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and larva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2초

곡류의 해충 구제를 위한 감마선의 이용 (Control of Insects on Stored Rice Grain by Gamma Irradiation)

  • 변명우;권중호;차보숙;정규회;조한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43-146
    • /
    • 1988
  • 쌀 저장중 발생하여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쌀바구미와 화랑곡 나방에 대한 방사선조사 구제 실험 결과, 쌀바구미의 경우 난과 유충은 0.05kGy정도의 치사선량이 요구되었으나 용(踊)과 성충은 방사선 감수성이 낮아 0.5kGy 정도였다. 화랑곡 나방의 경우 불임선량은 난에서 $0.04{\sim}0.05kGy$, 유충은 $0.05{\sim}0.06kGy$, 용(踊)은 $0.2{\sim}0.25kGy$였다. 따라서 쌀의 저장을 위한 방사선 조사는 주요 가해 해충인 쌀바구미와 화랑곡 나방을 대상으로 할 때 해충의 재오염만 방지한다면 1.0kGy 이하의 조사로서 쌀의 장기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1.0{\sim}5.0kGy$ 조사된 현미에서의 화랑곡 나방의 서식선호성 실험에서는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산란계에서 파리 유충의 급여가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eding Dried Fly Larvae on Egg Quality in Laying Hens)

  • 황보종;이병석;홍의철;배해득;강환구;한광희;장애라;박병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3-209
    • /
    • 2005
  •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파리 유충의 사료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43주령 갈색 산란계(ISA Brown) 총 90수를 51주령까지 8주 동안 각 시험사료 처리구(대조구, 파리 유충 2, 5, 10, $15\%$ 첨가 사료)에 임의배치하여 무제한 급여하면서 사료 섭취량, 산란율, 난황색, 난중, 파란 강도, 난각 두께, Haugh unit, 계란 내 지방산 조성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조사하였다. 파리 유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난중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파란 강도 증가율은 $14\%$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계란 지방산 조성은 파리 유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16\%$까지 감소되었으나,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7\%$까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 실험 결과 파리유충이 산란계 사료에 첨가되면 계란의 품질은 개선되었지만 난황에서 포화지방산이 증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북방대합, Spisula sachazinensis의 난 발생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 of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 이정용;장윤정;김영신;최윤희;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9-42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북방대합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지식을 얻고자 난 발생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북방대합의 발생 가능 수온은 10∼25$^{\circ}C$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방대합이 초기D상 유생에 도달한 시간은 10, 15, 20, 25$^{\circ}C$에서 각각 70, 47, 27, 20시간이 소요되었다. 수온 (WT : $^{\circ}C$)과 각 발생 단계별 소요시간 (h : hour)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2세포기 : 1/t = 0.0554WT-0.3769 8 세포기 : 1/t : 0.0210WT-0.1142 상실기 : 1/t : 0.0125WT-0.0712 담륜자기 : 1/t = 0.0039WT-0.0203 D상 유생 : 1/t = 0.0024WT-0.0108 이들 관계식을 기초로 하여 북방대합의 초기 발생에 있어서 난 발생이 정지하는 생물학적 영도 (Biological minimum temperature)는 평균 5.5$^{\circ}C$로 산정되었다.

Fluctuation of DNJ Concentration in Silkworm, Bombyx mori through the Lif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ction of Morus alba Leaves and B. mori Larva

  • Kim, Jin-Won;Kim, Iksoo;Ahn, Mi-Young;Lee, Heui-Sam;Jung, In-Mo;Ryu, Kang-Sun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제46회 춘계 학술연구 발표회
    • /
    • pp.54-54
    • /
    • 2003
  • DNJ concentration in silkworm, Bombyx mori was traced through the life. DNJ absent in egg existed over the concentration of 5 mg gdw-1 from 1st instar to 4th day of 5th instar during larva period. DNJ concentration decreased drastically with body weight about at 7-8th day of 5th instar when silk production became a major process. (omitted)

  • PDF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 박충국;연인호;최낙현;허승준;한경호;이원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07-213
    • /
    • 2008
  • 고등어를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한 난을 대상으로 난발생 및 자치어 발육과정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의 형태는 구형의 분리부성란으로 유구는 1개를 가지고 있었으며, 난경은 $0.94{\sim}1.02\;mm$(평균 $0.95{\pm}0.03\;mm$)였다.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 $20{\pm}0.5^{\circ}C$에서 51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2.52{\sim}3.0\;mm$(평균 $2.75{\pm}0.04\;mm$)로 난황을 달고 있었고, 입과 항문은 아직 열려 있지 않았으며, 근절은 $28{\sim}31$개였고, 눈에는 흑색소포 소포가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2일째의 전기 자어는 $3.12{\sim}3.63\;mm$(평균 $3.39{\pm}0.05\;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었다. 부화 18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이 $8.45{\sim}12.32\;mm$(평균 $10.85{\pm}4.36\;mm$)로 꼬리말단이 굽어지기 시작하면서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줄기가 형성되었다. 부화 25일째에는 $44.12{\sim}58.72\;mm$(평균 $55.95{\pm}6.74\;mm$) 외부 형태가 성어와 같은 치어기에 도달하였다.

  • PDF

자두수염잎벌(Monocellicampa pruni)의 생물학적 특성 (Som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um Sawfly Monocellicampa pruni (Hymenoptera: Tenthredinidae))

  • 능엔남하이;기웅;임민혁;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79-487
    • /
    • 2021
  • 본 연구는 포장 및 실험실 조사를 통해 자두수염잎벌(Monocellicampa pruni Wei, 1998)의 생활사를 확인하였다. 자두수염잎벌은 5령의 유충 단계를 가지는 일화성 곤충이다. 성충은 자두가 만개하는 3월 중순경에 흙에서 나와 꽃받침의 표피층 밑에 1개(드물게 2개)의 알을 낳는다. 부화 후, 유충은 곧 어린 과실 속으로 파고들어 성충이 되기 전 4번의 탈피 과정 동안 과실 안에서 과육을 섭식한다. 유충이 성숙하면(5월) 과실에서 나와 2 - 11 cm깊이의 땅속으로 파고 들어가 번데기방을 만들고 이듬해 봄까지 전용 형태로 월동한다. 실험실 조건(T = 20℃, RH = 40 - 60%)에서 수컷 성충의 생존기간은 암컷성충보다 약간 짧았고(수컷 6.03 ± 0.40일 및 암컷 7.55 ± 0.45일), 암컷은 평생 30.29 ± 4.50개의 알았다. 포장에서 알기간은 약 10 - 11일이었고, 유충기간은 약 31 - 34일이었다.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in Korea (Pisces: Siluridae)

  • Mun, Seong Jun;Yim, Hu Sun;Han, Kyeong Ho;Park, Jae Mi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4호
    • /
    • pp.399-40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gg development and larva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catfish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clarify the genetic relationship with Siluriformes fish. The mother fish that was used in this study was caught in the stream of Nakdong River in Uiseong-gun, Gyeongbuk.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breeding was $23.0-25.0^{\circ}C$ (mean $24.0{\pm}1.0^{\circ}C$) and egg size was 1.62-1.70 mm (mean $1.66{\pm}0.05$, n=30). Eggs of catfish began hatching at 54 hours and 40 minutes after fertilization.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of larvae was 3.60-3.65 mm (mean $3.62{\pm}0.03$, n=5) and had an egg yolk without swimming ability. On the third day after hatching, the larvae at the medium stage was 8.00-8.65 mm (mean $8.32{\pm}0.45$) in total length, and two pairs of whiskers formed around the mouth were elongated. On the 12th day after hatching, the larvae at the juvenile stage was 16.5-17.0 mm (mean $16.7{\pm}0.35$) in total length, and the stem of each fin was in the range, and the juvenile at this period was morphologically similar to the mother fish.

한강 수계 보통천에 서식하는 좀구굴치 Micropercops swinhon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of Development Eggs, Larvae and Juveniles Micropercops swinhonis in Botongcheon Stream Hangang River)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1-159
    • /
    • 2023
  • 이 연구는 한강 수계 보통천에 서식하는 좀구굴치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근연종과 유연관계를 비교하였다. 좀구굴치의 수정란은 타원형으로 평균 난경은 장경 1.23 mm, 단경 0.85 mm 였다. 수온 20.6℃에서 부화 시간은 179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 3.82~4.08 mm로 입과 항문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다. 후기자어기는 부화 후 18일째 전장 7.97~8.43 mm로 척색말단 끝부분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치어기는 부화 후 29일째 전장 9.83~10.8 mm로 지느러미 줄기 수는 정수에 달하였다. 연구 결과 좀구굴치는 난 크기, 부화자어 크기, 유영형태에서 근연종과 차이를 보였다. 후기자어 이행시기와 제1등지느러미 발달 시기는 비교한 근연종 중 가장 느렸고, 크기는 큰 특징을 보여 초기생활사에서 근연종과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멸구류의 날기생봉 Anagrus incarnatus Haliday의 형태적 관찰 (A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an Egg Parasitoid, Anagrus incarnatus Haliday (Hymenoptera : Mymaridae), of the Rice Planthoppers)

  • 여윤수;장영덕;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
    • /
    • 1990
  • 멸구류 알기생봉인 Anagrus incarnotus Haliday의 알, 유충, 용, 성충의 각 발육단계별로 이의 형태적 특징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incarnatus의 알은 sausage형으로 가늘고 긴 자루모양의 알자루가 있으며 길이는 0.215 mm, 幅은 0.057 mm였다. 1令幼蟲은 자루모양으로 마디가 없으며 중앙부위보다 머리와 꼬리부위가 좁고 蟲體 自體는 움직이지 않았다. 꼬리부위는 혹처럼 되어 있고 알껍질도 이 부위에 붙어 있었으며 길이는 0.290 mm, 폭은 0.082 mm였다. 2令幼蟲은 圓雜形의 모양으로 한 雙의 가늘고 긴 큰 턱을 갖고 있으며 "Histriobdellid" 形이었다. 길이는 0.535 mm, 폭은 0.110 mm였다. 번데기 시기는 머리, 가승, 배의 區分이 확실하였으며 더듬이와 배를 비교하여 암수의 구별이 가능하였다. 성충의 경우 암컷의 더듬이는 9마디, 숫컷은 13마디였다. 특히 암컷의 경우 끝부분이 根律形이고 첫째 채찍마디는 매우 짧고 球彩 또는 半球形이다. 3번째 채찍마디는 4번째 채찍 마디보다 약간 길고 한 개의 感覺 癸起가 있다. 앞날개의 중앙부위에는 8~9줄의 털이 散在해 있다. 體長은 암컷이 0.660 mm, 습컷은 0.650 mm였다..650 mm였다.

  • PDF

북쪽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의 난발생과 유생의 발달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

  • 이채성;김완기;김두호;정세한;박기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4-98
    • /
    • 2003
  • 북쪽말똥성게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KCI용액 주사법으로 채란.채정된 알과 정자를 인위적으로 수정시켜 알과 유생의 발달과정 및 수온에 따른 발생속도를 조사하였다. 북쪽말똥성게의 수정난은 직경 122.5 $\mu\textrm{m}$의 구형이며, 알의 발생은 18$^{\circ}C$에서 수정 후 3시간만에 4세포기로 되고, 15시간이 지나면 부화를 하며, 수정 후 3일째에는 4완기 유생, 13일째에는 8완 전기유생, 20일째에는 8완 후기유생으로 되었다. 수온(T)에 따른 각 단계별 소요시간(t)의 관계를 보면, 부화기: 1/t=0.0036WT+0.0088 피라미드기: 1/t=0.0014WT-0.0016 4완기: 1/t=0.0009WT-0.0020 6완기: 1/t=0.0004WT-0.0005 8완기: 1/t=0.0002WT+0.0002로 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