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ness of Digital Signag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A Study on the Effective Marketing Implementation through Face Recognition Technology in Smart Digital Signage

  • Cha, jin-gil;Kim, Seong-Kw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72-78
    • /
    • 2022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media advertising because current advertisements -in digital signage - indiscriminately appeals to the general public rather than to a specific target. In order to deliver efficient and customized advertisement information, an IoT human body detection sensor mounted on digital signage detected human faces and then classified them firstly by gender. The digital signage here is a smart digital signage that can analyze facial signals, discriminate them based on patterns, and apply the extracted data by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customer's location approaching the smart digital signage and displaying the optimized content information for the customer's location through an algorithm, the digital signage can dramatize the advertisement Thus, this is a study meant forimproving information efficiency while reducing noise and driving power waste generated from unnecessary digital information reproduction.

디지털 사이니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 맞춤식 콘텐츠의 중요성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Signage: Importance of Customized Content)

  • 조재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11-21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상업적 및 공적 업무를 위해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인식되고 있는 디지털사이니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인게이지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디지털사이니지의 감성적 광고가 인지적 광고보다 쇼핑객들의 행동을 긍정적 구매 행동으로 이끌었으며 구매 환경을 이해하는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 차원에서는 타겟 공중에게 얼마나 적합한 채널과 메시지 인가에 따라 커뮤니티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 차원에서 해당 디지털사이니지의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게이지먼트는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어떠한 디지털사이니지의 콘텐츠가 소비자의 높은 인게이지먼트를 가져오는지 등을 측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디지털사이니지가 소비자의 인게이지먼트를 높이기 위해서는 복합적이면서도 융합적인 콘텐츠를 기반으로 소비자 맞춤식으로 실행되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는 디지털사이니지 기기와 관련된 기술뿐만 아니라 창의적 콘텐츠 개발과 관련된 연구에도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편의점 내 디지털 사이니지 티저(Teaser) 광고가 오리지널 콘텐츠 시청에 미치는 영향 연구: BGF 네트웍스의 바터(Barter)광고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teaser advertising effect on a digital signage in a convenience store for viewing the original content : focusing on BGF Networks' Barter advertisement)

  • 김연성;김태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33-244
    • /
    • 2020
  • 우리는 365일, 버스와 지하철에서 편의점, 커피숍, 음식점, 그리고 엘리베이터 등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나오는 영상 콘텐츠 및 수많은 정보 등을 접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디지털 사이니즈(Digital Signage)와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는 디지털 사이니즈(Digital Signage)의 기술적인 효과 측면 또는 소비자 경험 측면에만 중점을 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해당 디지털 사이니즈(Digital Signage)의 티저(Teaser) 광고가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편의점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가 소비자, 시청자들에게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고 소통이 가능한 차별화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만의 영역으로서의 발전을 기대해 봄과 동시에 2020년,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사태 이후, 점차 비대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환경하에서 디지털 콘텐츠(영상)도 이제는 제품으로 인식하는 시대임을 보여주는 하나의 연구로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병원 진료 안내 디지털 사이니지 개선 효과 연구- 근거기반디자인(EBD) 과정을 적용하여 (A Study on the Improvement Effect of Hospital Digital Signage for Room Spaces - Applying the Evidence-Based Design(EBD) Process)

  • 권영미;이승지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21-28
    • /
    • 2023
  • Purpose: Evidence-based design is the process of making design decisions based on reliable research to achieve the best results, so it is important to accumulate reliable evidence through resear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new evidence by applying the evidence-based design process to improve the digital signage for each room spaces in hospitals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Method: Through the 8-step process of evidence-based design, improved digital signage for each room spaces are installed. It conducted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to prove hypotheses by linking design and research. Results: The hypotheses established in the study are: 1) improvement in the readability of digital signage is correl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2) Improving the intuitiveness of digital signage correlates with patient satisfaction; 3) Improving the sufficiency of digital signage correlates with patient satisfaction. As a result of satisfact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ll of the above hypotheses were proven. Implications: Although the hospital sign system is the element that patients rely on most intuitively in the long journey of reception, waiting, examination, and treatment,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to refer to or apply it when designing. It is necessary to expand future research to expand the evidence that can be applied to hospital sign design.

키넥트를 사용한 터치 없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Untouched Interactive Digital Signage Control using Kinect)

  • 김지영;이영경;백욱진;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27-13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키넥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으면서 화면의 내용을 제어하거나 원하는 파일을 개인 스마트 단말기로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방법을 제안 구현하였다. 제안 방법의 특징 및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균감염의 위험이나 스크린의 불청결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상호작용에 의한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둘째, 우리가 흔히 보는 스크린광고에서 내가 보기를 원치 않는 광고를 화면을 터치하지 않고 다른 광고로 넘김으로써 컴퓨터와의 일방적인 소통이 아닌 쌍방으로 소통할 수 있다. 성능평가결과 제안된 방법은 효과적으로 작동됨을 확인 하였다. 특히, 사용자의 행위인식을 통해 일정 좌표범위 내에 커서가 들어갔을 경우 동작하고, 정보를 다운로드 할 경우 서버 PC의 성능과 개인 스마트 단말기의 버전에 따라 파일전송시간이 달라진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전망 (An outlook for Digital Signize)

  • 박수림;김성지;주요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5-529
    • /
    • 2015
  • 스마트 산업의 분야가 점차 광범위해짐에 따라, 광고 및 콘텐츠 산업으로써의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지 못하는 것은 법률적 정의나 체계가 미흡하다는 데 그 이유가 있다. 현행 법제도에 따르면 옥외광고물 및 전기를 이용하는 광고물 등 기존 옥외광고물에 적용되는 법 뿐이고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한 별도의 법률은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대부분의 현행 법제도는 규제에 그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크기, 종류, 설치 위치 및 장소 등에 대한 세부적인 규제는 이러한 사업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일괄적으로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법률의 부재에 따라 지역 간 차이가 발생하여 일원화가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현실적으로 새로운 법의 제도가 필요하게 되었고, 안전행정부의 소관이 아닌 미래창조과학부의 주관 아래 기존 규제 대신 진흥적인 법으로 새로운 스크린 미디어 사업인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일종의 규격화 및 일원화를 통하여 전국적 산업의 효율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 PDF

현장 조사와 ICT 동향 분석을 통한 스몸비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d Method for the Smombie through Field Survey and ICT Trend Analysis)

  • 이동훈;오혜수;장재민;정종운;양상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4-85
    • /
    • 2020
  • Smart phone zombie or Smombie means pedestrians who walk without attention to their surroundings because they are focused upon their smart phone. Because the traffic accidents and injuries caused by Smombie have been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the social attention and policies are needed to prevent i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mombie's current status and some solutions used before and to propose new improved method through the latest ICT trend. In this study, we did the field survey to check Smombies at several places in Seoul through people counting, and found that a lot of pedestrians still use the smart phone while walking. And we analyzed many case studies about some solutions to prevent Smombies previously. The case studies include legal regulations, government policies, smart phone app services and facilities that are used before. We studied them through internet searches and reference studies and we also checked the current operating situation as visiting several places that the solutions actually has been operated. Therefore, we found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previous solutions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management. To consider new solution that can be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e analyzed the latest ICT trends focused on features to utilize the Smombie prevention, especially video recognition and digital signage. In these days, video recognition has been developed rapidly with assistance of AI technology and it can recognize the specific pedestrian's characteristics such as holding smart phone as well as hair style, clothes, backpack and etc. On the other hands, the digital signage is the convergence device that includes big display, network connection and various IoT sensors. It can be used as public media in many places for public services as well as advertising.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we show the requirements and the user scenario for the improved method to prevent Smombie. Finally, we propose to develop R&D technology to recognize Smombie exactly as pedestrian attributes and to spread creative contents to increase pedestrian's interest and engagement for Smombie prevention through digital signage.

NFC광고에 대한 극장 관객의 지각된 즐거움, 혁신성이 광고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FC Advertising in Cinema Environment)

  • 심성욱;변혜민;김운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81-690
    • /
    • 2017
  • 국내 극장광고에서 활용되는 NFC 광고 전략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상호작용성 구성요소들 중 통제성을 제외한 개인화, 참여성이 광고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FC 광고 가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NFC에 대한 지각된 즐거움, NFC 광고의 혁신성은 광고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NFC 광고 수용에는 상호작용성이 먼저, 그 다음 광고가치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광고효과 측정을 위한 평균 필터 추적 기반 유동인구 수 측정 시스템 (Pedestrian Counting System based on Average Filter Tracking for Measuring Advertisement Effectiveness of Digital Signage)

  • 김기용;윤경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93-505
    • /
    • 2016
  • 컴퓨터 비전이나 감시영상 시스템에서 유동인구 수 측정은 안전, 스케줄링, 광고효과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유동인구 수 측정은 조명변화, 부분적인 폐색, 중첩, 사람검출과 같은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혼잡한 상황에서 추적되는 객체에 대한 폐색과 중첩이다. 정확한 유동인구 수 측정을 위해 폐색과 중첩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보행자 추적 방법을 개선한 효율적인 유동인구 수 측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보행자 추적과 달리, 제안된 방법은 평균 필터 추적방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객체 추적의 성능향상을 위한 프레임 보상, 아웃라이어 제거를 통해서 추적을 개선한다. 그와 동시에 제안된 시스템은 추적된 객체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셋 S6와 데이터 셋 S7에 대하여 유동인구 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에러율을 줄인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실시간으로 평균 80fps의 검출을 제공한다.

매체 속성 평가에 따른 매체가치 비교 연구: 매체 광고 영향력 지수(MAIX: Media Advertising Impact Index)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f Perception of Media Characteristics: Focused on Developing MAIX(Media Advertising Impact Index) model)

  • 이희준;조창환
    • 광고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113-139
    • /
    • 2016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미디어 믹스 관련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기존의 정량적 효용성이라는 하나의 잣대를 서로 상이한 매체에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매체 전략이 아닌, 매체별가치 인식에 바탕을 둔 정성적 비교 평가에 의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학계 및 업계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주요 광고 매체의 가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구체적 분석의 대상이 된 매체는 TV, 라디오, 신문, 잡지, 인터넷, 모바일, 옥외매체, 디지털 사이니지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광고 매체가 지닌 영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지표는 매체에 대한 몰입의 가능성, 수용자 도달률, 행동 타겟팅 가능성으로 조사됐다. 둘째, 인터넷은 매체별 속성 평가가 반영되어 합산된 매체 광고 영향력 지수(MAIX)에 의거할 때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매체로 인식됐다. 셋째, 전문가들의 매체별 영향력 평가는 평가 지표별로 상이하였는데, 일례로 TV는 수용자 도달률과 몰입 가능성이 높은 매체인 반면에, 행동 타겟팅에 보다 적합한 매체는 모바일 및 인터넷이었다. 본 연구는 차별화된 매체 속성 인식에 대한 파악을 통해 매체별 경쟁력을 부여하는 미디어 믹스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