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Job Projec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Job Project and Quality of Life: focused on the Social Capital Mediating Effect

  • Jang, Yum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1-17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income support, labor opportunities, and social capital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the elderly job project, and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quality of life. We want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how the elderly vocational business ultimately affects the lives of the elderly through the intervention of social capital. The intervention effect of social capital is as follows. Satisfaction with the elderly job project has a grea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In particular, trust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nd was indirectly effective.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of social participation between social capital was known, and the elderly job project increased social particip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elderly job project has an import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he social capital formed through the elderly job project plays a role in directly or indirectl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The Degree of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policy effects of the jop creation project in the Elderly)

  • 고재욱;이동열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209-1228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과 정책효과에 대해서 기초자료를 제공 코저 한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노인종합복지관 10개소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 9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15.0·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참여 동기는 생활비 마련과 용돈, 건강유지, 사회참여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정신적으로, 심리적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이 개인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사회적 효과 면에서도 사회참여 촉진에 대한 개인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의 만족도는 정책효과를 통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다양한 경험과 경륜은 시대적 요구에 맞게 특성수준에 맞는 다양한 노인일자리사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 하경분;주민경;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60-170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특히 교육형에 참여한 노인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 중에 교육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 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함에 있어서는 교육형 위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업무내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 및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할 필요가 있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Project Effectiveness of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for the Elderly)

  • 조준;김영희;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94-304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전략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는 전라남도 지역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240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 2013년 1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 중 전반적 만족, 업무강도 만족, 근무환경 만족, 동료관계 만족, 수요처 만족이 사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즉,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할수록, 업무강도, 근무환경, 동료관계, 수요처에 만족할수록 사업성과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 Relations in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Focusing on the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231-24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노후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노인일자리 사업에 1년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노인 272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 사업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직무만족이 높일수록 사회적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근로자성의 인정, 사업유형 및 분야의 다양화,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위한 공적 비공식적 지원체계 개발 및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whether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or not -)

  • 김소향;이신숙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309-327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일자리 사업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조사는 순천시에 거주하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과 비참여노인 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이 비참여노인보다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 수준을 높이는 데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밖에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가족, 건강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였고, 건강, 학력, 연령, 결혼상태, 거주형태, 한 달 생활비, 경제상태, 주거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 학력, 경제상태, 연령 등의 변수들은 자아존중감 정도를 32% 설명하고 있었고, 생활만족도 정도를 48% 설명하고 있었다.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년기의 일의 중요성을 깨닫고 많은 노인들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MZ·X세대의 사회적지지와 노후준비도 관계에서 노인일자리사업 관심도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in Elderly Job Project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Z and X Generation's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Readiness)

  • 김건희;홍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4호
    • /
    • pp.63-74
    • /
    • 2022
  • 본 연구는 MZ·X세대의 사회적지지와 노후준비도의 관계에서 노인일자리사업 관심도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조사는 D광역시와 G도의 G시, Y시, A시의 MZ·X세대 359명의 수집자료를 SPSS 27.0과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및 빈도분석, t / F-검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적관계의 통계를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관심도,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과 노후준비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와 노후준비도 관계에서 노인일자리사업 관심도와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MZ·X세대의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관심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회적지지체계로서 정서적, 평가적, 정보력, 물질적 지지체계의 마련과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와 같은 정부기관의 노인일자리 사업정책의 현실성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별 권리보장 수준에 관한 연구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을 중심으로- (Right Guarantee Level of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by Participation Type : Focused on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 윤영지;이선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19-227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실시한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의 5개 과제를 기준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별 권리보장수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공헌형사업의 '사회와 발전과정에 적극적인 참여' 과제의 이행수준은 높지 않았다. 둘째, '경제활동과 노동력의 고령화' 과제의 이행수준은 참여노인의 평균연령을 고려할 때 높다고 볼 수 있으나, 실제 노동시장에서의 이행 수준은 높다고 보기 어려웠다. 셋째, 시장진입형 참여노인에 대한 '지식 교육 훈련에의 접근' 과제의 이행수준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빈곤해소', '소득보장'과제의 이행수준은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회공헌형사업 일자리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시장진입형 참여노인들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질적 양적 수준의 제고가 필요하며, 노인일자리사업을 통해 지급되는 급여수준의 증액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Performance of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Coordinators)

  • 박경순;박영란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059-1075
    • /
    • 2010
  •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의 직무성과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노인 일자리사업의 지속적인 양적 성장에 발맞춰 질적인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노인일자리사업 담당자들의 업무 역량과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무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그들이 속해있는 조직구조의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인천지역의 노인일자리사업 수행기관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251부의 자료를 실무자의 개인적 특성과 조직구조에 따른 직무성과 수준에 대한 기초통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특성에 있어서는 자신감, 노인일자리 사업에 대한 이해, 노인에 대한 인식이, 조직구조 특성에서는 조직의 공식화수준이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은 자신감이 높을수록, 노인 일자리사업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노인의 일과 사회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강할수록 그리고 실무자가 속한 조직의 공식화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무자들을 위한 지속적인 임파워먼트와 사업에 대한 지식과 기술 습득 및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제고를 위한 전문화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아울러 노인일자리 담당 실무자의 직무 및 업무처리과정에 대한 통합적 매뉴얼의 필요성도 시사해주고 있다.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가 노후 삶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 전, 참여 후 분석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Seniors'Social Activity Supporting Project on Later Years Life :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of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 조종현
    • 벤처혁신연구
    • /
    • 제1권2호
    • /
    • pp.141-156
    • /
    • 2018
  •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이 1970년 평균 62.3세, 2016년 82.3세로 평균수명이 20년 이상 연장되면서 고령화 사회를 걸쳐 초고령화 시대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노인의 4苦인 빈곤, 고독, 무의, 질환의 문제는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지고 있다. 노인복지정책으로 2004년부터 노인 일자리사업(사회활동 지원사업)을 진행하였다. 목적은 첫째, 일을 통한 적극적 사회참여, 소득보충 및 건강증진 등으로 노인문제 예방 및 사회적 비용 절감, 둘째, 다양한 일자리를 통한 건강한 노후생활 영위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 전과 참여 후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노인 일자리사업(사회활동 지원사업)이 사업 목적에 부응하게 소득보충이 아닌 사회참여를 통하여 건강증진과 건강한 노후생활을 통하여 노후 삶에 대한 질 향상이 되었는지를 연구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노인 일자리사업(사회활동 지원사업)이 지속적으로 노인의 소득보충과 더불어 사회참여의 기회를 더욱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