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size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7초

《상한론(傷寒論)》고주탕(苦酒湯)의 반하(半夏)와 고주(苦酒), 계자각(鷄子殼) 용량과 용도 (The Daily Dose and Uses of Pinellia Tuber, Vinegar and Eggshell of Goju-tang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 구태훈;김인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14
    • /
    • 202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daily dose and uses of Goju-tang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Methods : We compared major editions of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with the original text of Supplement to the Essential Prescriptions Worth a Thousand Gold and chose the most appropriate text. If none of the existing texts seemed reasonable, We compared texts item by item. When there is nothing adequate even item by item, it was newly modified.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urrently distributed Pinellia Tuber and standards of eggs. Results : Goju-tang consisted of Goju(vinegar), Pinellia Tuber and an eggshell. Generally, a daily dose was extracted at once and taken 3 times a day, but in Goju-tang, 4 pieces of Pinellia Tuber and one-third Sheong of Goju(solvent) were used, which were one third of average volume. Pinellia Tuber was used cut in small pieces. And it was boiled gradually by low heat. Goju was mainly to reduce the pungency of Pinellia Tuber by cutting raphides of calcium oxalate. The Pot preparing medicines was eggshell which was chosen by its small size, because the volume of Pinellia Tuber and Goju was one-third of average volume. Since an egg shell is consisted of protein, it didn't react with vinegar(Goju). Conclusions : The 4 pieces of Pinellia Tuber and one-third Sheong of Goju(Vinegar) in the Goju-tang were one-third of average dose, and the eggshell was Pot preparing medicines.

남해안에 서식하는 멸치(Engraulis japonicus)의 산란 특성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from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문성용;백근욱;이미희;김희용;정경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27-937
    • /
    • 2022
  •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randomly collected from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21.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s, gonadosomatic index (GSI), egg diameter, fecundity, and fork length (FL) at sexual groups maturity of 50%, 75% and 97.5%, and sex ratio (female:male). GSI value showed two peaks in May and August; however, microscopic analysis of E. japonicus gonad tissue revealed that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March to October. The main spawning seasons for the entire populations were from April to June and August to September. The overall sex ratio was female-biased (1 females, 0.89 male). The fecundity (F) of female anchovies ranged from 429 eggs at an FL of 8.0 cm to 13,824 eggs at an FL of 14.9 c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L and F was 0.0788FL4.422. The FL at 50% group maturity was 8.26 cm for female anchov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reproductive cycle in Pacific anchovies may be related to pulses in water temperature and the sexual cycle of the fish.

가평천 포트홀의 형태 및 분포에 관한 정량 연구 (Quantitative Study on the Forms and Distributions of Gapyoungchon Potholes)

  • 전홍근;박종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3-221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포트홀 분포지역인 경기도 가평군 가평천 포트홀군을 대상으로 포트홀의 형태 및 분포에 대한 정량적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된 것이다. 가평천 상류의 폭 30m, 길이 25m의 구간에 분포되어 있는 포트홀들의 형태 및 분포 특성을 조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이곳에서 153개의 포트홀이 발견되었는데 절리의 영향을 받은 포트홀이 절리의 영향을 받지 않은 포트홀 개수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크기면에서는 절리의 영향을 받은 것이 월등히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지역에는 호상편마암의 편리가 하천횡단 방향으로 탁월하게 발달되어 있는 바, 하천횡단의 방향으로 편리가 발달되어 있는 포트홀이 전체의 5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포트홀 크기는 하천 하부방향으로 발달된 포트홀이 평균장경 기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림파워가 포트홀 크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조사지점의 가평천 횡단면에서 양안의 높이가 동일한 3개의 단구면이 발견되었다. 현 하상을 포함한 4개면에 분포된 포트홀의 개수는 I면에 7개, II면에 135개, III면 11개, IV면 0개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가평천 포트홀군은 암석단구 상에 위치한 포트홀군으로 판단된다.

Tris-buffer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가 동결ㆍ융해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ind of Sugar Added in Tris-buffer on Motility of Post-thaw Spermatozoa in Canine)

  • 유대중;정수룡;오인석;김흥률;이계웅;조성균;배인휴;양철주;공일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43
    • /
    • 2002
  •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액 제조 시 동결보호 희석액 내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와 조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자동결 시 straw size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희석액은 Tris-citric acid extender (Tris-buffer)의 기본용액에 20% Egg-yolk, 8% glycerol, 1% Equex STM paste등을 첨가하였으며, 당 성분으로는 monosaccharide(fructose 및 xylose) 및 disaccharide(trehalose)로 구분하여 최종 70 mM의 농도로 첨가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ontrol (fructose, xylose, trehalose), two combination (Fru+Tre, Fru+Xy1, Tre+Xy1) 및 three combination (Fru+Tre+Xy1)으로 구분하여 Tris-buffer에 첨가하였다. Fru+Tre+Xy1처리구에서 CASA분석 후 운동성이 fructose, trehalose, xylose, Fru+Tre, Fru+Xy1, Tre+Xy1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 (69% vs 58, 61, 50, 65, 20, 54%). 또한 전진운동율은 Fru+Tre 처리구가 fructose, trehalose, xylose, Fru+Xy1, Tre+Xy1, Fru+Tre+Xy1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 (59% vs 47, 55, 42, 13, 49, 44%).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Tris-buffer에 F겨+Tre를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예비동결 10분에서 0.25$m\ell$ straw를 이용하였을 때 10분 예비동결에 0.5 $m\ell$, 5분 예비동결에 0.25 및 0.5 $m\ell$ straw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얻었다 (80+0.0 vs. 65+7, 68+16, 58+8%). 본 연구결과 70 mM Fru+Tre (two combination)가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전진운동율을 얻었으며, 0.25 $m\ell$ straw에 10분간 예비동결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높은 동결융해 후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다.

밤바구미 (Curculio sikkimensis)의 발육단계별 형태측정 및 비교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Morphology of Developmental Stages of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Coleoptera: Curculionidae))

  • 김영재;문상래;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16
    • /
    • 2010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및 실외에서 사육하여 얻어진 밤바구미의 발육단계별 형태측정을 하였다. 알의 크기는 0.8${\pm}$0.03 mm 이었다. 탈출유충은 평균 생체중이 98 mg, 체장은 10.65 mm, 체폭은 3.99 mm, 두폭은 1.70 mm이었다. 번데기의 크기는 암컷이 7.01 mm, 수컷이 6.53 mm으로 측정되었다. 암컷과 수컷 성충의 생체중, 체장, 체폭, 두폭, 주둥이 길이와 더듬이 길이를 조사하였다. 암컷의 생체중, 체장, 체폭과 두폭은 수컷보다 큰 것으로 유의성이 있으며, 암컷의 주둥이 길이와 더듬이 길이도 수컷보다 긴 것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암컷과 수컷 성충의 평균 생체중은 0.343과 0.268 g, 체장 7.76 과 7.14 mm, 체폭 3.38 과 3.01 mm, 두폭 1. 60과 1.37 mm, 주둥이 6.53과 3.56 mm, 더듬이 5.47과 4.63 mm로 각각 조사 되었다. 유충은 1~3 년까지 월동하면서 생체중, 체장, 체폭이 줄었다. 이러한 형태를 비교한 결과 주둥이 길이와 체장의 비율, 주둥이에 붙은 기절의 위치, 미부 생삭기의 모양으로 암수를 구분할 수 있었다.

왕사슴벌레(Dorcus hopei)의 대량사육 기술개발을 위한 생태특성 조사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rcus hopei(E Saunders) for the Development of Mass-rearing Technique in Korea)

  • 김철학;이준석;정근;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5-14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왕사슴벌레의 국내 분포지가 재검토되고 이들의 대량사육기술 개발을 위한 생태적 특성이 조사되었다. 산란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우화 후6개월이 지난 암, 수 성충에게 2주 이상의 교미기간이 허용되어야 하며 성비는 암:수 = 2:1이 이상적이었다. 산란수는 암컷 한 마리 당 최대 27.3개이고 알은 한 개씩 산란된다. 산란전기간은 평균 147.3일, 산란기간은 최소 120일 이었으며 난기간은 평균 15.6일이었다. 산란상은 직경 15cm${\times}$길이 15cm인 산란목이 3-4개 들어 있는 55${\times}$40${\times}$35cm크기의 산란상이 이상적이었다. 산란목으로는 상수리나무가 선호되었다. 사육실조건($25^{\circ}C$, 75% R.H., 16L:8D)에서 1령기간은 24.1일,2령은 29.8일, 3령에는 131.2일이 소요되었으며 용기간은 28.9일이 소요되었다. 성충수명은 35개월 이상이었다. 산란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최소 3-4개월의 휴면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재래닭의 경영 및 판매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Research on Current Farm Management and Marketing Situation of Korean Native Chickens)

  • 한성욱;박종수;오봉국;정선부;이규호;최연호;김재홍;여정수;하정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7-17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get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chicken industry by reviewing the current native chicken farm management and marketing situation of native chicken products(meat and eggs). The research was carried on the basis of the farm field survey covering 210 native chicken feeders out of 9 different local area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verage raising size of native chicken flocks of sample farms was 1,787 heads and about 50% of those farms raised less than 500 heads chickens for self-sufficiency or on the side. 2. Most farmers made the decision to start on feeding native chickens in small scale with small amount of capital without sound feeding program, and their decision was mainly influenced by recommendation of mass-media( 19.5%) and neighbors (17.2%). 3. The average income per farm earned by raising the native chickens was 13,719 Won, and income per head of chicken was 8,800 Won. 4. About 40% of feeders expressed that the poor marketing management and lack of capital were the bottleneck to native chicken farm management. 5. About 70% of feeders evaluated the prospect of native chicken industry positively and so, about 60% of feeders hoped to expand the raising size in the future. 6. Most farmers directry made a bargain with marketer including middleman and enduser in selling the chicken products because there was not established special marketing system for native chicken products. 7. The sales age of native broiler was about 16~20 weeks and average body weight of broiler was 1.5~2.0 kg. And farm recieved price was not decided on the basis of each body weight or meat quality but only number of heads. 8. The average first egg-laying age of chickens was about 165 days and average annual laying rate was only about 56%. 9. In order to develop the successful Korean native chicken industry, followings are recommended ; 1) Reducing the production costs and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native chicken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echn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ound feeding program of native chickens and sufficient fund supply. 2) Orderly native chicken marketing and pric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give good vision about native chickens to farmers and to delight the consumers. 3) The measures for product differentiation including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value of native chicken products against other improved chickens should be actively taken by feeders and government.

  • PDF

Bluegill의 난발생과 자치어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RAFINESQUE)

  • 김용억;박양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4-32
    • /
    • 1987
  • 1985년 8월 17일과 24일에 경상남도 양산군 하북면 지내마을에 위치한 저수지에서 낚시에 의해 채포된 bluegill을 실험실내에 설치된 수조에서 사육하여 1968년 7월 13일, 8월 2일의 2차에 걸쳐 자연산란된 것을 재료로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를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란은 난경이 $1.18\~1.30mm$로서 무색투명하며, 거의 구형이고, 난막이 점착성이 강한 분리심성 점착난이다. 사육수온 $24.3\~24.5^{\circ}C$(평균 $24.7^{\circ}C$에서 수정후 40시간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3.75\~4.05mm$(평균 3.94mm)로서 난황뒷쪽에 직경 0.4mm의 큰 유구 1개가 존재하며, 색소포는 아직 출현하지 않고 입과 항문도 열려 있지 않다. 근절수는 $10\~11+19=29\~30$개이다. 부화후 3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4.5\~4.9mm$(평균 4.73mm)로서 입이 열리고, 흑색소포가 처음으로 난황상, 막지느러미와의 경계부, 복강등쪽, 소화관 뒤쪽에 출현한다. 부화후 10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6.05\~6.35mm$(평균 6.20mm)로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고, 곧창자의 연동이 활발하다. 부화후 45일째의 치어는 전장이 25.20mm로서 D.X, 12, A.III, 11, V. I, 5, P.$13\~14$, C.18로 모든 지느러미 줄기수가 정수에 달하며, 체측에 비늘도 형성된다.

  • PDF

금강하구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의 생태 (Ecology of Synechogobius hasta (Pisces : Gobiidae) in the Kum River Estuary, Korea)

  • 최윤;김익수;유봉석;박종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123
    • /
    • 1996
  • 서해 군산연안에 서식하는 풀망둑의 생태 연구를 위해 1994년 5월부터 1995년 6월까지 매월 표본을 채집하였으며, 서식환경, 난소의 성숙과정과 산란기, 포란수, 자어의 출현과 착저(着底)시기, 성장, 먹이생물 등을 분석하였다. 본 종의 난소 발달과정은 $10\~11$월의 난원세포기, $12\~2$월의 성장기, $2\~4$월의 성숙기, 4월-5월 초의 완숙 및 산란기로 구분되었다. 4월 하순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5월 중순에 대부분 산란을 종료하였고, 산란성기는 5월 초${\cdot}$중순이었다. 포란수는 전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약 $8,600\~49,000$ 여개를 포란하고 있었다. 성숙란을 포함하는 최소 성체는 전장 225mm(체장 180mm)였다. 5월 중순 이후 6월 초까지 전장 10mm 미만의 자어가 출현하였으며, 5월 말부터는 전장 $13.0\~15.0mm$의 개체들이 조간대 부근의 천해역에서 저서생활을 시작하였다. 이들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10월 무렵에는 평균 전장 141.7 mm에 달하였는데, 이후 12월부터는 천해역에서 자취를 감추고 이듬해 산란기까지 조하대로 이동하여 생활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집된 풀망둑의 최대 전장은 산란 직전인 4월에 채집된 것으로 수컷이 531mm, 암컷이 472mm 였다. 위내용물은 어린 개체들의 경우 요각류와 기타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섭식하였고, 성체에 있어서는 게, 어류, 새우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등을 다양하게 섭식하였으며, 특히 새우류의 섭식량이 많았다.

  • PDF

홍합의 사육조건과 성장 (Culture Condition and Growth of Larvae of the Mytilus Coruscus Gould)

  • 유성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6-48
    • /
    • 1969
  • The larvae of Mytilus coruscus were grown at the room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5.1C under several different sulture conditions, i.e., salinity, population of the larvae, density and kind of food organisms, etc. (1) The egg of Mytilus coruscus obtained in the laboratory measured about 73.0${\mu}$ in diameter. The embryos gradually developed into larvae up to 179.0${\mu}$ shell length with the shell height of 135.9${\mu}$ even in the absence of the algal food. Beyond this size, however, the growth of larvae was considerably retarded, indicating that the better growth could be expected if the food began to be fed four days after spawning. (2) The larvae began settling upon reaching 281.4${\mu}$ to 310.9${\mu}$ in shell length or 264.3${\mu}$ to 301.9${\mu}$ in shell height. When the shell length reaches 322.6${\mu}$ to 337.1${\mu}$, the shell height also reaches about the same, i.e., 321.5${\mu}$ to 346.2${\mu}$. (3) Daily rate of food consumption wa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larvae and the species of the algal food. Regardless of the species of food given, the rage of food consumption remained almost the same until the larva reached the straight-hinge stage, and marked variations were found as the larvae grew larger. Daily rate of food consumption was shown as follow; Chaetoceros calcitrans : Y=2.99167e$\^$0.000018243x$\^$2// Cyclotella nana : Y=3.00324e$\^$0.000015481x$\^$2// Monochrysis lutheri : Y=3.000056e$\^$0.000014485$\^$2// (4) Suitable amount of the food to be given was about five times of the consumed food by Mytilus coruscus. (5) When the numbers of the larvae was higher than ten per milliliter, the growth was significantly retarded. (6) Monochrysis lutheri and Cyclotella nana were much better than Chaetoceros calcitrans as the food of Mytilus coruscus, and even the same food organism showed some difference with the age of the organism. (7) Sea water of higher salinity showed the better result in the growth of the larvae and the water with the specific gravity of 1.020 or below was dangerous for the larvae. (8) The mean growth of the larvae of Mytilus coruscus under lavorable condition was shown as follows: shell length 121.8${\mu}$ to 179.0${\mu}$ : Y=119.18+7.42X 196.7${\mu}$ to 322.6${\mu}$ : Y=203.144+7.687X 322.6${\mu}$ to 985.1${\mu}$ : Y=302.5978+11.8356X shell height 86.3${\mu}$ to 135.9${\mu}$ : Y=86.22+6.40X 158.1${\mu}$ to 321.5${\mu}$ : Y=162.998+10.027X 321.5${\mu}$ to 1,215.4${\mu}$ : Y=309.3701+16.258X Relationships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were shown as follows: shell length 121.8${\mu}$ to 179.0 : Y=0.83726X-15.79165 196.7${\mu}$ to 322.6 : Y=1.29909X-100.58610 322.6${\mu}$ to 985.1${\mu}$ : Y=1.3536X-101.680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