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근로능력, 경제활동 참여,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Structural Relationship of Subjective Health, Ability to Work, Participation on Economic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 장신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05-310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 근로능력, 경제활동 참여, 삶의 만족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각 사회에서는 생산적 노화, 적극적 노년 등의 관점을 통해 노인에 대한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부정적 인식을 완화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특히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강과 참여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0차 데이터(2015년)에서 65세 이상인 노인 3,3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건강과 근로능력, 경제활동 참여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은 근로능력과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근로능력은 경제활동 참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 요인으로써 건강과 근로 관련 요인들에 대해 중요하게 고려할 것을 제언하였다.

SNS 이용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자본, 참여활동이 패션브랜드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Propensity, Social Capital, Participation Activ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on Fashion Brands Relationship Orientation)

  • 이은진;석효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4-206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propensity and social capital on participation activity as well as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y on fashion brands relationship orient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activity and fashion brands relationship orientation by participation level of social network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31, 2015, and 476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results, the individualism-collectivism propensity was composed of vertical-horizontal individualism and vertical-horizontal collectivism. The social capital was composed of trust, norm, and network. Also, the participation activity was composed of personal interaction, consumer rights, information pursuit, interest pursuit, and economic pursuit. Vertical individualism positively affected information pursuit and economic pursuit,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positively affected personal interaction, consumer rights, and information pursuit; in addition, vertical collectivism positively affected personal interaction, consumer rights, and interest pursuit. Horizontal collectivism positively affected information pursuit, but it negatively affected consumer rights. Consumer rights, information pursuit, interest pursuit, and economic pursuit of participation activity positively affected fashion brands relationship orientation.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activity and fashion brands relationship orientation by participation level. The study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marketing strategie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of fashion brands.

국민연금 수급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 요인 (Factors in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receiving the National Pension)

  • 임안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85-191
    • /
    • 2022
  • 본 연구는 국민연금 수급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8차 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대상자는 919명이었다.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거주지역,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가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제활동 참여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민연금 수급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 신체적 건강상태가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한 영향이 미쳤다.

빈곤노인의 경제활동 결정요인 연구 (Determinants of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Poor Elderly)

  • 이성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3호
    • /
    • pp.39-5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oor elderly in economic activity. This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of the second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poor elderl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age, gender, region, public assistance, education, health status, chronic illness, contacts with acquaintances, and support from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The study's finding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ervices.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an age- and gender-specific approach to promoting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among the poor elderly. Regional difference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creation of work opportunities for older adults. In terms of human capital, the positive effect of good health indicates that strategies are needed to address the needs of older adults with health issu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more jobs for elderly job seekers with high levels of education. Finally,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should explore interventions for enhancing the social network involvement and community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in poverty.

  • PDF

주말농장 참여의 사회 ${\cdot}$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o-economic Effects of Participation in Weekend Farming)

  • 김성수;이채식;주대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9권1호
    • /
    • pp.29-4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ocio-economic effects of participation in weekend farm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descriptive survey. The data for the study were gathered from 135 randomly sampled urban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weekend farming activity. Small scale weekend farming activity of the urban people led them to better quality of life in terms of educational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eekend farming supplied fresh vegetables to participating urban households, however, showed relatively low economic effects. 2) Participating urban people have experienced new relationships with other participants and could better understood their family members of weekend farming activity. 3) Participating urban people responded that they coul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weekend farming activity. 4) Weekend farming activity proved to be a useful educational experience for children and youth.

  • PDF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애정도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Impact of Economic Activi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Level)

  • 김승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37-44
    • /
    • 2018
  • 본 연구는 중고령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참여 여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장애정도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차 웨이브 2~8차년도에 참여한 만 45세 이상 만 65세 이하 중고령 여성장애인 4,961명을 대상으로 단계적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여부는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애정도는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여부와 생활만족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여성장애인이 경제활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장애정도를 고려한 일자리 설계가 필요함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 전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98-31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여가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60세 이상의 농촌노인들로부터 324부의 구조화된 설문서를 수집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건강상태와 경제상태가 농촌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에서 경제활동, 종교활동 및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전반적 삶의 만족에, 종교 활동과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주관적 건강만족에, 경제활동은 주관적 경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농촌 노인의 여가활동에서 취미활동, 학습활동 및 사교활동은 전반적 삶의 만족에, 취미활동과 사교활동, 소일거리가 주관적 건강만족에, 취미활동과 사교활동이 주관적 경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고령자의 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직업훈련 참여 강화 방안 (Approaches to Enhance Older Adults' Employability through Vocational Training)

  • 문한나;홍성표;강선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3-214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고령자의 직업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고령자의 고용가능성 제고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령층의 학력과 경제활동 상태가 직업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며, 경제활동과 직업훈련은 고령자의 역량 개발과 고용가능성 증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 중 상당 수가 근로를 계속 희망하며 이들의 경우, 직업훈련에 더 많이 참여하는데, 이는 고령자의 직업훈련 참여를 촉진하고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정책적으로 중요함을 시사한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성별, 학력, 경제활동 여부, 근로 희망, 연금 수령액이 직업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를 통해 정부 지원 정책이나 저학력 고령자를 위한 구체적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금 수령액이 낮을수록 직업훈련 참여를 촉진하는 접근이 요구된다는 점도 본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경제적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Self-image and Self-esteem among the Korean elderly: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d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 안준희;김승용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645-1663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차별경험이 자아이미지를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사회 경제적 참여가 이러한 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C지역 복지관과 경로당에 다니는 노인 54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차별경험은 신체이미지, 능력이미지, 기질이미지 모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이 자각하고 있는 자아이미지 중 능력이미지와 기질이미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신체이미지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참여는 차별경험이 신체와 기질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질 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참여는 차별경험이 자아이미지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능력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있어서 차별 수준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관에서 노인이 차별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참여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여성농업인의 농외소득활동 참여 결정요인 분석: 충남 지역 여성농업인을 대상으로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non-farming income activities of female farmers: Focused on female farmers of Chungnam area)

  • 안수영;권용대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3호
    • /
    • pp.277-283
    • /
    • 2015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determinants of non-farming income activities of female farmers, and presenting how to support their participation in non-farming activities.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ve analysis whose subjects are female farmers in the Chungnam area indicates that human and economic capital variables that can predict non-farming income activity particip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re persons at the age of 40s to 50s and female farmers who returned to the rural areas. Farming characteristic variables are households that receive subsidiary and participate in two different types of farming whose main farming is rice. The female farmers who spend longer hours doing household chores participate in non-farming income activities more actively. In terms of policy and on-site response variables, the interest in farming and farming businesses shows positive relation, and that of farming and community organization participation presents negative relation. Thes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local government must present the policy that can select non-farming income activity participation groups strategically.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community centered-non-farming income activities, and to expand or make laws to support female farmer's participation in non-farming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