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tomycorrhizal forma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Picea mariana 생장(生長)을 억제(抑制)하는 Kalmia angustifolia 에 대한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영향(影響) (Overcoming Kalmia-Induced Growth Inhibition of Picea mariana by Mycorrhizal Inoculation)

  • ;;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29-444
    • /
    • 1998
  • Picea mariana 생장을 억제하는 Kalmia angustifolia에 영향을 주는 외생근균을 조사 선발하였다. 11개 외생근균중에서 19계통을 선발하여 Kalmia 잎침출물이 들어있는 배지에 P. mariana 치묘와 함께 근균을 접종하여 자라는 형태와 생장양상을 조사하였다. Kalmia 잎추출물을 첨가한 액체배지에서는 균사의 건중량을, 한천배지에서는 코로니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9개 균주에서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나머지 10개 균주에서는 반대로 증가되거나 Kalmia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배양배지의 pH가 3-4일 때는 생장을 억제 받는 근균도 있었으나 pH와 잎침출물을 조합한 조건하에서는 더욱 강하게 억제되었다. 분리된 13개 계통은 순수배양에서 Kalmia 잎침출물 25%와 함께 배양한 P. mariana에서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Paxillus involutus(NF4), Cenococcum geophilum(GB12), Laccaria laccata(GB23), E-strain(GB45)계통에서는 Kalmia 잎추출물 50%에서 배양한 결과 다른 계통보다 많은 외생근균이 형성이 되었다. 이러한 근균을 미리 접종한 P. mariana를 Kalmia 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후 온실 안에서 4개월동안 Kalmia와 갈이 재배하였다. P. involutus, L. laccata 와 E-strain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많은 근균(흡수근외 77-91%)이 형성되었으나 C. geophilum를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근균이 비교적(흡수근의 32%) 적게 형성되었다. 외생균근이 대부분의 치묘에서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근균의 90% 이상이 접종근균에서 생겨났다. 근균의 지속적인 생장은 살아있는 Kalmia 식물개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involutus, L.laccata와 E-strain과 같이 처리한 치묘 근균의 80% 이상과 C. geophilum을 처리한 치묘 근균의 53%가 접종된 균주의 영향을 받았다. 대조구에서는 토착균주에 의해 약 45%의 짧은 뿌리의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L. laccata와 C. geophidum는 Kalmia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치묘의 근균행성을 촉진하였다. 균주를 접종한 경우 근균형성율은 pH5보다 pH4에서 4-15% 더 낮았으며 L. laccata를 접종한 경우 심하게 억제되었다. P. involtus에 접종한 치묘는 L. laccata를 E-strain를 접종한 치묘보다 줄기와 뿌리생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involtus와 L. laccata를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의 치묘보다는 건중량이 많고 키가 훨씬 컸다. E-strain에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1차 측근 수가 매우 작았으며 줄기 건중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형질, 예를 들면 흡수근, 뿌리 건중량, 수고 등은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C. geophilum에 접종한 치묘는 1차 측근수를 제외한 다른 생장 특징에서는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 PDF

전남지방(全南地方)에서 분리(分離)된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접종(接種)에 의한 상수리나무묘목(苗木)의 생장반응(生長反應)과 균근(菌根)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Studies on Growth Response and Ectomycorrhizal Identification of Quercus acutissima Seedling Inoculated with Ectomycorrhizal Fungi Isolated in Chonnam Province)

  • 오광인;정남철;박화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66-380
    • /
    • 1993
  • 상수리나무 묘목(苗木)의 균근(菌根)은 정단형(頂端型)(apical type), 선형(線型)(linear type), 곤봉형(棍棒型)(clavate type), 확산형(擴散型)(diffuse type), 피라미드형(pyramidal type), 산호형(珊瑚型)(coralloid type), 괴근형(塊根型)(nodular type)으로 식별(識別)되었다. 균근형성(菌根形成) 초기(初期)에는 모든 균근(菌根)의 표면(表面)이 매끈(velvety) 하였고, 9월 30일의 Pisolithus tinctorius(Pt) 균(菌)들은 왕성(旺盛)한 Felt질(質)의 담황색 균투(菌套)를 형성(形成)하였고, 그외 균근균(菌根菌)에 의해서 형성(形成)된 균근(菌根)은 모두 Felt질(質)의 백색(白色) 균투(菌套)가 발달(發達)하였다. 균근형성(菌根形成) 초기(初期)에는 균근(菌根)이 연유색(煉乳色)이나 연유(煉乳)빛 갈색(褐色)으로 부풀어 오른 형태(形態)를 하고 있었고 얇은 균투(菌套)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횡단면(橫斷面)과 종단면(縱斷面)을 관찰(觀察)하였을 때 Hartig net가 형성(形成)된 외피세포(外皮細胞)(epidermal cell)와 한층(層)의 피층세포(皮層細胞)(cortical cell)가 방사상(放射狀) 배열(配列)을 하고 있었다. 두꺼운 균투(菌套)를 가지고 있는 9월 30일의 균근(菌根) 횡단면(橫斷面)의 방사상배열(放射狀配列) 외피(外皮), 피층세포층(皮層細胞層)의 폭(幅)은 초기상태(初期狀態)와 큰 차이가 없었다. Pisolithus tinctorius KJ-1 균주와 Pisolithus tinctorius #250 균주는 같은 종(種)인데도 산호형(珊瑚型) 균근(菌根)이 Pt #250 접종묘(接種苗)에서는 많았으나 Pt KJ-1 접종묘(接種苗)에서는 형성(形成)되지 않았고, 선형(線型) 균군(菌根)의 평균(平均)길이는 Pt KJ-1와 Pt #250이 각각(各各) 2.21mm와 1.32mm로서 Pt KJ-1의 균근(菌根)이 1.5배 가량 길었다. Pt KJ-1, Pt #250, Lycoperdon pedicellatum, Scleroderma verrucosum에 의해서 접종(接種)된 묘목(苗木)의 총건중(總乾重)은 Suillus granulatus와 Laccaria laccata에 의해서 접종(接種)된 것보다 높았다.

  • PDF

배양토(培養土), 균근접종(菌根接種) 및 질소시비(窒素施肥) 수준(水準)이 2년생(年生) 해송묘(海松苗) 생장(生長)과 균근형성(菌根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Soil Mixtures, Nitrogen Levels and Ectomycorrhizal Inoculation on Formation of Mycorrhizae and Growth of Two - Year - Old Black Pine Seedlings)

  • 오광인;박화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309-315
    • /
    • 1990
  • 본(本) 실험(實驗)은 배양토(培養土), 모래밭버섯버섯균(菌) 접종(接種) 및 질소시비(窒素施肥)가 1년생(年生) 해송분묘(海松盆苗)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1. Vermiculite 구(區)에서는 사질양토구(砂質養土區)에서 보다 세근(細根) 및 균근수(菌根數)의 증가(增加)를 볼 수 있었고 묘고(苗高) 및 총건중(總乾重)이 증가(增加) 하였다. 2. 모래밭버섯균(菌) 접종구(接種區)가 무접종구(無接種區)보다 2년생(年生) 해송묘(海松苗)에 있어서 제일차(第一次) 측근수(側根數), 세근수(細根數) 및 총건중(總乾重)이 증가(增加)가 현저(顯著)하였다. 3. 2년생(年生) 해송분묘(海松盆苗) 생장(生長)은 전년도(前年度) 균근균(菌根菌) 접종(接種) 및 시비수준(施肥水準)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았다.

  • PDF

균근연구(菌根硏究)의 농림업(農林業)에의 응용(應用) (Application of Mycorrhizal Research to Agriculture and Forestry)

  • 이경준;이돈구;이원규;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21-142
    • /
    • 1983
  • Recently mycorrhizal research has been one of the most fast-growing research areas in modern plant science and microbiology. The application potential of mycorrhizal techniques to agriculture and forestry is enormous in view of the ubiquitous nature of mycorrhizae and known benefits of mycorrhizae to host plants. Unfortunately, very few scientists in Korea are currently involved in mycorrhizal research. When a team of American plant pathologists visited Korea in September 1982 to participate in the Korea-U.S.A. Joint Seminar on Forest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y were surprised by the principal author's statement that there was no single research project on mycorrhizae sponsored by Korean government or any scientific institutions. The author initiated a few years ago a research project on the ecology of tree mycorrhizae with a foreign financial support. Major areas of interest were survey of ectomycorrhizae in relation to soil fertility, taxonomic distribution of mycorrhizae among woody plants, identifica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and growth response of woody plants to artificial inoculation. In spite of the enormous application potential of mycorrhizae to agronomic plants, the subject of mycorrhizae has not been recognized by Korean agronomists, foresters or pathologists. The purpose of this review rather written in Korean is to introduce the techniques of mycorrhizal research to Korean scientists and to urge them to participate in challenging new scientific field which might bring us a remarkable increase in crop productivity and tree growth through manipulation of this unique symbiosis. In this review, following topics were discussed in the same order: introduction; brief history of mycorrhizal research;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mycorrhizae; distribution of mycorrhizae in plant kingdom and in soil profile; physiology of mycorrhizae (functions, mineral nutrition, mycorrhizal formation); interaction of mycorrhizae with soil-born plant pathogens. mycorrhizae in nitrogen-fixing plants; application of mycorrhizal techniques to nursery practices (isolation, culture, inoculation, and response); prospect in the future.

  • PDF

흰가시광대버섯(Amanita virgineoides) 발생지역의 기온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collection area of Amanita virgineoides)

  • 이강효;한재구;조재한;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4-337
    • /
    • 2018
  • 유버섯자원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용용 흰가시광대버섯(A. virgineoides)의 정점조사지역 내 발생양상과 기온의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버섯발생전 60일간의 기온변화는 조사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발생전 20일간의 기온분포는 발생여부와 조사지역에 따라 상반되는 양상을 보였다. 흰가시광대버섯은 활물공생균으로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등과 같은 기상환경뿐만 아니라, 식물분포, 토양미생물, 토양유기물 등 다양한 환경요인이 자실체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변화 양상만을 분석한 결과, 흰가시광대버섯의 발생과 기온과의 관련성은 조사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흰가시광대버섯의 재배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식물상과 토양환경에 대한 정밀한 조사분석을 통해 자실체발생을 좌우하는 요인의 구명이 필요하다.

상수리나무에 대(對)한 모래밭버섯균(菌)과 알버섯균(菌)의 접종효과(接種效果) (Inoculation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 with Pisolithus tintorius (Pers.) Coker et Couth and Rhizopogon rubescens(Tul.) Tul)

  • 이천용;이원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5-88
    • /
    • 1987
  • 상수리나무에 대한 모래밭버섯균(Pt)와 알버섯균(Rr)의 접종효과(接種效果) 및 적정(適正) Pt 접종량(接種量)을 구명(究明)코저 토양소독(土壤消毒)을 실시(實施)하고 균근균(菌根菌)을 접종(接種)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균근형성율(菌根形成率)은 생장(生長) 2년차(年次)에 Pt가 최고(最高) 42%, Rr이 36%로 비교적 낮았으나 1년차(年次)에는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2. 상수리나무묘목(苗木)의 생장(生長)은 토양소독구(土壤消毒區)에서 우세하였으며 특히 Pt 배량접종구(倍量接種區)가 가장 좋았다. 3. Rr 접종구(接種區)는 Pt 접종구(接種區)와 비슷한 생장(生長)을 하여 Rr 균(菌)의 접종효과(接種效果)가 나타났다. 4. 토양소독후(土壤消毒後) 균접종(菌接種)으로 지하부(地下部) 중량(重量)이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며 따라서 조림후(造林後) 활착율증대(活着率增大)가 기대된다. 그러나 토양무소독구(土壤無消毒區)에서는 균접종효과(菌接種效果)가 뚜렷하지 않았음. 5. 엽내양분함량(葉內養分含量)은 N과 $P_2O_5$에서 처리간(處理間)의 차(差)없이 상당히 높았고 $K_2O$와 CaO는 토양소독접종구(土壤消毒接種區)가 높아 균접종(菌接種)에 의한 양분흡수(養分吸收)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균근균(菌根菌), Pisolithus tinctorius가 생산(生産)하는 Gibberellin양(樣) 활성(活性) (Gibberellin-like Activities Produced by mycorrhizal fungus, Pisolithus tinctorius)

  • 박근형;강성훈;김동연;김관;이종욱;정지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1호
    • /
    • pp.40-44
    • /
    • 1984
  • 고등식물(高等植物)이 균근균(菌根菌)과 공생관계(共生關係)를 이루면 생장촉진(生長促進)의 특이현상(特異現象)을 보이는데, 이러한 생리현상(生理現象)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침엽수의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주형성균(主形成菌)인 Pisolithus tinctorius가 생산(生産)하는 GA활성(活性)을 검색(檢索)하였다. P. tinctorius 배양액(培養液)에서 추출(抽出), 용매분획(溶媒分劃), Sephadex LH-20관(管)크로마토그래피, Silica gel분배(分配) 크로마토그래피, TLC에 의(依)해 분획(分劃), 정제(精製)된 추출물(抽出物)을 단은방주(短銀坊主)를 사용(使用)한 생물검정(生物檢定)에 의(依)해 GA활성(活性)을 조사한 결과 Silica gel 분배(分配) 크로마토그래피의 초산(醋酸)에칠 $30{\sim}60%$ 용출구(溶出區)와 TLC의 Rf $0.1{\sim}0.4,\;0.6{\sim}0.8$에서 GA활성(活性)을 나타냈다. GA활성(活性)은 유묘개체당(幼苗個體當) 배양추출액(培養抽出液)의 처리양을 증가하면 활성(活性)도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활성(活性)은 P. tinctorius 100ml당(當) $GA_3$ 0.1ng에 상당(相當)하였다.

  • PDF

모래밭버섯 균근균을 인공접종한 소나무를 이용한 산불피해지 비탈면의 녹화가능성 (Potentials for reforestation on forest fire-damaged slope land by transplanting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oculated artificially with Pisolithus tinctorius)

  • 정주해;이종규;이상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99-107
    • /
    • 2003
  • 모래밭버섯 (Pisolithus tinctorius) 균근균을 접종한 소나무와 접종하지 않은 소나무를 6개월간 육성하여 산불훼손지에 식재 3개월후에 묘목의 고사율을 조사한 결과,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의 경우는 3.5%만이 고사하였으나, 균근균 무접종 소나무 묘목는 29.5%만이 생존하였다. 모래밭버섯 균근균을 접종한 소나무 실생묘의 뿌리에 Y분지형의 균근이 형성되었고, 균근 형성율은 모래밭버섯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의 경우에는 약 82%, 무접종 소나무묘목은 52%로 나타났다. 모래밭버섯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을 무접종 소나무묘목에 비교하였을 때 3개월.6개월.9개월 경과시 체장은 각각 63%.35%.18%, 생중량은 각각 206%.114%.70%, 건중량은 각각 187%.109%.63% 높게 나타났고, T/R율은 산출한 결과 9개월 경과시 모래밭버섯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은 1.75, 무접종 소나무묘목은 1.90으로 모래밭버섯 균근균접종 묘목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장이 균형있게 촉진되었다.

  • PDF

광도(光度)와 Frankia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 및 Alpova diplophloeus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접종(接種)이 루브라 오리나무 묘목내(苗木內) 삼자공생관계(三者共生關係) 발달(發達)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ight and Inoculation of Frankia and Alpova diplophloeus on the Tripartite Symbioses Development in Alnus rubra Bong. Seedlings)

  • 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306-318
    • /
    • 1995
  • 광결핍(光缺乏)과 Frankia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 그리고 Alpova diplophloeus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이 루브라 오리나무(Alnus rubra Bong.) 묘목의 생장, 공중질소고정(空中窒素固定), 균근발달(菌根發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파종묘(播種苗)에 Frankia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을 접종하거나 질소(窒素)를 시비(施肥)하고, 또는 A. diplophloeus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 포자(胞子)를 접종하여 여과된 공기로 순환시키는 인공생장실에서 길렀다. 20주가 지난 묘목을 3 수준의 광도(光度) 680, 320, $220{\mu}mol/m^2/s$ PPFD(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에서 3주일 동안 기른 결과, 광도(光度) 220 PPFD에서는 균근(菌根)과 뿌리흑의 발달, 광합성(光合成) 및 질소고정(窒素固定)속도 그리고 식물생장량이 감소하였고, 320 PPFD에서는 광합성(光合成) 속도만이 감소하였다. Frankia로 접종된 묘목은 질소(窒素)가 시비(施肥)된 묘목보다 균근형성율(菌根形成率)과 묘목생장율이 높았다. A. diplophloeus 포자(胞子)를 접종된 묘목은 비접종보다 생장율은 높았으나 뿌리혹은 발달과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두 공생균(共生菌)이 묘목의 광합성(光合成)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 diplophloeus 균근균(菌根菌)이 묘목의 생장과 뿌리혹 발달에 기여하는 것 보다는 Frankia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이 묘목의 생장과 균근(菌根)발달에 더 크게 기여하였다.

  • PDF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과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이 졸참나무 묘목생장(苗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Ectomycorrhizae ans Nitrogen Levels on the Growth of Quercus serrata Seedlings)

  • 오광인;박문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60-167
    • /
    • 1989
  • 졸참나무 묘목(苗木)을 대상(對象)으로 모래밭버섯균(菌)의 접종유무(接種有無)와 질소시비(窒素施肥) 수준(水準)에 따른 균근발달(菌根發達), 묘목생장(苗木生長) 및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평균(平均) 균근(菌根) 형성율(形成率)은 61.75%로 나타났으며 질소수준(窒素水準)에 따라서는 $300{\mu}g/ml$에서 가장좋은 반응(反應)을 보였다. 2) 뿌리발달(發達)에 있어서 균근균(菌根菌) 접종구(接種區)는 세근수(細根數), 일차측근수(一次側根數) 그리고 전체(全體)뿌리길이가 각각(各各) 평균(平均) 34.3%, 30.7%, 17.2% 증가(增加)하였다. 3) 균근균(菌根菌) 접종(接種)이 묘고(苗高), 엽면적(葉面積), 총건중(總乾重), 그리고 부피생장(生長)에 유리(有利) 하였으며 비접종구(非接種區)에 비(比)해 각각(各各) 평균(平均) 26.9%, 52.3%, 31.7%, 85.7% 증가(增加)하였다. 그리고 대부분(大部分)의 묘목생장(苗木生長)은 질소(窒素) $300{\mu}g/ml$ 수준(水準)에서 가장 좋았다. 4) 균근균(菌根菌) 접종묘목(接種苗木)은 비접종묘목(非接種苗木)에 비해 N. P. K. Ca등(等)의 무기양분(無機養分) 흡수(吸收)가 촉진(促進) 되었으며 묘근발달(苗根發達)과 묘목생장(苗木生長)에서와 같이 균근균(菌根菌) 접종구(接種區)의 $300{\mu}g/ml$ 수준(水準)에서 가장 많은 양료흡수(養料吸收)를 촉진(促進)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