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ive subject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19초

차기 교육과정을 대비한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의 구조화 (Structuralization of Elective Courses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Subject Group) in Preparation for the Next Curriculum)

  • 유난숙;백민경;주수언;한주;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9-14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의 가정 관련 전공 개설 현황과 중등학교 가정과교육과정에 요구되는 변화를 분야별로 살펴보고, 차기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편성할 수 있는 가정교과(군)의 선택과목을 구조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자료를 분석하고, 가정교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FGI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는 자연계열의 생활과학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등과 연관성이 높았다. 2019학년도 가정교과와 관련된 학과수는 전문대학교 1,405개, 4년제 대학교 961개였으며, 총 입학생수를 기준으로 가정교과 관련 학과 입학생수는 전문대학교는 약 12%, 4년제 대학교는 약 7.3%를 차지하여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을 개설할 기반이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등학교 가정과교육과정에서는 분야별로 달라진 식·의·주·가족·소비생활 패턴과 삶의 가치관에 따라 문화, 관계, 자립, 지속가능성 등의 개념을 강조하였으며, 단순 지식적인 측면의 내용은 줄이고, 깊이 있고 고차원적인 사고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정교과 내용이 구성되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요구는 가정교과(군)의 선택과목을 다양화, 전문화하여 구조화함으로써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을 아동·가족,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가정관리, 가정교과 통합분야에서 총 18개의 선택과목명과 과목 개요를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차기 가정과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고등학생들에게 가정교과(군)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의 안착에도 기여할 것이다.

제7차 선택중심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과학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on and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7th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f High School Science Subjects)

  • 최순화;김은숙;권오경;오창호;박국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96-106
    • /
    • 2008
  • 이 연구는 제7차 선택중심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교 현장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과 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경험한 127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고등학교 3학년 학생 76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 과, 과학과 선택과목의 제시 방법은 인문과정의 경우 택일방식과 집단선택 방식이 많았고, 자연과정의 경우 택 일방식과 자유선택 방식이 많았다. 즉, 제한된 범위 내에서 선택권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선택중심 교육과정 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고, 특히 지구과학 교사가 가장 부정적인 의견 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의 교과 선택권에 대해서 생물교사와 화학교사는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으나, 물 리교사와 지구과학교사는 반대하는 의견이 더 많았다. 학생들이 올바르게 선택과목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선택 과목별로 불이익이 없도록 입시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의견과 체계적이고 현장성 있는 진로교육이 필요하 다는 의견이 많았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그다지 만족하 지 못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는데, 그 이유로는 선택권이 제한적이라는 의견과 선택과목과 진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선택과 과학교사 수급을 원활히 조정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모든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초과학이 소외되거나 과 학과목에 대한 학력저하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학교 현장의 실정을 감안하여 학생의 요구와 과학교사 수급 문 제를 원활히 해결할 수 있는 대책과 보완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선택과목 운영 실태 및 요구 (Elective Course Status and Need Related to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권유진;임윤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9-192
    • /
    • 2020
  •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자신의 과목에 따라 원하는 내용을 선택하고 누적된 학점을 완료하여 특정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을 인정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도입이 가까워짐에 따라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선택과목 실태와 교사 및 전문가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 기술·가정과에서 취할 수 있는 장단점을 파악하는 데 있다. 전국 표집에 근거한 기술·가정과 교사와 전국 가정교육과 및 기술교육과의 모든 교수를 대상으로 하여 각 교사 282명, 전문가 3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기술·가정과의 선택과목 편성 및 운영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기술·가정과 선택과목에 대한 확대를 요구하고 있었으며 셋째, 고교학점제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중등교육은 물론 대학의 전공과의 연계성을 모두 고려하여 기술·가정과 선택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방향으로의 선택과목 개선은 학생들의 자유로운 선택권을 보장함과 동시에 기술·가정과 교육 발전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Choe, Young-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1호
    • /
    • pp.95-106
    • /
    • 1997
  • Even though there are extracurricular mathematics classes for gifted students in all levels of schools in Korea, teachers cannot conduct the classes properly becaus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re not adequate for the purpose of the classes. So, what they tend to do in the classes is just drilling with many problems which have already shown up a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and various mathematics competi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n example of what the content should be in "Mathematics III" (an elective subject for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fifth and sixth amendment of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how to design the extracurricular classes for gifted students. Extracurricular classes of the ordinary secondary school as well as the elective course for the science high school can be suitably designed with choices of topics in the contents of Mathematics III.

  • PDF

Analysis of the Program for Training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Focusing on College Curriculum

  • Ahn, Yumin;Shin, Yoonjo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1-404
    • /
    • 2020
  • This study identified and examined earth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programs in Korea. Major courses provided by 11 universities and their course requirements were analyzed,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ny basic courses, other major requisite, and elective courses are provided in geology, astronomy, and atmospheric science. oceanography, geophysics, earth environmental science, and natural disaster and energy resources had fewer major requisite courses provided in addition to basic courses, and few elective courses were offered. Second, many courses in science education focused on earth science, while others focused on general science and there were few courses that covered education theory regarding the specific subject. Third, science course application requirements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in general or of earth science specifically. From the above results, additional studies are proposed to reflect on the current state and supplement these programs.

과학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알아 본 과학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A Study on School-level Scienc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Through Science Teacher Interviews)

  • 홍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09-620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서울과 경기 지역 과학 교사 12명과의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학생들은 과학 선택 과목의 성격이나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안내가 미흡한 상태에서 과목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자연계열 과목을 우선적으로 개설한 다음 교사 수급 및 시수 균등 배분을 고려해서 인문계열 과목을 개설하는 경향이 있어 특히 인문계열 학생의 과목 선택이 제한을 받고 있었다. 소수 희망 선택 과목의 경우, 인문계열에서는 학생들의 과목 선택에 대한 낮은 관심, 자연계열에서는 내신 산출에서 불이익 등 입시에서의 유 불리로 인하여 과목이 개설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조사에 참여한 12개 학교 중에서 계열을 통합하여 내신을 산출하는 학교는 6개교였으며, 그 밖의 6개교에서는 이수 단위, 이수 학년이나 과목명을 달리하여 계열별로 따로 내신 성적을 산출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평가에서의 제한, 별도 지도안 작성에 따른 부담 등으로 인해 계열별 학생 집단의 특성을 수업에 반영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인문 계열에서는 입시 영향이 적은 것으로 인한 낮은 학습 동기와 인문계열 학생에게 부적합한 개념 위주의 과목 성격, 자연계열에서는 대입 전형에서의 유불리와 관련한 과목 선택 편중화 등이 지적되었다.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Status and Necessity of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s in Korea)

  • 홍현진;노영희;김동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3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현황과 전공과목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을 전수 조사하였고, 조사된 교과목을 기반으로 필수·선택과목에 대한 의견을 전체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헌정보학 총 개설과목 수는 최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과목과 기초과목의 비중이 축소되고 선택과목의 비중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보학은 중요성과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및 프로그램밍, 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과목의 신설 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서관·정보센터 경영학은 전체 교과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다소 감소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기본 영역으로 중시되고 있으며, 세부과목의 증설·심화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서지학은 점차 비중이 축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기록관리학은 전공필수 과목은 아니지만 선택과목으로서 비중이 증가하는 반면, 어학 과목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Ways to Restructure Science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앞두고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의 재구조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경우 비(非)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소위 문과계열의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비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학생들을 위한 과학과 선택과목이었던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실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교사 12명과의 면담을 통해 이들 선택과목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으로 분류, 개정될 예정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등학생들은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을 교양 과학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흥미와 노력 부족, 학습내용 자체의 어려움 등으로 이들 과목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주로 생활과과학을 선택하며, 과학사 과목의 경우 내용이 어려워서 교사도 학생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간학문적인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내용접근성이 높은 융합선택과목 개발, 인공지능(AI)이나 첨단과학 관련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합선택과목 개발, 모듈단위로 구성된 융합선택과목 개발, 간학문적 융합선택과목을 지도할 수 있는 과학교사 전문성 개발지원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도서관학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Library Science Curriculum)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45-72
    • /
    • 1988
  • A study has been made prior to the emphatic research to see how the curriculum of the Library Science Departments, in general, has developed to date. In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of library scienc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what decisions will b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changing trend of the society, regarding the matters of general specialization versus subject specialization education, the definition, change and operation of the core subject, the expansion of the elective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by types of the library, and the curriculum composition in terms of subject specilization. The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 unified series of courses and other educational experiences, designed to meet specific program objectives. Principles and concepts should be emphasized, over routines and techniques. All students should study certain fundamental 'core' subjects, as well as more specialized electives. General education (studies outside of librarianship) should be a major component of the total education of the librarian. Fundamental core subjects should be treated as introductory courses covering deep studies that can provide the most inclus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brary science field. They should be offered as pre-requisites required of all the students entering the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Specialized subjects and interdisciplinary courses comprising subject concentration should be offered as electives at the advanced level.

  • PDF

도서관 관리론의 교육 (Education of Library Management)

  • 엄영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83-107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future education of Librar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are traced based on the historical events, the standards provided by international and 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ories suggested through researches. And the percentages of library management subjects in the curricula of te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s are calculated divided by compulsory and elective ones, along with the contents analyses of a few textbooks in the field. The hypotheses to be tested are as follows: 1. The American postgraduate library education was introduced into Korea as an undergraduate course. So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of library management was recognized as in America, and the numbers of subject Would have been increased, and the contents detailed. 2. The contents of the subject taught would not have changed much since its introduction. It means that they will be almost the same as those were preval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e 1950s, when the American education was brought into Korea. The hypotheses can be accepted as being true. Based on the conclusions, some suggestions, including the teaching of the subject should be directed more towards management aspects rather than administrative ones, are provi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