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Fatty Acid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5초

체외심폐순환중 알부민이 적혈구의 Crenation 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bumin Administration on Erythrocyte Crenation in Patients Undergoing Extracorea1 Circulation - A Report of 8 Case -)

  • 조경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6호
    • /
    • pp.921-926
    • /
    • 1989
  • The Free fatty acid [FFA] induced massive erythrocyte crenation has been reported in patients undergo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EGG], suggesting that the crenated cells impair microcirculatory flow and tissue oxygenation during and after the operation. Effect of albumin administration on erythrocyte crenation was examined in 24patien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th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89 and August, 1989: 8 patients of 24 patients [group A] were given 50 gm albumin, another 8 patients of 24 patients [group B] were g en 26 gm of albumin and the other 8 patients of 24 patients [group C] were not given any albumin as a part of the priming solution. Erythrocyte crenation was almost completely prevented in the patients given 50 gm albumin. Crenated erythrocytes d urging ECC were 3.6* 0.4 % [mean\ulcornerD] of all erythrocytes and 3.1*0.6% after ECC. Thi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patients without albumin administration [64.2*9.5% during ECC and 28.7*1.9% after ECC]. But the effect was less striking in the patients given 25 gm albumin, 37.8* 12.0 % during ECC and 27.8*3.9 % after ECC. Maintaining an adequate level of plasma albumin is important in preventing erythrocyte crenation during ECC, improving microcirculatory flow in patien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 PDF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양개선(飼養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일위((第一胃)에서의 영양소(營養素) 흡수(吸收)에 대(對)하여 - (Nutritional Studies for Improvement of Feeding on Korean Native Goat - Absorption of Nutrients in Rumen -)

  • 권순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84-302
    • /
    • 1982
  • 식량(食糧)으로서 단백질자원(蛋白質資源)의 개발문제(開發問題)는 동남(東南)아시아에 있어서 특(特)히 중요(重要)하며 한국(韓國)에 있어서도 섭취량(攝取量)이 부족(不足)한 현상(現狀)이다. 이 문제(問題)를 개선(改善)하는 방법으로 특(特)히 영양가(營養價)가 높은 동물성(動物性) 단백질(蛋白質)의 증산(增産)을 목적(目的)으로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飼育)에 관(關)해서 연구(硏究)를 행하였다. 이 실험(實驗)은 우선 한국고유(韓國固有)의 재래산양(在來山羊)을 육자원(肉資源)으로 개발(開發)할 가치(價値)가 있는가를 확인(確認)하기 위해서 소형(小型) 제(第)1위법(胃法)으로 탄수화물(炭水化物)과 휘발성지방산(揮發性脂肪酸)의 흡수(吸收)를 실험(實驗)하였고 한편 in vivo법(法)에 의해서 제(第)1위(胃)의 아미노산 흡수(吸收)에 관해서 실험(實驗)을 했다. 이와 같은 실험(實驗) 결과(結果)에서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飼育) 개선(改善)에 관해서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형(小型) 제(第)1위법(胃法)에 의해서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영양흡수(營養吸收)에 관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영양소(營養素)를 주입(注入) 한 후 0.5, 1, 2시간(時間)의 간격(間隔)으로 측정(測定)한 V F A의 흡수율(吸收率)이 푸로피온산 70~86%, 초산 74~87%, 낙산 76~89%였다. 유기물(有機物)의 흡수율(吸收率)은 0.5%의 에칠 알콜이 29~89%였으며, 0.1M의 젖산이 12~27% 흡수(吸收)되었다. 2. 제(第)1위내(胃內)에 유리(遊離) L형(型) 아미노산을 투여(投與)하고 그 흡수(吸收)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제(第)1위(胃) 정맥(靜脈)의 아미노산 함량(含量)에 있어서 전요(全要)아미노산구(區)에 비하여 메치오닌 결핍구(缺乏區)의 흡수율(吸收率)이 적었고 메치오닌 3배구(倍區)와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의 아미노산 흡수율(吸收率)이 높고 특(特)히 메치오닌을 결핍(缺乏)시켜도 점막층(粘膜層)의 함량(含量)에는 변화(變化)가 없었다. 3. 제(第)1위내(胃內)에 근육층(筋肉層)의 아미노산 흡수(吸收)도 점막(粘膜)과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메치오닌 결핍(缺乏)에 의한 영향은 없고, 메치오닌을 3배(倍)로 첨가(添加)하면 전요(全要)아미노산구(區)에 비(比)하여 메치오닌과 글루타민의 함량이 147.44배(倍) 이상으로 증가(增加)되며 또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는 글루타민, 프롤린, 발린의 흡수율(吸收率)이 증가(增加)되었다. 4. 제(第)1위(胃) 정맥혈장(靜脈血漿) 중의 아미노산 농도(濃度)는 제(第)1위(胃) 점막(粘膜) 중이나 근육(筋肉) 중에서 보다 일반적(一般的)으로 낮으며 메치오닌의 결핍(缺乏)에 의해서 아미노산의 흡수율(吸收率)이 저하(低下)되고 메치오닌 3배구(倍區)나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는 아미노산 흡수(吸收)를 증가(增加)시키는 등 아미노산 조성분(組成分)에 따라서 그 흡수상태(吸收狀態)에 변화가 생긴다. 5.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는 제(第)1위(胃) 근육층(筋肉層)의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와 아미노태질소(態窒素) 및 요소(尿素)의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켰다. 재래산양(在來山羊) 제(第)1위(胃)안을 완전(完全)하게 깨끗이 할 수 없으므로 남아있는 세균(細菌)을 조사(調査)하였으며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의 변화(變化)는 이러한 조건(條件)의 영향을 받았다. 6. 아미노산의 흡수차(吸收差)에 의한 제(第)1위(胃) 조직(組織)의 변화(變化)를 일반(一般) 현미경(顯微鏡)과 형광(螢光) 현미경(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메치오닌 3배구(倍區)에 있어서 점막(粘膜)의 단층엔주상피(單層円柱上皮)와 고유층(固有層)이 약간 엷어졌으며 요소첨가구(尿素添加區)는 두껍게 변화(變化)하였는데 점막하조직(粘膜下組織)이나 근층(筋層)에 있어서는 각(各) 구간(區間)에 큰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들기름 에멀젼의 산화안정성 및 산화방지제에 대한 클로로필 첨가 및 빛의 영향 (Effects of Chlorophyll Addition and Light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of Perilla Oil Emulsion)

  • 최지수;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3-62
    • /
    • 2013
  •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s changes in perilla oil emulsion added with chlorophyll were studied during storage in the dark or under 1,700 lux light at $25^{\circ}C$ for 48 h. The emulsion was consisted of perilla oil (33.12 g), 5% acetic acid (66.23 g), egg yolk powder (0.5 g), and xanthan gum (0.15 g), and Chlorophyll b was added to the emulsion at 0, 2.5 and 4 mg/kg. The lipid oxidation was evaluated by headspace oxygen consumption and hydroperoxide formation, and tocopherols and polyphenols were monitored by HPLC and spectrophotometry at 725 nm, respectively. The lipid oxidation of the perilla oil emulsion in the dark was not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addition of chlorophyll. Light increased and accelerated the lipid oxidation of the emulsion, and increased addition level of chlorophyll under light increased it furth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any case. Contents of tocopherols and polyphenols in the emulsion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storage in the dark regardless of chlorophyll addition, indicating their little degradation. Tocopherols and polyphenols in the emulsion were significantly degraded during storage of the emulsion under light, and the degradation rate of polyphenols was increased with addition level of chlorophyll. The lipid oxidation of the perilla oil emulsion was inversely related with the residual amounts of tocopherols and polyphenols, with more dependent on the retention of polyphenols than that of tocopherols.

목초액 함유 활성탄의 급여가 산란계에서 계란의 품질과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on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gg in Laying Hens)

  • 김관응;유선종;안병기;조태수;안병준;최돈하;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59-6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목초액 함유 활성탄(activated charcoal, AC)의 급여가 산란계에서 난생산성, 난질과 난각질, 혈액 내 콜레스테롤 분획과 효소 활성 및 난황 내 지질 조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총 192수의 56주령 Lohmann 갈색 계통의 실용 산란계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0% AC, 0.5% AC, 1% AC 및 2% AC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난 생산성은 매일 기록하였으며 할란 검사는 주 단위로 실시하였다. 사양실험 종료 시 각 공시계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GOT 및 GPT 활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일에 수거한 계란을 할란하여 난질을 검사한 후 난황을 채취하여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고, 실험 3주와 5주의 계란을 1일, 7일, 14일간 저장 한 후 난황막 강도를 측정하였다. 난 생산성, 사료 섭취량 및 난황막 강도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AC 2% 첨가구에서 난각강도와 Haugh unit의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P<0.05). 난황계수 역시 AC 2%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난황색은 대조구에 비해 AC를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저장시간의 경과에 따른 계란의 보존성을 난황막 강도를 지표로 조사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활성탄의 첨가가 난황막 강도의 저하를 다소 완화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혈청 내 GOT 및 GPT 농도에서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에서도 AC 첨가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난황 내 총지질 함량은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는데, AC 1%와 2%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본 연구에서는 산란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난각 강도, Haugh unit 및 난황색, 난황계수를 개선시킴으로서 고품질 계란 생산을 위한 기능성 첨가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색인어 : 활성탄, 목초액, 생산성, 난각강도, 호우유니트, 산란계)

Expression of AGR-2 in Chicken Oviduct during Laying Period

  • Kim, Nam-Soo;Shen, Yan-Nan;Kim, Tae-Yoon;Byun, Sung-June;Jeon, Ik-Soo;Kim, Sang-Hoon
    • BMB Reports
    • /
    • 제40권2호
    • /
    • pp.212-217
    • /
    • 2007
  • The chicken oviduct is a dynamic organ that produces secretory proteins such as ovalbumin during the laying perio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oviduct-specific proteins in hens during the egg-laying period by proteomic analysis. Proteins extracted from the magnum of hens of different ages (5, 35, and 65 weeks) were analyzed by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to compare the intensity of proteins among samples. Approximately 300 spots were detected on each gel. Based on the comparison of image gels, we found that the intensity of eight spots in 35-week magnums was increased at least by 2-fold compared with the others. Five of the eight spots were identified as calumenin, acidic ribosomal phosphoproteins (ARP), prohibitin, heart fatty acid-binding protein, and anterior gradient-2 (AGR-2). In particular, ARP and AGR-2 were highly expressed in 35- week magnums compared with 5- and 65-week magnums. In addition, the level of these proteins was consistent with their RNA levels. Expression of AGR-2 mRNA was detected in the mature magnum, whereas no signal was observed in premature tissue. Among various tissues, expression of AGR-2 mRNA was highest in the magnum, high in the isthmus, and five fold lower in muscle. It was undetectable in the liver and in other tissues (heart and kidney). However, the mRNA levels of other proteins were ubiquitous among tissues. In transcriptional activity of AGR-2, a 3.0 kb fragment of promoter region containing potential estrogen receptor binding sites had enhanced its activity strongly.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R-2 has functional regulatory roles in the chicken oviduct during the egglaying period.

사료 및 보조사료로서의 생균제 급여에 따른 돈사 환경개선과 돼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 and Probiotic Feeding on the Improvement of Hoggery Environment and the Productivity of Swine)

  • 이은영;임정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0-209
    • /
    • 2011
  • 동물은 고기, 우유, 및 달걀과 같은 중요한 산물을 생산한다. 현대사회의 도시화과정 및 고도 성장은 보다 많은 동물성 산물을 요구하고 작은 농장에서 밀집화된 사육이 이루어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축 분뇨생산량이 증가되었으며, 그에 따른 악취문제도 필연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분뇨로 인한 악취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환경개선을 이루는 큰 장애가 될 것이다. 축산환경으로 생산되는 악취는 휘발성지방산, 암모니아와 휘발성아민, 인돌과 페놀, 그리고 황화합물 네 종류로 분류된다. 질소성분의 절반이상은 뇨로 배설되기 때문에 동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저단백 사료와 합성아미노산을 급여시키고, 소화효소나 미생물제제 혹은 생균제를 사료에 첨가시켜줄 경우 질소원의 배출량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축산환경의 개선과 축산분야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사료 및 보조사료를 급여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Effect of seasonal changes on nutritional status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Turkish older adults

  • Ersoy, Nesli;Tasci, Ilker;Ozgurtas, Taner;Salih, Bekir;Doruk, Huseyin;Rakicioglu, Neslis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4호
    • /
    • pp.315-323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Available data suggest that seasonal changes may influence the nutritional status and overall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asonal changes and related factors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of older adults. SUBJECTS/METHODS: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ver were prospectively enrolled in this single-center study (male: 11, female: 20).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013 and February 2014 during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Food consumption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taken during each season to assess the seasonal nutrition status of the elderly. Upon analysis of biochemical parameters (retinol, vitamin D and vitamin C), a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evice was utilized whereas an Immulite 2000 device was utilized during analysis of serum folic acid and parathyroid hormone. RESULTS: Fruit, fat, egg and bread consumption varied seasonally in males and females (P < 0.05). During winter, daily energy intake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in other seasons in males (557 kcal) and females (330 kcal) (P < 0.05). Additionally, carbohydrates, vegetable protein, n-3 fatty acid and sodium intake increased in winter, while the n-6/n-3 ratio increased in summer among males (P < 0.05). Dietary fiber and sodium intake in winter, vitamin C, iron and zinc intake in spring, and cholesterol, retinol, vitamin D and niacin intake in autumn were found to be higher in females when compared to other seasons (P < 0.05). Serum parathyroid hormone level was higher in winter, and vitamin D level was higher in autumn in both genders (P < 0.05). In males, blood folic acid level was higher in winter, while vitamin C level was higher in females, and there was no seasonal variation in retinol concentration (P < 0.05). CONCLUSION: Food consumption and biochemical parameters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in older adults. It is not clear if nutrition plans in older adults will benefit from consideration of seasonal changes in eating habits.

국내 실험 미립자 사료와 수입 미립자 사료를 공급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자.치어의 성장과 체조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Body Composition in olive flounder Larvae(Paralichthys olivaceus) Fed Domestic Experimental and Imported Commercial Microparticulated Diets)

  • 배승철;차용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95
    • /
    • 1997
  • 단백질원을 달리하여 자체 제조한 실험 사료 K 하(1)과 K 하(2)를 평가하기 위해 국내 양식 현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일본산 D사와 H사 제품(D 와 H 사료)을 공급했을 때 자, 치어의 체장, 체중, 그리고 어체의 일반 조성과 지방산 조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주 단백질원으로 실험 미립자 사료 K 하(1)은 넙치 근육, 혈분, 오징어 분말, 클로렐라 분말, 효모 등을, K 하(2)는 계란 단백, 크릴분, 바지락분, 오징어분, 생효모, 효모 추출물, 카제인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부화 후 40일째까지는 체중, 체장 그리고 생존율에 있어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부화 후 83일째의 생존율에 있어서는 D 사료구가 K 하(2) 사료구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H와 K 하(1) 사료구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중에 있어서는 D 사료가 K 하(1) 사료와 K 하(2) 사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H 사료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장과 비만도(Condition factor)에 있어서는 부화 후 83일째에 실험사료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넙치 자, 치어용 국산 미립자 사료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