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Contents

검색결과 3,122건 처리시간 0.034초

가족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II)-부부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mily Life Education(II) -special Reference to marital life education-)

  • 오윤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0권2호
    • /
    • pp.209-229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for Marital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realize the about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irst, nature conception and contents f Family Life Education, second, patterns and models for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in USA and Korea, and Third, the future of Family Life Education. Family Life Education (FLE) is an education originated in reaction to changing social condition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t deals with the perceived inadequacies of families to cope with these changes, thereby reduction social problems involved with, and improving family life. With and assumption that the studies about FLE have not been so active in Korea, the present thesis examines the FLE in Korea. The necessity of marital education in Korea Is based upon the theories of FL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lso, it atempts to formulate a tentative plan for the promotion of a FLE program in Korea. The concept of FLE in Korea was manifested in the social educational law and life-span education. specified as 4th among ten presidential regulations. It is defined as " the Life-span developmental educa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human life, to solve family problems, to develop an individual's potentiality and to strengthen the family relations. of the FLE programs, the marital education is considered one of the furcial wubjects becaused it is the core of the family life. With this premise, FLE tries to wupport the healthy mrital relations. subsequently helping to explore the family potentiality and to strengthen family ties. The objects of the FLE program are unmarried, pre-marred , and married persons. For the married persons, the FLE program should b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ir rrital status divided by the family life cycle so that they may prevent possible family problems at each stage of the family life. Also, to prevent the problems occurred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family functions, the FLE program should be provided with on the basis of a family unit,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family functions. The FLE is to hep persons begin smoothly the adaption process for a successful marital relations. For the FLE to be practised more widely systematically, research on family education--that is basic study, research and production and evaluation or the FLE to be carried out by research institute wholly responsible for it-- should be done first.

  • PDF

문헌정보학에서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연구 I - 설계 모형 적용과 성찰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 Course Developing and Analysis of Self-Reflective Journal)

  • 강지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1-34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문제는 분석단계활동(요구분석, PBL 수업적합성 판단,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PBL 운영환경 결정, PBL 수업형태 결정)과 설계단계활동(문제상황설계, 학습자원설계, 문제해결과정촉진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 PBL 운영환경설계)을 통해 도출되었다. 초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차 문제상황 수업을 진행한 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연구자는 첫번째 PBL 문제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방법이 고안/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 상황 수업 후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사항을 수렴한 연구 결과는 교과설계의 2차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PBL 모델 개발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Investig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 곽영순;김찬종;이양락;정득실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0-268
    • /
    • 2006
  • 학생의 정의적 태도는 지적 성취에 의미있는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성취 그 자체도 학교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에 대한 국내 외의 선행 연구 자료 분석과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1)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2) 과학에서 도구적 동기유발, (3) 과학(학습)에서의 긴장감, (4) 과학에서 자아 개념 등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교과목에 대한 태도 측면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내적 동기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도구적 동기 유발 및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에 대한 자신감 등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결국 이공계 기피 현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또는 작년보다는 올해 수업이 더 재미없는 이유로 내용이 어려우며, 실험이나 활동을 하지 않고, 교사가 설명위주로 진도를 나가기 위한 지루한 수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상 생활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개선, 최소한의 과학 수업 시수 확보 등의 측면에서 정의적 영역 교육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과학 내용지식과 교수방법 측면에서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The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to Suffer in the Science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

  • 지승민;박재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2호
    • /
    • pp.116-130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교육 경력 5년 이내의 초임교사들이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과학내용지식과 과학교수방법 측면에서 조사하여 이들의 초기 적응과 전문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직 경력 1-3년의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교사 3명이며, 이들의 실제 수업과 수업 자료, 그리고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이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내용지식 측면에서 초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과학적 오류나 오개념 파지, 과학적 지식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 결여, 그리고 학습 대상에 대한 부정적 개념 소유 등이 관찰되었다. 둘째, 과학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교과내용 재구성의 어려움, 폐쇄적 발문 구사, 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인도와 설명, 불완전한 비유의 사용, 그리고 실험에 대한 이해와 지도방법 부족 등과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들의 과학수업지도의 현장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대 교육과정에서 실험 비중이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콘텐츠 중심의 다양한 교육연수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요구된다.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Curriculum and Implementation of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 이상봉;박세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4-133
    • /
    • 2008
  • 이 연구는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조사를 통해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발명교실 담당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점을 반영하여 이 후 발명교실의 명확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있어 기초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지역 19개 발명교실의 교육과정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발명교실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발명교실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교육과정의 부재로 인해 지역별, 담당교사별 교육과정 운영의 편차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나 명확한 발명 교육과정의 수립이 요구된다. 둘째, 발명교실 담당교사가 가장 강조하거나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발명교육의 목적, 내용,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이 실제로 제시되거나 실시되고 있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명확한 교육과정 수립을 통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발명교실에 따라 개설반의 구성, 수업시간, 이수시간 등 발명교실 운영 방법이 다소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 편차를 극복할 수 있는 명확한 운영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발명교실 담당교사들은 교육적 측면, 행정적 측면, 재정적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개선할 방안의 연구를 통해 발명 교육과정 수립에 적절히 반영되어야 한다.

재량활동 개선을 위한 WBI 활용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regarding the WBI application for a discretionary activity improvement)

  • 위선정;정규철;이진관;장혜숙;박기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68-671
    • /
    • 2006
  • 초고속 인터넷과 웹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교육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초고속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은 정보화 사회에 대응을 할 수 있는 교육으로 이끌고자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함양을 위해 정보화교육을 강조하기 위해 7차 교육과정에 포함이 되어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 교육정보화를 위해 많은 사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는 정보화 교육에 대한 정확한 명시와 이에 대한 교육내용이 제시되고 있지 않아 재량활동의 일부분으로 컴퓨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마땅한 정보화 교육관련 교재 및 초등학생들의 수준별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대로 된 정보화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홈페이지 기반의 교수-학습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스스로 학습하고 학습에 대한 결과를 평가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게 하고, 수준별 학습을 할 수 있는 패러다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뇌과학에 기반한 연령별 학습법과 연령별 한의학적 학습방법론 비교고찰 (A Review of Domestic Research for the Brain-science Based Learning According to Age and Comparison and Consideration of Learning Methodology of Korean Medicine According to Age)

  • 조아람;박소임;강다현;서주희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3-350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learning based on brain science and the learning methodology of Korean Medicine according to disparity of age. Through this, the study aimed to provide a guideline to related Korean Medicine treatments as well as the common nurturing/educational institutions. Methods: All journals and dissertations on brain science based learning methods studied in Korea to date that could be found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RISS were implemented in the analysis. The terminology used for search was as follows: 1st search, 'Brain'; 2nd search, 'Learning', 'Education'; 3rd search, 'Baby, 'Infant', 'Child'. For the learning methodology of Korean Medicine according to disparity of age, the related contents were extracted from Donguibogam and Liuyi,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Results: A total of 30 studies, were collected as data. In the baby stage, the development and myelination of brain neurons are accelerat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highly influenced by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movement. In infancy, the frontal lobe actively develops, so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the prefrontal cortex is suggested. The brain of the infant at this stage can be developed by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child stage, the parietal and temporal lobe develop actively. Thus, programs to stimulate brain activity including brain respiration would be helpful in enhancing learning ability, concentration, etc. As evidence for learning and nurturing methodology according to disparity of age from Korean Medicine prospective, the following are listed: Location and time for sexual intercourse before pregnancy, stabilization during pregnancy, baby nurturing methods for nurturing from Donguibogam. Also Liuyi and Sasanag constitutional medicine can be the learning methodology according to disparity of age. And there are acupuncture points on each head section according to age in Donguibogam. Conclusions: Studies on 'brain-science based learning' are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Based on these studies, diverse new brain-science based learning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the learning methodology of Korean Medicine according to disparity of age in a more systematic and diverse way.

한의학교육평가원 2주기, 세계의학교육연합회(WFME)의 의학기본교육, WHO 서태평양 지역지부(WHO/WPRO) 인증 기준 간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among 2nd cycle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on Korean Medicine Education, Global Standards of WFME for Basic Medical Education and WHO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of Traditional Medicine Education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 선승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1-57
    • /
    • 2019
  • Objective :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andards for the 2nd cycle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on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Education & Evaluation (2nd IKMEE standards) and WHO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of Traditional Medicine Education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WHO/WPRO guidelines) around the global standards of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for basic medical education (WFME standard) to identify the shortcomings and improvements of 2nd IKMEE standards. Method : Each article of 2015 revised WFME standard was translated and summarized with focus on its core content. The next step was to review and analyze the corresponding contents of 2nd IKMEE standards in 2016 and the WHO/WPRO guidelines in 2005 for each item, focusing on the WFME standards. Results : All items in the fields of 3. assessment of students and 7. program evaluation in the WFME domain were absent from the 2nd IKMEE standards, and almost none of the WHO/WPRO guidelines. Most items in 1. the mission and outcomes domain, except for some items in the 1.1 mission field, the items of 2.6~2.8 fields in 2. education program domain, the items of 4. student domain except for the items of 4.3 student counseling and support field, and almost all items about quality development in WFME standards did not have a corresponding item in both the 2nd IKMEE standards and the WHO/WPRO standards. Conclusion : 1. The WFME standards are applicable to the criteria development of IKMEE standards. Several items of the WFME standards may need to be modified to apply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ine, but consensus or further study is required. 2. Both the 2nd IKMEE standards and the WHO/WPRO standards are very insufficient to meet the WFME standards. In particular, 3. assessment of students and 7. program evaluation in the WFME domain were not in the 2nd IKMEE standards. This standard needs to be supplemented.

지능정보 교육과 기술 지원 정책 및 전략 (Policy and Strategy for Intelligence Information Education and Technology)

  • 이태규;정대철;김용갑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8호
    • /
    • pp.359-368
    • /
    • 2017
  • 최근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지능정보사회'란? 지능정보기술을 기반으로 사회 전 영역에서 인간능력의 한계를 뛰어넘는 자동화가 보편화된 미래사회상을 의미한다. 특히,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데이터(또는 빅데이터) 기반 완전 자동화로의 진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자율형자동화는 인공지능을 핵심요소로 무인자동차를 지속적으로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지능정보 연구는 지능화 자체를 중심으로 지능화 논리를 고도화하여, 인간의 뇌와 지능을 대체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기 위해서 노동자의 작업 원리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단순논리를 개발하여 노동자를 로봇으로 대체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왔다.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 연구 전략 및 교육서비스에 관한 접근전략, 교육방법, 세부정책 로드맵 등을 제안하여, 지능정보 교육 정책 및 지능정보기술 연구 전략을 시행하는데 중요한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교육방법으로 기초지능교육, 지능콘텐츠교육, 지능응용교육 등의 지능정보교육의 단계적 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지능화 및 자동화가 중심이 되는 4차 산업혁명 성패를 가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지능정보기술, 지능교육콘텐츠, 지능형 교육시스템 개선을 위한 교육정책 방안을 제안한다.

가정교과의 내재적 목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trinsic Aim of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 홍은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5-84
    • /
    • 2008
  • 가정교과는 역사적으로 '가정생활의 향상'이나 '가정생활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 함양' 등 외재적 목적에 의하여 정당화 되어왔지만, 가정교과의 현실적 상황은 가정교과의 교육내용 자체의 가치에 의한 정당화와 내재적 목적에 대한 이론적 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내재적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가정교과의 교육내용으로서 가정학의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교육철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관점을 받아들일 때, 가정학은 가정생활 현상에 관한 독자적인 개념, 원리, 지식을 체계화한 '지식의 구조'이며 가정교과의 교육내용으로서 고유하고 독자적인 의미를 가진다. 가정과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목적은 이러한 교육내용 안에 들어 있으며, 그 교육내용에서 논리적으로 추론되어 나온다. 가정교과의 내재적 목적은 학습자가 가정교과의 교육내용을 잘 이해하여 일상생활의 사태를 가정학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고 확장해나가는 데 있다. 학습자는 이러한 '지적 안목'을 바탕으로 가정생활의 실제 사태에서 주어진 상황을 제대로 '해석'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가정생활에 대한 지적 안목'은 가정생활과 관련된 모든 생각과 말과 행동의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가정생활에서의 실제적 문제 해결을 의미 있게 하는 토대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가정과교육내용이 가정생활에 관한 단편적인 지식이나 사실로 파악되었다면, 가정생활에 대해 폭넓은 안목의 형성에 기여하는 가정학의 지식의 구조로 새롭게 해석되어야 한다. 나아가 가정학 지식의 이해가 학습자의 '가정생활에 관한 지적 안목'으로 통합되도록 가르친다면 가정과교육의 내재적 목적이 실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