectric results in a higher metal removal rare as the gap between wire electrode and workpiece reduced. Especially,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rough-cut workpiece and wire electrode were analyzed too. To obtain a good surface equality without crack, 4 finish-cuts were necessary reducing fille electrical energy and the offset value.

  • PDF

다채널 전기전도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과 연안지역 공내수 모니터링에 대한 적용 사례 (The Development of Multi-channel Electrical Conductivity Monitor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in the Coastal Aquifer)

  • 신제현;황세호;박권규;박윤성;변중무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2호
    • /
    • pp.156-162
    • /
    • 2005
  • 연안지역의 해수침투와 관련된 연구에서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이며, 특히 염/담수 영역에서의 전기전도도 모니터링은 양수로 인한 염수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양수 설계 최적화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공내수의 수직적인 전기전도도 분포는 해수침투대의 특성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여러 심도에 걸친 동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 모니터링 장비에 비하여 계측장비의 구성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장기간 연속 모니터링 및 측정 변수들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전남 영광지역의 해수침투 조사 시추공에 적용하여 양수에 따른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변화 및 그 양상을 고찰하였다. 양수를 병행하면서 수행한 모니터링 결과, 일정 심도에서 전기전도도의 증가 또는 감소는 사질층 또는 암반의 균열을 따라 유동하는 지하수의 복합적인 영향임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양수 전$\cdot$후에 실시한 물리검층 결과와도 잘 일치하였다. 양수에 의한 공내수의 전기전도도 변화 특성을 심도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은 염분농도를 고려한 연안지역 지하수자원 확보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fluence of Aniline to Acid Composition 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ANI-PAAMPSA

  • Yoo, Joung Eun;Bae, Joon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12호
    • /
    • pp.3825-3828
    • /
    • 2013
  •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aniline to acid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ANI-PAAMPSA. The ratio of aniline to sulfonic acid groups was optimized for the maximum conductivity of PANI-PAAMPSA. The conductivity i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electronic structure of PANI-PAAMPSA; the highest conductivity of PANI-PAAMPSA was observed when PANI has the longest conjugation length.

BaZrO3계 수소이온 전도체의 제조 및 첨가물에 따른 전기적 특성 (The Fabrication of BaZrO3-based Proton Conductors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by Dopants)

  • 권정범;유광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15-422
    • /
    • 2003
  • BaZr $O_3$를 기본으로 첨가제(Ce, Yb)를 넣어 B자리인 Zr을 부분적으로 치환하였고 Ce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4가지의 조성을 갖는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을 임피던스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건조공기 분위기와 수증기 분위기에서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600^{\circ}C$ 이하의 낮은 온도 영역에서, 수증기 분위기에서의 전기전도도가 건조공기 분위기에서의 전기전도도 보다 모든 조성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고 Ce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전도도 값을 보였다. BaZ $r_{0.8}$C $e_{0.15}$Y $b_{0.05}$ $O_3$$_{-{\delta}}$조성을 갖는 시편이 80$0^{\circ}C$에서 가장 높은 1.72$\times$$10^{-3}$ S$cm^{-1}$ / 전기전도도 값을 나타냈다. 낮은 온도영역에서는 수소이온 전도에 의해 건조공기 분위기 보다 수증기 분위기에서 높은 전지전도도를 나타냈지만 온도가 올라갈수록 수소이온 전도도가 줄어들면서 $700^{\circ}C$ 근처에서는 거의 비슷한 값을 보였다.

흑연입자/탄소섬유 혼합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연구 (Electrical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raphite particle/carbon fiber hybri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 허성일;윤진철;오경석;한경섭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7-1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의 첨가가 흑연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압축성형법을 이용하여 흑연입자/탄소섬유 혼합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으며 흑연입자의 고비율 충진은 복합재료 내에서 입자 사이의 직접 접촉을 통해 높은 전기 전도도(>100S/cm)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흑연입자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소재의 강도가 점차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탄소섬유를 첨가하여 그에 따른 소재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탄소섬유의 충진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소재의 굽힘 강도는 증가하였으나 탄소섬유의 클러스터 형성으로 인해 탄소섬유 사이에 비전도성 영역이 발생하여 복합재료의 전기 전도도는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탄소섬유의 충진 비율이 전체 시스템의 20wt.%인 경우에는 굽힘 강도는 12% 증가한 반면 전기 전도도가 27% 감소하였다.

공내수 전기전도도의 자동측정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험 (An Experiment for determining Electrical Conductivity in Modelholes using Continuous Measurement System)

  • 김영화;박정빈;임헌태
    • 지질공학
    • /
    • 제13권3호
    • /
    • pp.281-292
    • /
    • 2003
  • 모형시추공 내에서 공내수 전기전도도의 자동 측정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로부터 수리상수 결정과 관련된 제반 기초 환경을 검증하였다. 실험은 상대적으로 높은 염도를 공내수로 하고 증류수를 지층수로 사용하여 지층수의 유입과 유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공내수의 전기전도도 프로파일을 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관찰의 주 대상은 공내수와 지층수 사이의 염도차. 온도차 및 지층수의 유입량. 유입 ·유출구에 따른 모형시추공 내에서의 전기전도도 변화 양상 파악에 있었다. 실헌결과, 이들 요인이 미치는 영향범위와 적정 측정 환경이 제시되어 향후 모델 실험 및 원위치시험에서 적용될 기초실험 여건이 마련되었다.

CoReHA: conductivity reconstructor using harmonic algorithms for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 Jeon, Ki-Wan;Lee, Chang-Ock;Kim, Hyung-Joong;Woo, Eung-Je;Seo, Jin-Keun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79-287
    • /
    • 2009
  •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is a new medical imaging modality providing cross-sectional images of a conductivity distribution inside an electrically conducting object. MREIT has rapidly progressed in its theory, algorithm and experimental technique and now reached the stage of in vivo animal and human experiments. Conductivity image reconstructions in MREIT require various steps of carefully implemented numerical computations. To facilitate MREIT research,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n MREIT software package with an efficient user interfac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xample of such a software, called CoReHA which stands for conductivity reconstructor using harmonic algorithms. It offers various computational tools including preprocessing of MREIT data, identification of boundary geometry, electrode modeling, mesh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finite element method. Conductivity image reconstruction methods based on the harmonic $B_z$ algorithm are used to produce cross-sectional conductivity images. After summarizing basics of MREIT theory and experimental method, we describe technical details of each data processing task for conductivity image reconstructions. We pay attention to pitfalls and cautions in their numerical implementations. The presented software will be useful to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REIT for simulation as well as experiment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