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iciency of total energy utiliza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Various Fat Sources and Lecithin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in Pigs Weaned at 21 Days of Age

  • Jin, C.F.;Kim, J.H.;Han, In K.;Jung, H.J.;Kwon, 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176-184
    • /
    • 1998
  • A total of 125 pigs (5.8 kg of BW) were allot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coconut oil, corn oil, soybean oil, tallow and tallow+lecithin.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es with 5 pigs per replicate. From d 0 to 7, pigs fed vegetable oil supported greater average daily gain (ADG) and improved feed/gain (F/G) compared to pigs fed the animal fat. Addition of lecithin to tallow increased ADG by 7.2%. Feed intake were similar for all treatment groups. From d 8 to 14, pigs fed coconut oil and soy oil showed better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than any of the others. From d 15 to 21, pigs fed the tallow diets had lower gains (p < 0.05) than those fed diets that contained vegetable oil and tallow with added lecithin. The effect of different fat sources on gain became smaller with age. Feed intakes were similar between the vegetable oil and lecithin supplemented diets each week postweaning except for pigs fed tallow (p < 0.05). Feed : gain ratios were superior during the initial 2 weeks postweaning period when pigs were provided vegetable oil diet compared with pigs fed tallow. All pig groups had similar feed : gain ratios during 3 weeks. Combinations of tallow with lecithin tended to have intermediate feed/gain ratio. It was found that vegetable oils were much better in improving growth rate of the piglets. Lecithin significantly improved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of the pigs through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compared to tallow. Coconut oil was th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growth of pigs during the first two weeks postweaning. Corn oil had equal value with soy oil in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of weaned pigs. When vegetable oil was added, the digestibilities of nutrients except for minerals were higher than when the tallow was fed. Nutrients digestibility was similar among vegetable oils. The addition of lecithin to tallow increased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dry matter, ether extract and crude protein. Crude ash and phosphorus digestibility were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Dry matter excretion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except for tallow whic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excretion (p < 0.05), while nitrogen excre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igs fed vegetable oil sources. However, Phosphorus excretion was not affected by the different fat sources.

Utilization of Steam-treated Oil Palm Fronds in Growing Goats: 1. Supplementation with Dietary Urea

  • Paengkoum, Pramote;Liang, J.B.;Jelan, Z.A.;Basery,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9호
    • /
    • pp.1305-1313
    • /
    • 2006
  • Five male dairy goats (Saanen), 4.6 month old with a body weight of 21.4 ($SD{\pm}1.6$) kg, were used to examine 5 dietary urea treatments in a $5{\times}5$ Latin Square experimental design. The five levels of urea were 10, 20, 30, 40 and 50 g urea/kg DM of steam-treated oil palm fronds (OPF) and dry matter intake tended (p>0.05) to increase with increasing urea supplementation up to 30 g/kg OPF (77.7 g/kg $BW^{0.75}$), but decreased (p<0.05) with 40 and 50 g urea/kg OPF (67.4 and 63.7 g/kg BW0.75, respectively) supplementation. Similarly, dry matter,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er and hemicellulose digestibilities increased (p<0.05) with the addition of urea to 30 g/kg OPF but thereafter decreased (p<0.05) with 40 and 50 g/kg OPF. Ruminal pH, ruminal $NH_3$-N concentration and plasma urea concentration increased linearly (p<0.01) and quadratically (p<0.01) as a consequence of addition of urea to the diet. Excretion of total purine derivatives (PD) by goats fed 30 g of urea/kg OPF was highest (p<0.05) followed by goats fed 20, 40, 10 and 50 g of urea/kg OPF. Microbial N (g N/day) and efficiency of microbial N supply expressed as g N/kg organic matter apparently digested in the rumen were higher (p<0.05) in goats fed 30 g of urea/kg OPF (5.5 g N/day and 22.0 g N/kg DOMR, respectively) than in goats on 10 and 50 g of urea/kg OPF treatments. However, the former did not differ from goats fed 20 g of urea/kg OPF (3.9 g N/day and 16.6 g N/kg DMOR, respectively). Ruminal VFA concentration, protein/energy ratio, N absorption and N retention increased (p<0.05) with the addition of urea to the diet up to 30 g/kg OPF but decreased (p<0.05) with 40 and 50 g/kg OPF. This implies that the optimal level of urea supplementation in an OPF based diet was about 30 g urea/kg OPF.

The effects of synbiotics-glyconutrien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gas emission, meat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 of finishing pigs

  • Olivier Munezero;Sungbo Cho;In Ho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2호
    • /
    • pp.310-325
    • /
    • 2024
  • Glyconutrients help in the body's cell communication. Glyconutrients and synbiotics are promising options for improving immune function.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combining synbiotics and glyconutrients will enhance pig nutrient utilization. 150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initially weighing 58.85 ± 3.30 kg of live body weight (BW) were utiliz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ynbiotics-glyconutrients (SGN) on the pigs' performance, feed efficiency, gas emission, pork traits,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s. The pigs were matched by BW and sex and chosen at random to 1 of 3 diet treatments: control = Basal diet; TRT1 = Basal diet + SGN 0.15%; TRT2 = Basal diet + SGN 0.30%%. The trials were conducted in two phases (weeks 1-5 and weeks 5-10). The average daily gain was increased in pigs fed a basal diet with SGN (p = 0.036) in weeks 5-10. However,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itrogen, and gross energy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p > 0.05). Dietary treatments had no effect on NH3, H2S, methyl mercaptans, acetic acids, and CO2 emissions (p > 0.05). Improvement in drip loss on day 7 (p = 0.053) and tendency in the cooking loss were observed (p = 0.070) in a group fed basal diets and SGN at 0.30% inclusion level. The group supplemented with 0.30% of SGN had higher levels of palmitoleic acid (C16:1), margaric acid (C17:0), omega-3 fatty acid, omega-6 fatty acid, and ω-6: ω-3 ratio (p = 0.034, 0.020, 0.025, 0.007, and 0.003, respectively) in the fat of finishing pigs. Furthermore, group supplemented with 0.30% of SGN improved margaric acid (C17:0),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ic acid (C20:0), omega 6 fatty acid, omega-6 to omega-3 ratio, unsaturated fatty aci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p = 0.037, 0.05, 0.0142, 0.036, 0.033, 0.020, and 0.045, respectively) in the lean tissues of finishing pigs compared to pigs fed with the control diets.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probiotics, prebiotics, and glyconutrients led to higher average daily gain, improved the quality of pork, and more favorable fatty acid composition. Therefore, these results contribute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of SGN combinations as a feed additive for pigs.

부로일러사료에 있어서 밀감피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II. 밀감피싸일리지 건조분말의 사료적 가치 (Studies on Possible Utilization of Citrus Peel as a Feed Ingredient for Broilers II. Feeding Value of Dried Citrus Peel Silage)

  • 최진호;강상렬;배동호;정근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3-98
    • /
    • 1984
  • 밀감피의 저장수단으로 밀기울 또는 요소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는 4가지 종류의 밀감피싸일리지를 제조하였다. 밀감피싸일리지의 일반성분 및 휘발성지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싸일리지를 다시 건조 분쇄한 4가지 종류의 싸일리지 건조분말, 싸일리지화 하지 않는 밀감피를 건조 분쇄한 밀감피 건조분말 및 밀기울의 6가지 원료를 서로 비교하는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부로일러 전용종인 Maniker 초생추 숫컷 360수률 6개처리 5반복으로 배치하고 시험사료에 6가지 원료를 각각 6% 첨가하여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시험 종료후 대사시험을 실시하여 영양소 이용율, 대소축적률 및 사료의 대사에너지함양을 측정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밀감피를 싸일리지화 하였을 때 개형물의 조단백질 함양이 증가하였으며 밀기울이나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더욱 증가하였다. 2. 밀기울이나 요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밀감피싸일리지의 휘발성지방산 함양이 증가하였는데 싸일리지를 건조시켰을 때에는 유기산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싸일리지 처리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3. 밀감피 건조분말이나 밀감피싸일리지 건조분말을 급여한 병아리는 밀기울을 급여한 병아리에 비해 증체량이 약간 떨어졌으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4. 각 시험사료의 영양소 이용률, 질소축적율 및 대사에너지 함량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때 밀감피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싸일리지를 제조하였다가 이를 건조 분쇄하여 배합사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로일러 사료에 6%까지 사용하여도 증체량이나 사료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PDF

생분해성 코팅 요소 종류별 질소 용출 및 온실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degradable polymer coating urea to nitrogen release in the soil column)

  • 최재이;신중두;조현종;정우진;이상범;윤석인
    • 유기물자원화
    • /
    • 제32권1호
    • /
    • pp.49-59
    • /
    • 2024
  • 생분해성 중합체 코팅 요소는 질소 용출을 제어하면서, 질소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며 농업생태계의 비점오염원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분해성 중합체 혼합물을 이용한 코팅 요소의 용출 패턴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구명하는 것이었다. 처리내용은 속효성 비료인 요소를 대조구, 난분해성 코팅 요소(NBCF), 생분해 완효성 코팅 요소(NB60)와 생분해성 완효성 코팅 요소(MDS)를 토양에 혼합한 4가지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침출수에 대한 최대 총 질소 누적 농도는 NBCF가 NB60보다 33% 높았으며, NB60이 NBCF 보다 최대 용출 기간은 10일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총 질소 및 NO3-N의 용출 패턴에서 NB60과 NBCF는 일차 직선형태로 동일하였지만, 대조구와 MDS는 Sigmoid curves 형태로 누적 용출 농도는 MDS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분해성 코팅 요소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살펴보면, CH4의 발생량은 대조구 대비 NBCF, NB60, MDS 각각 0.38%, 11.36%, 5.91% 증가하였고, 또한 N2O의 발생량은 대조구 대비 각각 50.5%, 32.4%, 58.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분해 완효성 코팅 요소는 비료 이용성을 감안하여 포장에 시용할 경우 비료 시용량뿐만 아니라 농업생태계 비점 오염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섬유질배합사료 급여가 비육후기 거세한우의 반추위 발효성상, 소화율 및 산육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Mixed Rations on Ruminal Characteristics, Digestibility and Beef Production of Hanwoo Steers)

  • 김경훈;김기수;이상철;오영균;정찬성;김건중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87-396
    • /
    • 2003
  • 본 연구는 시판 비육후기용 사료와 볏짚을 급여한 관행적 비육후기 사료급여형태(대조구)와 특정 비육농가에서 급여하고 있는 섬유질배합사료의 단독급여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증체량, 사료효율, 도체등급 등을 조사하였고(시험 1), 결과 해석을 위해 시험 2에서 반추위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과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비육후기의 섬유질배합사료 사료의 급여효과 시험에서는 섬유질배합사료의 건물 사료섭취량이 1일 7.4kg으로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고, 일당 증체량에서는 718g으로 대조구 775g보다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1kg 증체에 필요한 사료요구량에서는 섬유질배합사료구가 10.5kg으로 대조구보다 약 0.8kg 더 높았다. 대조구의 A등급 출현율은 22%였으나, 섬유질배합사료구는 33%로 섬유질배합사료구의 A등급 출현율이 높았고, 육질 등급에서도 1등급 출현율이 대조구와 섬유질배합사료구에서 각각 56%와 75%로 섬유질배합사료구가 현저히 높았다. 섬유질배합사료 사료의 건물을 비롯한 조단백, 조지방, 그리고 총에너지의 전장소화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약 1.2-1.6배 더 유의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추위 내의 pH 변화는 섬유질배합사료구가 배합사료를 급여한 관행구보다 높은 pH 6.0이상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반추위내 NH3-N 농도는 섬유질배합사료구가 사료급여 후 8시간 후까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었고, 특히 사료급여 2시간 후 까지 대조구의 2배에 이르는 28.2mg/$d\ell$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P<0.05). 대조구와 섬유질배합사료구의 총 VFA 함량은 사료급여 후 2시간까지 증가하였다가 그 후 감소하는 경향이 비슷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branch chained fatty acid (BCFA)인 iso-butyric acid와 iso-valeric acid의 비율에서는 섬유질배합사료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있었고, 특히 사료급여 후 3-5시간 내에 섬유질배합사료구가 유의성있게(P<0.01)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 섬유질배합사료 급여는 한우의 반추위 발효를 안정화시키고 비육후기 산육성 및 육질등급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한국형 동반성장 정책의 방향과 과제 (The Policy of Win-Win Growth between Large and Small Enterprises : A South Korean Model)

  • 이장우
    • 중소기업연구
    • /
    • 제33권4호
    • /
    • pp.77-93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사회경제적 이슈가 되고 있는 동반성장의 개념과 실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반성장의 정책적 개념을 살펴보고 유사한 개념인 상생협력과 공생발전과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동반성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만들어 낸 선진국 사례들로부터 교훈을 찾아내고 우리의 사회 문화적 특성에 맞는 한국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형 동반성장 모델은 미국의 시장중심형, 일본의 문화기반형, 유럽의 정책주도형 등의 장점을 융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형 모델은 공동체적 에너지를 창출해내는 한국인의 잠재력 활용, 통제와 자율의 융합형 제도 개선, 미래지향적 협력관계를 위한 기업들의 행동변화 등 세 가지 요인을 핵심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국형 모델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과 과제, 그리고 동반성장위원회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