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Assessment

검색결과 1,408건 처리시간 0.028초

회귀분석을 이용한 소각장의 소각열 회수 경제성 분석 연구 (Economic Assessment of the Heat Recovery from Incineration Plants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 윤정민;손형민;박동윤;장성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3호
    • /
    • pp.3-1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폐기물 최종 처리시설인 소각장을 대상으로 소각열 회수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운영 중인 소각장의 건설 및 운영비용, 소각열 회수량에 대한 함수식을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애주기비용을 비교함으로써 소각열 회수에 대한 경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출된 회귀식으로 일일 80톤 처리규모의 소각장을 기준으로 경제성 분석을 진행한 결과, 소각열 회수시 추가 설비 및 인건비로 인한 초기투자 비용 및 운영비용이 크지만, 열회수에 따른 LNG 대체효과로 계산시 11년 이상 운영할 경우 미회수 소각장과 비교하여 경제적 우위성이 있었다. 또한 열 판매와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편익으로 계산할 경우 19년의 자본회수기간이 소요됨을 확인하였다.

기업결합 규제에서의 효율성 및 파산기업 항변: 경제적 논거와 정책적 함의 (Efficiency and Failing Firm Defenses in Merger Assessment: Economic Rationale and Policy Implications)

  • 진양수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5권1호
    • /
    • pp.103-135
    • /
    • 2013
  • 본 논문은 '경쟁제고'와 '반사실'의 두 가지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경쟁제한적 기업결합 심사에서 항변으로 고려되는 효율성 및 파산기업 문제의 경제적 근거와 인정 요건들을 정합적으로 설명한다. 효율성 항변에 대해서는 그 경제적 근거가 효율성 증대 자체보다 효율성 증대가 초래하는 경쟁제고 효과에 있음을 강조한다. 파산기업 항변에 대해서는 당해 기업결합이 진행된 후의 경쟁 상황이 그렇지 않은 반사실 경우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 주요 경제적 근거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이해 방식은 최근의 관련 국제 논의 및 경쟁법 선진국들이 운용하고 있는 기업결합 가이드라인에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할 경우 항변의 인정 요건들도 정합적으로 설명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간의 국내 기업결합 심사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업결합심사기준"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효율성과 관련해서는 소비자 이전 가능성 요건 합병 특유성 인정 요건으로서의 제3자와의 기업결합 문제 등을 논의하며, 파산기업과 관련해서 경제적 근거 포함 문제 등을 논의한다.

  • PDF

G-SEED용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방출 자재 선정을 위한 경제성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Economic Assessment Model for the Selection of Indoor Air Pollutant Low Emission Material for G-SEED)

  • 권성민;김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3호
    • /
    • pp.289-296
    • /
    • 2021
  • 국내 건설산업은 에너지와 자원의 사용 및 오염물질 배출과 같은 환경 부담을 줄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물의 환경성을 평가하는 녹색건축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인증획득 절차의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과정이 복잡하며 인증 항목별로 자재의 경제성을 고려할 수 없는 점으로 인해 실무에서는 인증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색건축인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녹색건축 인증제도 인증 항목 중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방출 제품의 적용을 그 대상으로 하고 생애주기비용 개념을 고려하여 자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경제성 평가의 최적화 기법으로는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최적의 자재를 선정할 수 있는 경제성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실제 비주거용 건축물 사례에 적용하여 기존 비용과 비교한 결과 평균 74.5 %의 비용 절감률을 나타내어 본 모델을 녹색건축인증에서 경제적 효율성이 있는 도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비용을 고려한 공공시설물의 환경경제성 평가 -국내 다목적댐 비상여수로 시설 사례연구 - (The Economic Efficiency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considering Environmental Cost - A Case Study of Emergency Spillway for Korean Multipurpose Dam -)

  • 권석현;김상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68-176
    • /
    • 2007
  • 본 연구는 LCA(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평가) 개념을 바탕으로 공공 시설물의 환경성 및 경제성 평가를 위한 의사 결정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례대상으로 선정된 다목적댐 비상여수로의 위치 및 형식별로 발생 가능한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환경 비용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LCA 기 법 및 조건부가치측정 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의 이론을 고찰하고, 환경 비용 분석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공공시설물 환경비용 분석모델을 사례대상인 다목적 댐 비상여수로에 적용하기 위해 전과정 동안 발생하는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환경부하량을 산출하고, 이를 비용으로 환산하여 환경비용을 예측하였고, 예측결과를 통하여 비상여수로의 환경경제성을 평가하고 친환경적이고 경제적 인 치적대안을 도출하였다.

친환경 건축물의 LCA 평가도구 비교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LCA tools for Eco-Building)

  • 손우진;강혜진;이언구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4-399
    • /
    • 2009
  • Since some decades ago, there has been a concern for resource deple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ssociated with building properties. In addressing such impact of the built environment, there is a recognition of the existence of alternative building materials, fuels for energy supply as well as technologies for waste handling and disposal. Nevertheless, for long time, the choice between such alternatives was dictated by factors such as differences in prices and aesthetic values. A new important dimension in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options is the environmental dimension. This aspect is important since buildings are one of the spatially big new additions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at consume a lot of materials and energy during their long lifetime. Thus, with the environmental dimension kept in mind, a existing cost estimation needs to be changed. A new cost assessment method, Life Cycle Cost, should calculate overall costs with dimensional factors: investment and utility costs as well as maintenance costs over the lifetime of the building. Aiming to give an overview of the present status of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LCA) tools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including economic performance, this paper describes and compares 3 different tools for Life Cycle Assessment(LCA) and economic analysis of the green buildings. This paper compared these approaches based on various aspects. These include economic analysis method, evaluation duration, data of results(index). Use of the comparison analysis is to produce a better picture and indicate profits and shortcomings for the tools as a group; thus providing important direction improvement of LCA tool as well as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is group of tools.

  • PDF

An engineering-based assessment methodology on the loss of residential buildings under wind hazard

  • Li, Mingxin;Wang, Guoxin
    • Wind and Structures
    • /
    • 제30권1호
    • /
    • pp.1-13
    • /
    • 2020
  • The loss prediction and assessment during extreme events such as wind hazards is always crucial for the group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 of variation in building density on wind-induced loss for low-rise buildings and proposes a loss assessment method consequently. It is based on the damage matrices of the building envelope structures and the main load-bearing structure, which includes the influence factors such as structure type, preservation degree, building density, and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envelope components. Accordingly, based on field investigation and engineering experience, this study establishes a relevant building direct economic loss assessment model. Finally, the authors develop the Typhoon Disaster Management System to apply this loss assessment methodology to practice.

학교시설 임대형민자사업의 평가기준 개선연구 (A Study on School Facilities Build Transfer Lease Project - Centering on the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

  • 권병구;이재림;조진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7권2호
    • /
    • pp.30-46
    • /
    • 2008
  • In this study, were prepared after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f assessment items and marks distribution for the selection of executors of the BTL project. When tests of the degree of dispersion and degree of appropriateness for each assessment item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dispersion among assessment points has the power of discrimination since it is highly marked in the design field and operation management field. In contrast, 'business management plan' and 'investment composition for economic quality assessment' have a low level of the power of discrimination since points given to them have smaller difference between business projects.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S AND RISK MANAGEMENT FOR CRITICAL INFRASTRUCTURES FROM HOMELAND SECURITY VIEWPOINTS

  • Chun Nen Huang;Yao-Chen Ku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92-301
    • /
    • 2009
  • The employment of risk management theory in Urb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UDMS) has become an important trend in recent years. The viewpoint of risk management is mainly a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of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a subsequent handling of risks. Through continuous and systematic accumulation and analysis of risk information, disaster prevention and rescue system is established. Taking risk management theory as the foundatio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as developed a series of UDMS in the mega-cities all over the world. With this system as a common platform, OECD cooperates with different cities to develop disaster prevention and rescue system consisting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s, risk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The paper refers to the urban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of OECD and the mega-cities of different advanced and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and then constructs a preliminarily drafted structure for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s and risk management mechanism in the metropolitan districts of Taiw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