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system disturbance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1초

하천정비에 의한 하천의 물리적 교란 평가 - 남강과 영천강을 대상으로 - (Assessment of Physical Stream Disturbances by River Improvement - Case Studies of Nam River and Youngcheon River -)

  • 김기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83-97
    • /
    • 2009
  • The objects of study is to propose criteria for physical river disturbance assessment and as case study to show the application results for river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he river disturbance assessment method for past disturbance process and the present-day potential natural state of stream is proposed. To assess the disturbance of the Youngcheon River caused by river improvement, One ares of Nam River was selected for the reference reach and two areas of Youngcheon River we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 reach. And these reach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according to applying criteria of the river disturbances assessment. The assessment indices were physical factors as like epifaunal (bottom), embededness, velocity/depth regime, sediment deposition, channel flow status, channel alteration, frequency of riffles, bank stability, vegetative protection and riparian zone etc.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river environment in Youngcheon River area was disturbed by artificial revetment and bed excavation, consequently this disturbance give rise to impact of ecosystem in river. Hereafter, the criteria for river disturbance assessment are needed to consider various river characters as bed materials and bed slop etc.

생태계교란식물 가시상추의 발생특성과 관리방안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s of Lactuca scariola L., an ecosystem disturbance plant)

  • 이인용;김승환;이용호;홍선희
    • 환경생물
    • /
    • 제40권3호
    • /
    • pp.239-246
    • /
    • 2022
  • 가시상추는 도로변, 초지, 철도변, 주택가, 밭둑 등 도처에서 생육하는 생태계교란식물 중의 하나이다. 가시상추는 일반적으로 가을에 발생하여 로제트 형태로 월동하고 이듬해 초여름에 꽃을 피고 종자를 맺는다. 가시상추의 종자는 20℃ 이상만 되면 휴면성이 없이 즉시 발아할 수 있다. 가시상추 종자 속의 내생세균에 의해 가뭄 견딤성이 강해 도로변에서도 잘 생육할 수 있다. 가시상추는 50주 m-2이상의 밀도에서 콩 수확량의 60~80% 손실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다른 생태계교란식물의 선구자 역할을 하여 토착식물과 경쟁하기 때문에 제거하는 것이 좋다. 여러 가지 방제방법 중 화학적 방제법이 가장 효과적이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토양처리제인 oxyfluorfen와 pendimethalin 등이 가시상추의 발생을 억제하였다. 경엽처리제는 glyphosate, glufosinate-ammonium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경엽처리제 중 2,4-D, dicamba, MCPA 등에 저항성을 보이는 가시상추가 발생하였기에 작용점이 다른 제초제 살포를 권장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기법의 경관생태학적 접근방안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es to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정흥락;홍선기;이현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73-85
    • /
    • 2005
  • Natural disturbance and environmental pressure on natural ecosystems are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caus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large-scale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decreasing biodiversity and habitat fragmentat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in Korea has been focused on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auna and flora as major evaluation aspects in ecosystem assessment. It is well known that those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fauna strongly depend 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habitat and ecosystem. However, there is no items to assess habitat and ecosystems of spatial ecological system in EIA.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develop the EIA items to consider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abitat and ecosystem and those ecological dynamics as well as species level. In this stream, landscape ecology is emerging discipline to examine spatial pattern and ecological process within/between habitats and ecosystems.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as a special tool for ecosystem evaluation, has been appropriately adopted to the EIA system in the advanced countries. This review paper tries to introducing the possibilities of landscape ecological concept into the Korean EIA system.

내린천 상류 유역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lingensis) 서식지 자연성 평가 (Evaluation on Watershed Natural Habitat Assessment for Conservation of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in Naerin Upstream)

  • 김정은;이황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3호
    • /
    • pp.73-84
    • /
    • 2023
  • 본 연구는 수생태계 생물다양성과 자연 서식지 환경을 유역 수준에서 평가하기 위해 수질과 수생태 분야를 중심으로 통합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지표별 결과 특성을 분석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자연성 평가체계는 인간 활동에 의한 교란, 서식지 다양성, 생물다양성, 생태계 구조의 4가지 평가분야와 7개 세부 평가지표로 구성하였다. 하천 생태계의 서식지 보전을 위해 평가 대상 생물군으로 어류를 활용하였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열목어와 최대 서식지인 계방천과 내린천을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수역은 대부분 하천차수가 낮은 산간계류 형태로 열목어의 공서어종은 금강모치와 참갈겨니로 분석되었다. 자연성 평가 결과, 교란 현황 분야에서 본류보다 지류에서 제방 식생이 안정적인 환경을 보였으며, 외부 교란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식지 다양성 분야에서는 서식지 평가 지수가 평균 200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최적의 생물서식 환경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물다양성 분야에서는 민감종의 비율이 높고,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며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로 분석되었다. 생태계 구조 분야에서는 생태지표특성 메트릭과 멸종위기야생생물의 출현에 따른 점수 편차가 큰 특성을 보였으나, 대체로 하천생태계 건강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목어의 출현 유무에 따라 서식지 환경에 차이를 보이면서 자연성 평가 결과에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계 변화 관찰 목적에 따라 자연환경 변화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하천생태계보전을 위한 평가체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역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산림 내 침입교란종 출현현황 및 서식특성 연구 (Current Status of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and Its Habitat Characteristics in Urban Forest)

  • 김은영;김지연;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3-102
    • /
    • 2016
  • An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has caused harm to biodiversity and ecosystem. To address the issue,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habitat for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is considered for forest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a status of plant species by field survey based on belt transect method in the capital areas and established a predictive model for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by logistic regression. As results of the study, the number of herb, vine, and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and a canopy cover of tree would decrease from the forest edge to core areas (p<0.001). The predictive model was derived with variables of altitude, Topographic Wetness Index, distance to forest edge, and canopy cover of tree. It can be useful in estim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es and predicting its spatial distribu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pathway of introduction, spread, and possibility of germination for understanding the status of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in more depth.

침입교란종 개념 정립 및 영향요인 고찰 (Definition of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and its Influence Factor: Review)

  • 김은영;송원경;윤은주;정혜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5-170
    • /
    • 2016
  •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finition of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for a sustainable management and biodiversity, and derived the influence factors caused by the species. To define the species, the paper reviewed similar words such as alien species and invasive species, using standard definitions. Also reviewed the results of recent research on the factors of the species. The paper defined the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as an species whose establishment and spread threaten ecosystems, habitats or species with economic or environmental harm including native and non-native. Through the reviews, The factors were classified as geographic (altitude, slope, and soil, etc.), climate (temperature, precipitation, climate change, etc.) and, anthropogenic (land use, population, road, and human activity, etc.), and species &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property, local-species richness, and canopy, etc.). Especially, human activity such as urbanization and highways may be associated with both higher disturbance and higher propagule pressure. In the further study, it is required development of mitigation strategies and vegetation structure model against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in urban forest based on this study.

외래식물의 서식처 유형에 따른 분포특성 - 한국 경상권을 대상으로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by Habitat Type of Alien Plants - For Gyeongsang Area in Korea -)

  • 이정민;김의주;이효혜미;조규태
    • 생태와환경
    • /
    • 제54권2호
    • /
    • pp.142-150
    • /
    • 2021
  •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ien plants in various habitat types, 249 sites were selected from four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Gyeongsang region of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across nine different habitat types. A total of 115 species of alien plants were collected; comprising 23 families, 73 genera, 112 species, and 3 varieties. Species from the family Compositae were the most common at 33.0%. Raunkiaer's life forms had the highest occurrence rate with 70 species(60.9%) of therophytes(Th) followed by 30 species (26.1%) of hemicryptophytes (H) and 8 species (7.0%) of geophytes (G). The distributions of alien plant species per habitat type were: 81 species on the roadside; 80 species on vacant lots and artificial habitats; 67 species in streams; 53 species in grasslands; 47 species in cultivated lands; and 39 species on the coast. Since 2017, the number of alien plants has increased in Gyeongju-si, Cheongdo-gun, and Pohang-si, and decreased in Ulsan Metropolitan-si. In each region, 614 taxa were observed. The invasive alien species, Sicyos angulatus, Hypocaeris radicata, and Solanum carolinense, were observed for the first time and are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the disturbance of the ecosystem.

2020년 여름 섬진강 대홍수 이후 하천 수목 분포에 대한 공간 점 패턴 분석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of Riparian Tree Distribution After the 2020 Summer Extreme Flood in the Seomjin River)

  • 이건학;조은숙;조종훈;이철호;김휘래;백동해;김원;조강현;김대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2호
    • /
    • pp.83-92
    • /
    • 2022
  • 2020년 여름, 한반도 남부를 강타한 대홍수는 섬진강 하천 생태계를 크게 교란시켰다. 홍수의 피해를 입은 하천 수목 중 일부는 고사하였고, 또 다른 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느 정도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 홍수 후 새로 자라난 수목도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란된 하천 생태계가 회복하는 과정을 서로 다른 특성의 수목 간 공간적 인접성을 통해 설명하였다. 공간 점 패턴 분석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결과, 새로 발생한 수목과 홍수 이전부터 존재하였던 수목은 서로 공간적으로 군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다 세밀한 분석을 통해 새로 발생한 수목은 기존 수목 중 회복한 수목보다 회복되지 않은 수목과 더 강하게 군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를 통해 촉진적 (facilitative) 상호작용 속에 가려진 경쟁적 (competitive) 상호작용을 포착할 수 있었다. 기존 수목에 의한 서식처 개선 효과는 새로 발생한 수목의 생장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나, "살아 있는" 기존 수목은 새로 발생한 수목과 한정된 자원을 두고 경쟁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는 전지구적인 기후변화의 맥락 속에서 국내 하천 생태계가 마주할 강하고 빈번한 자연적 교란에 대비할 새로운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학계에서는 환경 요인을 설명 변수로 하는 생태 모델링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수목 개체들 간 상대적 위치 관계로 대표될 수 있는 개체 간 상호작용 역시 생태계 변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위성영상과 자기조직화 분류기법을 이용한 산림생태계교란 탐지: 우박 피해지와 매미나방 피해지의 사례연구 (Detection of Forest Ecosystem Disturbance Using Satellite Images and ISODATA)

  • 김대선;김은숙;임종환;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1호
    • /
    • pp.835-846
    • /
    • 2020
  • 최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고 이상기상 현상이 빈번해짐에 따라 산불, 산사태 이외에도 우박, 매미나방과 같은 흔치 않은 형태의 산림생태계교란이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RapidEye와 Sentinel-2 영상에 ISODATA(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Technique Algorithm)를 적용하여, 2017년 화순의 우박 피해지와 2020년 치악산의 매미나방 피해지를 분석하였다. 우박 피해지의 경우, 본연구의 6월 영상분석과 선행연구의 7월 현장조사를 종합해볼 때, 우박에 의해 수목에 외상이 생긴 후에 가뭄이 겹치면서 6월에서 7월로 갈수록 피해의 심각성이 보다 더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20년 치악산의 매미나방 피해지에서는 6월 영상에서 상당한 나뭇잎 피해가 발견되었으며, 원주시에 인접한 낮은 고도의 사면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의해 유발된 다양하고 특이한 산림생태계교란을 탐지함에 있어 위성원격탐사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에 틀림없으며, 우리나라에서 2024년 발사 예정인 농림업중형위성은 이와 같은 산림생태계교란을 감시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et Ecosystem Productivity Determined by Continuous Measurement Using Automatic Sliding Canopy Chamber

  • Kim, Gun-Yeob;Lee, Seul-Bi;Lee, Jong-Sik;Choi, Eun-J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79-1186
    • /
    • 2012
  •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arbon cycle dynamics of an agro-ecosystem, an accurate assessment of seasonal and daily $CO_2$ flux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crop productivity. We developed the automatic sliding canopy chamber (ASCC) system that measured continuous net ecosystem productivity (NEP) over whole growing season under the natural meteorological rhythm. The ASCC was composed of two main parts which were sliding part for measuring NEP,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hamber (AOCC) for measuring soil respiration (SR) on the soil surface. The ASCC was developed by using open flow method for measuring soil $CO_2$ efflux. The disturbance of natural meteorological condition was minimized by opening the base frames. In the field test with barley (Hordeum vulgare L.), NEP was calculated at $140mg\;CO_2\;m^{-2}h^{-1}$ on a clear day using continuous data and eliminated the possibility of overestimate about 16% using one hour data during the day time. Unlike other small scale chamber system, installation on cropping-field made it possible to take any modifications which might be caused by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