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entulous Patients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1초

무치악 환자에서 로케이터 부착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using Locator attachment system on edentulous patient)

  • 김수엽;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76-183
    • /
    • 2014
  • 심하게 흡수된 치조제는 기능적인 하중을 견디기 어렵고 구강 조직의 유해 변화와 더불어 환자의 의치 적응을 어렵게 한다. 환자의 불편감을 해소하고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치료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로케이터 부착장치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높으며 다양한 유지력을 갖는 남자부를 보유함으로써 임상에서 볼 형태 부착장치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77세 여자환자로서 낮은 수직고경과 심한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상하악 무치악 상태였다. 이에 하악에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상악은 총의치, 하악은 로케이터 부착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 편측 소수 잔존치 환자의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를 이용한 보철치료 증례 (Rehabilitation of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s with a few unilateral remaining teeth using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A case report)

  • 이범기;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42-48
    • /
    • 2019
  • 하악 편측에 소수의 잔존치만 있는 증례에서 통상적인 국소의치로 수복하는 경우에 충분한 유지 및 저항을 얻기 어렵고, 무치악 치조제의 흡수에 따른 의치의 안정성 저하로 인해 잔존지대치에 유해한 힘이 가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경우에 다수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게 되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을 수 있으나, 해부학적, 경제적 요인에 의해 치료 방법으로 선택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적은 수의 임플란트를 전략적 위치에 식립하여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의 제작을 대안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만으로는 적절한 지지, 유지, 안정이 어려운 두 임상증례에서 소수의 임플란트를 전략적 위치에 식립하고 로케이터(Locator) 부착장치를 적용하여 3년간 경과관찰을 통해 좋은 임상 결과를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 Milled Bar 임플란트 피개의치에서 12년 간의 임플란트 주변 치주조직 및 의치의 변화 (Changes in periodontal tissue and denture around the implants in the mandibular milled-bar implant overdenture: A 12-year follow-up)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55-62
    • /
    • 2021
  • 하악은 상악보다 지지 면적이 적고, 특히 전반적인 치조골 흡수가 진행된 환자에서는 혀와 하악골의 움직임으로 인해 통상적인 총의치의 경우 의치의 안정성과 저작 효율이 현저히 낮다. 이러한 환자에 있어 소수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유지력과 안정성이 높고 발음이나 저작력 면에서도 우수한 예지성 있는 치료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의 무치악, 하악의 전반적인 치조골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 있어 상악에는 총의치, 하악에는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이후 12년 동안 임플란트 주변의 치주조직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관찰하였고, 변화 사항 및 보철물의 정기적인 관리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Marginal bone level change during sequential loading periods of partial edentulous rehabilitation using immediately loaded self-tapping implants: a 6.5-year retrospective study

  • Wang, Jing;Zhang, Zhengchuan;Deng, Feilo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3호
    • /
    • pp.133-142
    • /
    • 2022
  • PURPOSE.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suggested the practic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immediate implant function, but few studies have reported marginal bone level changes during sequential loading peri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bone remodeling of immediately loaded self-tapping implants both at each time point and during each loading period between two time poi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s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re treated with immediately loaded NobelSpeedy Replace implants between August 2008 and July 2009. Differences in the marginal bone level (MBL) at each time point and the marginal bone level change (ΔMBL) between two time points were analyzed with Bonferroni correction (P < .05). RESULTS. Overall, 24 patients (mean age, 47.3 ± 12.8 years) with 42 immediately loaded implants and a median follow-up of 6.5 years (IQR, 67.8 months) were included.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after 10 - 12 years was 95.2%. Continuous but slow marginal bone loss was observed during long-term follow-up. MBL at both 7.5 years and 11 yea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at loading, 6 months, 2 years and 4 years (P < .05). No bone loss difference was found in any period before 4 years of follow up (P > .05). The loading period of 4 years to 7.5 years showed the largest ΔMBL compared to those of other time periods (P < .05). CONCLUSION. Slight bone loss occurred continuously, and more radical changes of marginal bone can be observed during the period of 4-7.5 years. Thus, long-term effective follow-up of immediately loaded implants is needed.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치료를 위한 치료법 비교: 증례 보고 (Comparison of treatments for maxillary full denture and mandibula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A case report)

  • 한진원;표세욱;장재승;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73-81
    • /
    • 2023
  •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은 전통적인 총의치 치료를 통해 충분한 안정, 지지 및 유지를 얻기 용이하지만, 하악은 해부학적 한계로 인하여 치료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동반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공 전방에 4 - 5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하악의 의치를 고정해주는 하이브리드 형 고정성 총의치로 치료할 수 있고,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경우라면 다수 유닛으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시대가 지남에 따라 수술방식이나 사용하는 재료 등이 다양하게 변해왔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총의치를 사용하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하악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치료의 증례를 중심으로 치료 방법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Effect of implant diameter and cantilever length on the marginal bone height changes and stability of implants supporting screw retained prostheses: A randomized double blinded control trial

  • Heba Ezzeldin Khorshid;Noha Ossama Issa;Amr Mohamed Ekram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3호
    • /
    • pp.101-113
    • /
    • 2023
  • PURPOSE.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mplants' two different diameters and cantilever lengths on the marginal bone loss and stability of mplants supporting maxillary prostheses. MATERIALS AND METHODS. Ninety-six implants were placed in sixteen completely edentulous maxillary ridges.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implants were placed with a cantilever to anterior-posterior AP spread length (CL:AP) at a ratio of 1:3; Group B, implants were placed with a CL:AP at a ratio of 1:2. Patients were further divided into four sub-groups: Groups A1, A2, B1, and B2. Groups A1 and B1 received small diameter implants while Groups A2 and B2 received standard diameter implants. Bone height and stability measurements around each implant were performed at 0, 4, 8 and 24 months after definitive prostheses delivery.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ean implant stability and height values revealed an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1 and Group A2 at all the different time intervals while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Group B1 in comparison with Group B2. Results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Group A1 in comparison with Group B1 and an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2 and Group B2 at all the different time intervals.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small diameter implants placed with a CL:AP at a ratio of 1:3 provided predictable results and that the 1:2 CL:AP significantly induced more critical bone loss in the small diameter implants group,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long term success and survival of implants

전신적 질환자 및 예후가 불량한 환자에서 Valplast$^{(R)}$ 탄성 국소의치의 적용 (Valplast$^{(R)}$ flexible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 a patient with medically compromised conditions : a clinical report)

  • 최봄;김성훈;이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95-300
    • /
    • 2009
  • 연구목적: 현대의학의 발달로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부분 무치악이나 완전 무치악 환자의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고령 환자는 전신적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보철 치료 시에도 전신적인 건강 상태 및 경제적 여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고령의 환자나 전신적 질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등의 치료보다 가철성 국소의치가 선호되고 실제로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기존의 금속-아크릴 국소의치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전치부에 금속 클래스프가 위치하여 비심미적이고 미중합 레진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으며 지대치에 가해지는 응력이 크며, 파절 시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지대치에 주조 금관의 제작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고가의 보철비용을 부담하여야 하고 제작과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장기간의 치료와 여러 번의 내원이 필요하다. 반면, 최근 이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Valplast$^{(R)}$ 탄성 국소의치는 Nylon 재질로 생체친화성이 높고 심미적이고 가벼우며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 간단한 진료 과정과 짧은 제작기간 후 의치를 장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장기간의 치료기간과 다수의 내원이 어려운 전신 질환자 및 예후가 불량한 환자에서 Valplast$^{(R)}$ 탄성국소의치를 적용한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결과 및 결론: 증례에서 환자들은 만성 질환, 암 등의 전신적, 소모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개구 제한 또는 예후가 불량한 잔존 지대치 등 통상적인 보철치료가 힘든 경우였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기존의 금속-아크릴 국소의치는 신체적으로나 경제적인 이유로 적용이 어려워 대신 추가적인 보철물의 제작이 필요없고, 제작과정이 간단한 Valplast$^{(R)}$ 탄성 국소의치를 적용하였다. 환자들은 평균 1-2회의 주기적 체크를 했고 현재까지 동통이나 파절 등의 불편감이 없이 잘 사용하고 있다. 여러 증례에서 기존의 가철성 의치의 단점을 보완하는 탄성의치를 이용하여 만족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전악 무치악 환자에서 골이식술을 선행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fully edentulous patient with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preceding bone graft: A case report)

  • 안주남;이정진;서재민;김경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7-87
    • /
    • 2018
  •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치료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수복, hybrid 고정성 보철수복, 임플란트 유지 혹은 지지 피개의치 등이 있으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 발음 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보인다.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을 계획한 경우 발음, 심미, 구강 위생 등을 고려한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진단이 필수적이다. 진단 과정을 통해 파악된, 보철물이 필요한 곳에 임플란트를 식립(prosthetic-driven)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치조골과 연조직 지지 등이 필요하며 이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광범위한 골이식술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증례는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 상실로 인해 치조골 흡수가 심하게 진행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치조골 증대술을 선행하고 임플란트 식립 후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최종 보철물에 대한 고려 없이 전악 임플란트 식립된 환자의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Fixed prosthesis restoration in edentulous patient fully implanted without considering definitive prosthesis: A case report)

  • 천영훈;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27-435
    • /
    • 2017
  • 임플란트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최종 보철물의 형태이며, 최종 보철물의 형태가 결정된 후 잔존골 분석 및 식립할 임플란트의 종류, 개수, 위치 등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증례는 상악 우측 측절치를 제외하고 전악에 임플란트가 식립된 채로 내원한 환자에 대해 고정성 보철 수복한 증례이다. 최종 보철물에 대한 고려 없이 임플란트가 식립되었기 때문에 먼저 총의치를 제작하여 안모 분석 및 고정성 보철 수복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고정성 보철 수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진단 납형, 방사선 영상 및 디지털 분석을 통해 최종 보철물에 사용할 수 없는 임플란트를 치료계획에서 제외한 후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4개월 동안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사용하면서 안정적인 교합과 심미적인 만족을 보였기에 CAD/CAM (Computer aided design and computer aided manufacturing)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고, 치료 종료 후 3개월 동안의 평가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milled bar and Locator in partially edentulous maxilla: A case report)

  • 김지현;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37-144
    • /
    • 2020
  • 다수 치아가 상실된 부분 무치악 환자의 전통적인 치료 방법으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가철성 국소의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수의 임플란트를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유지와 지지를 얻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높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가지며 심미적이다. 또한 소수의 임플란트 식립을 통해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며,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진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에서 다수 치아를 상실한 부분 무치악 환자로 초기에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치료 계획하였으나 여러 요인에 의해 milled bar와 Locator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로 치료 계획을 변경하였다. 이를 통해 기능과 심미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