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Stream

검색결과 613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하구 수생태계 현황 및 건강성 조사의 성과와 하구 생태계의 국외 연구동향 (Research Trend of Estuarine Ecosystem Monitoring and Assessment)

  • 원두희;임성호;박지형;문정숙;도윤호
    • 생태와환경
    • /
    • 제55권1호
    • /
    • pp.1-9
    • /
    • 2022
  • 하구는 이질적인 매질인 하천과 바다가 다양한 환경을 조성하고 각 환경에 적응한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하구의 생태적 가치를 인식하기 이전에 하구둑 건설이나 매립 등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해 하구의 면적이 소실되고 하구의 생태환경도 훼손되었다. 한국에는 총 643개 하구가 위치해 있지만 35% 이상이 하구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닫힌하구이다. 2008년 이후 환경부는 "하구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사업을 통해 하구 생태계에 관한 지식을 축적하고 하구와 관련된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14년간의 사업을 통해 총 2,097종의 하구 생물을 기록하였고 새롭게 개발된 생물지수를 이용해 각 조사지점의 서식환경을 평가하고 있다.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사업은 장기적으로 수행되는 제도화된 생태조사로 생태계의 변화의 원인과 과정 등을 규명하기는 어렵지만 연간 100여 명 이상의 연구원들이 표준화된 조사지침에 따라 획득한 결과를 엄격히 관리해 하구의 보전과 관리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제도화된 생태조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조사 대상지 중 일부에서는 하구의 오염물 또는 퇴적물과 생물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를 수행해 하구 생태계의 변화의 원인과 과정을 밝힐 수 있다.

한반도 지형의 일반성과 특수성, 그리고 지속가능성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Landform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stainability)

  • 박수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56-674
    • /
    • 2014
  • 이 연구는 한반도 지형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과 일반성을 파악하여 국토 및 환경관리에 응용될 수 있는 지형관리원칙을 찾으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동아시아를 대상으로 대륙규모와 국가규모, 그리고 지역규모 지형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동아시아는 복잡한 지구조적 특성을 보이지만, 대륙규모에서 뚜렷한 북동-남서 방향의 지형구조와 연결성이 나타난다. 한반도는 이러한 대륙규모의 지형특성을 따르면서도, 직각으로 교차하는 북북서-남남동 방향(낭림산맥과 태백산맥)의 지형연결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한반도는 국가적인 규모에서 동아시아에서 지형다양성이 가장 높은 곳 중의 하나로, 평균고도는 높지 않지만 인접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사도와 복잡한 지형다양성을 보인다. 한반도와 유사한 지형적 특성을 보이는 러시아의 시호테알린, 중국의 화남, 그리고 일본과 비교할 경우, 한반도는 산지와 퇴적평지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반면, 다른 지역은 산지와 퇴적평지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동아시아 지역규모에서 나타나는 지형의 특수성과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산정상부에서 하천으로 이어지는 사면의 연결성은 모든 지역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지형의 일반적인 원칙이었다. 이러한 공간적인 연결성과 그와 관련된 각종 지형 및 생태현상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지형관리의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 될 것이다.

  • PDF

배내천 중류의 저서성 대형무배유동물에 대한 연구 3. 4계절의 표류 수서곤충

  • 오용남;전태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489-499
    • /
    • 1993
  • 1989년 8월부터 1990년 5월까지 4계절에 걸쳐 낙동강 지류인 배내천 중류에서 drift net를 이용하여 표류하는 수서곤충을 채집하고 저서 채집 결과와 비교하였다. 총 6목 31과 4속 44종 4452개체가 채집되었는데, 가장 많은 종이 채집된 계절은 가을이었으나, 개체수는 Baetis, Pseudocloeon, Eporus, Heptagenia속 등의 하루살이목이 급중한 봄에 가장 높게 채집되었다. 일반적으로 저서 채집보다는 표류 채집에서 적은 종류가 출현하였다. 주요목별로 계절적 출현 양상을 비교해본 결과 파리목은 저서 채집과 표류채집에서 전체적으로 22%의 비율로 유사하게 출현하였고, 하루살이 목은 저서 채집(33%)보다 표류채집(62%)에서 높은 비율로 채집되었으며, 이보다 낮게 출현한 강도래목과 날도래목은 표류 채집보다 저서 채집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겨울을 제외하고는 표류 채집에서 하루살이목에 속하는 Pseudocloeon sp., Heptagenia sp., Baetis sp. 등이 제1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저서 채집에서는 날도래목은 Lepidostoma sp. 와 파리목인 Diamesa sp.등이 제1우점종으로 나타났 다. 일반적으로 collector와 scraperdo 해당하는 1차 소비자들이 많이 표류하였는데, collector는 겨울에 많이 표류한 반면, scraper는 겨울에 상대적으로 적게 표류하였다. 대체로 유속이 느린 곳에 서식하는 shredder나, 2차 소비자인 predatro들은 적게 표 류하였다. Habit group으로서는 clinger와 swimmer들이 많이 표류한 반면 burrower 와 sprawler들은 전반적으로 적게 출현하였다. Clinger는 여름에 상대적으로 적게 표류하였고, Swimmer는 봄에 많이 출현하였다.

  • PDF

낙동강 하류 권역별 조류군집의 특성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Nakdong River Basin)

  • 홍순복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5호
    • /
    • pp.269-281
    • /
    • 2004
  • 본 연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낙동강 하류지역에 도래하는 조류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도래현황과 서식지 환경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낙동강 하류에서 총 114종 94,481개체가 관찰·기록되었다. 이 중 종수와 개체수에서 대마등(Ⅰ)이 55종 21,781개체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는데 낙동강 하류의 전지역 중에서 대마등과 주변의 갯벌이 채식지와 휴식지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류군집의 특성에서, 논병아리류는 하구언 아래(을숙도)지 역, 가마우지류는 수심 이 깊은 낙동강 본류와 서낙동강의 주변, 고니류와 혹부리오리 및 도요·물떼새는 하구언 하단부의 수심이 얕은 갯벌,수면성 오리류는 서낙동강(F)과 염막(C)지역, 잠수성 오리류는 비교적 수심이 깊고 서식 여건을 갖추고 있는 하구언 상단부와 서낙동강의 녹산수문 상단부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기타 산새류는 염 막(C)과 을숙도(A) 및 서낙동강(F)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것은 을숙도 쓰레기 매립장의 인공 식재림, 일웅도의 유휴지와 염막으로 연결되는 지역으로 물새와 함께 일반 조류들의 서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낙동강 하류지역은 낙동강 하구와 주남저수지의 사이에서 오리 기러기류의 채식지 및 휴식지로서 중요한 지역이지만 계속해서 개발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역 중의 한 곳이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는 수변지역으로는 대저수문지역(E), 서낙동강(F)의 녹산수문 상단부와 경작지로서는 염막(C)지역으로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자연적인 서식지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철저한 관리가 요망되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피라미 개체군의 length-weight relationship 및 condition factor(K)를 이용한 공지천수계의 생태적 진단 (Ecological diagnosis of the Gongjicheon water system using length-weight relationship and condition factor(K) of population of the Zacco platypus)

  • 이광열;장하라;윤영진;박승철;김준철;이재용;최재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2호
    • /
    • pp.137-14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ynamics of the Zacco platypus population among streams in the Gongjicheon water system, Korea from December 2010 to October 2011. In this study, fish fauna was collected 27 Species belonged to 9 Families. The legal protection species, such as a natural monument and endangered species was not collected. Korean endemic species was collected 6 species including to Z. koreanus. The ratio of Korean endemic species was 22.6%, and it was lower than 51.3% that average of Korean endemic species in the Hangang water system. About these status, we considered that Gongjicheon water system had lost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angang water system by the anthropogenic disturbances. The result of analysis to length-weight relationship and condition factor(K) of Z. platypus population in the Gongjicheon water system, the regression coefficient value(b) to indication of growth degree of the population was 3.04 and the slope of the condition factor(K) to indication of corpulency had positive valu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eems to be that the Z. platypus population is maintained to a little unstably. In addition, the values of the degree of growth and corpulence were very low than the other natural streams in the Hangang water system, so it considered that the many artificially stress factors are occurred in this study area.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Fish Assessment Index(FAI) in the assessment for health of aquatic ecosystem. Therefore, we are considered to require precise investigation and sustained monitoring for the restorations of stream ecosystem in the Gongjicheon water system.

경상남도 남강유역의 의용패류 분포 및 흡충류 유충 감염실태 조사 (Distribution of medically important freshwater snails and larval trematodes from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Semisulcospira libertina around the Jinyang Lake in Kyongsang-Nam-Do, Korea)

  • 조해창;정평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93-204
    • /
    • 1983
  • The Jinyang Lake is dammed up Nam River, and surrounded by Jinju city and four counties; Jinyang, Sanchong, Hading, and Sachon in kyongsang-Nam-Bo, Korea. The areas around this man-made lake have been known as an endemic focus of clonorchiasis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first aimed to know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mollusks including medically important snails, and larval trematodes shed from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Semisulcospira libertina. In addition to above studies, water analyses in each snail habitat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figure out a part of their environmental factors. This malaco-ecological survey was done at the sirs areas around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lake for 4 months, August-November, 1983. Total nine species of freshwater mollusks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study: 4 species of gastropods: Semisulcospira libertina, Cipangopaludina chinensis,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Radin auricularia, and 5 species of bit.alves; Unio dcuglasiae, Ancdonta woodiana, Lamprotula gottschei, Corbicula yuminea and Limncperma lucustris. Out of nine species of freshwater mollusks, three species of gastropods; S. Zibertina, p. manchouricus and R. auricularia were medically important in terms of the transmission of digenetic trematodes to humans. P. manchouricus and R. auricularia were mainly collected from the shallow ponds and the irrigation channels with the muddy basin, but S. libertine and the bivalves were only collected from the stream of Nam River where the gravels and rocks were dominant. The levels of dissolved oxygen (D.O.) and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of the water specimens sampled from the study areas ranged from 6.0 to 9.6 ppm and from 0.4 to 1.6 ppm respectively.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water system around the Jinyang Lake might be relatively clean without any heavy pollution of aquatic microorganisms and organic materials during the period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eight metalic constituents from the water samples were also assayed, and all metalic ions detected were remarkably low below the legal criteria. However, calcium ion in the water samples from the habitats of P. manchouricus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others. Infection rates of digenetic trematodes in the snails were 6.9% in P. manchouricus and 4.8% in S. libertine, respectively. P. manchouricus snails harboring with thc cercariae of Clonorchis sinensis were only 0.14% among the snails examined, and other trematode cercariae except cercaria of C. sinensis were: furcocercus cercariae, cercaria of Loxogenes liberum type I and II. S. libertine snails parasitized with the cercariae of Metagonimus yokogawai were 1, 5% out of the snails examined, and no cercaria of Paragonimus westermani was found in S. libertine snails in the present study. Digenetic trematode cercariae other than M. yokogawai observed in S. libertina snails were: Cercaria yoshidae (B type) , Cercaria cristata, Cercaria innominatum, Cercaria of Centrocestus formosanus and Cercaria nipponensis.

  • PDF

환경조치의 WTO체제 수용에 관한 연구 (Accommodation of Trade Measures for Environment Purposes on the WTO Rules)

  • 채대석;김미정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3호
    • /
    • pp.433-457
    • /
    • 2011
  • WTO체제가 출범한 이후 회원국 간에 엄격한 다자간 규정의 적용을 보장함으로써, WTO체제에서의 각종 협정의 권위를 강화하고 효율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평가받아오고 있다. 그러나 국제경제 무역의 확대와 더불어 세계는 지구온난화, 멸종위기종, 천연자원의 고갈 등 환경문제를 고민하고 시작했고, 20세기말에 성립된 수많은 다자간 환경협정들에서 알 수 있듯이, 환경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WTO체제가 자유무역의 부정적인 효과로 인한 환경파괴와 관련하여 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많은 도전 및 무역과 환경에 관한 논쟁에 있어서 어려운 쟁점이 있다. 첫째, 환경기준의 조화문제, 둘째, 상품의 공정 및 생산방법(PPMs)에 따른 상품표준의 사용문제, 셋째, 환경기준의 무역의무 위반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용될 무역규칙(trade rule) 문제, 넷째, 환경관련 분쟁에 있어서 환경관련 협정에 관한 심사기준의 적용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역관련 환경조치를 WTO체제가 어느 정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무역을 통한 성장과 환경보존과 보호가 양립될 수 있는가 그리고 WTO 체제는 환경문제에 공헌하고 있는가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PDF

밀어, Rhinogobius brunneus (Pisces: Gobiidae)의 성적 이형 및 수컷의 이형 (Sexual and Males Dimorphism of Rhinogobius brunneus (Pisces: Gobiidae))

  • 송호복;백현민;손영목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95-303
    • /
    • 2005
  • 밀어의 성적 이형과 수컷 사이의 이형에 대하여, 2005년 5월에 강원도 춘천시 서면 오월리의 지암천에서 채집한 개체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emale과 maleL의 체장 분포와 성비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males는 40 mm이하의 개체들이 대부분으로 female과 maleL에 비하여 소형 개체들이었으며, maleL : maleS의 비는 1 : 0.46이었다. Female(N=79)과 maleL(N=79)의 계측형질 중 18개 형질(SNL, AHD, PHD, ML, DL, MW, AHW, IFW, PHW, ED, HL, FDFL, SDFB, CFL, AFB, VFL, PFL, PFB)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으며, 이들 중 SNL, AHD, ML, DL, MW, AHW, IFW, PHW, HL, FDFL, CFL, PFB 등 12개 형질은 현저한 차이(P<0.001)를 나타내었다. Female(N=36)과 maleS(N=36)의 비교 결과 8개 형질(SNL, ML, DL, MW, HL, CR, VFL, PFL)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으며, 이들중 ML, DL, HL 등 3개의 측정 형질에서는 현저한 차이(P<0.001)가 있었다. Male(N=36)과 maleS(N=36)의 측정 형질 중 SNL, AHD, PHD, ML, DL, MW, AHW, IFW, PHW, HL, FDFL 등 모두 11개 형질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으며, 11개 형질 중 ML., DL, MW, AHW, HL, FDFL 등 6개 형질은 큰 차이(P<0.001)가 있었다.

대기 산성 강하물 : 삼림의 질소 포화 (Atmospheric Acid Deposition : Nitrogen Saturation of Forests)

  • 김준호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305-321
    • /
    • 2006
  • 대기 산성 강하물 : 삼림의 질소 포화 한국의 연평균 습성 질소 강하량은 12.78(범위: $7.28{\sim}21.05)\;kgN{\cdot}ha^{-1}{\cdot}yr^{-1}$이고, 이것에 건성 질소 강하량(43%)을 합하여 추정한 총질소 강하량은 18.26(10.41-30.10) $kgN{\cdot}ha^{-1}{\cdot}yr^{-1}$이 된다. 이 질소 강하량은 유럽과 북미 북동부의 질소 강하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대기 질소 강하량이 많은 온대 삼림은 질소로 포화된다. 질소로 포화된 삼림은 계류수와 토양에 질산이온 ($NO_3^-$)과 질산태질소/암모늄태질소이($NO_{3}^{-}-N/NH_{4}^{+}-N$)의 비가 높아지고, 잎의 질소 농도가 높아지므로 N/P비, N/K비 및 N/Mg 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무기 영양소 교란이 일어나며, 상해와 병해에 걸리기 쉬워지고 세근과 근균의 활성이 낮아짐으로써 생산성이 낮아진다. 그러고 혐질소성 종이 호질소성 종에 의하여 대치된다. 질소로 포화된 토양에서는 온실가스인 메탄($CH_4$)의 흡수가 감소되고 일산화질소 (NO)와 아산화질소 ($N_{2}O$)의 배출이 증가되어 지구온난화를 촉진할 수 있다. 이 종설은 한국의 33장소에서 6년 동안 ($1999{\sim}2004$) 측정한 부피가중 연평균 습성 질소 강하량이 삼림의 질소 포화 수준에 달하고, 광릉시험림분수계와 그 밖의 삼림 계류수의 $NO_3$ 유출량으로 미루어 보아 한국의 삼림에 질소 포화의 징후가 나타났음을 제시하며, 문헌 자료를 통해서 외국의 삼림에서 일어나는 질소 포화의 징후를 체계적으로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줄종개 Cobitis tetralineata (Pisces; Cobitid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Korean Sand Loach Cobitis tetralineata (Pisces; Cobitidae) in the Seomjin River, Korea)

  • 김익수;고명훈;박종영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77-286
    • /
    • 2006
  • 줄종개, Cobitis tetralineata의 생태를 섬진강 지류인 추령천에서 조사하였다. C. tetralineata는 하상이 모래이고, 유속이 $10{\sim}20cm/see$, 수심은 $30{\sim}150cm$인 곳에 대부분 서식하였다. 활동은 낮에만 활동하는 주행성 어류로 3월부터 10월까지 활동하였고, 이후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는 바닥 속으로 파고들어가 월동하였다. 성비는 암컷과 수컷이 1 : 0.57로 나타났고, 암컷이 수컷보다 $20{\sim}30mm$(TL)이 더 컸다. 줄종개(암컷)의 연령은 $20{\sim}40mm$가 당년생, $45{\sim}65mm$가 1년생, $65{\sim}90mm$가 2년생, 90 mm 이상이 3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부화 후 $13{\sim}14$개월 이후에 수컷 가슴지느러미 제2기조에 골질반이 형성되어 암수가 구별되었으며, 또한 수컷은 산란시기에 반문변 이가 일어났다. 산란시기는 수온이 $22{\sim}26^{\circ}C$인 6월 말부터 7월 중순으로 추정되었고, 포란수는 $1,288{\pm}583(474{\sim}2,976)$개, 난경은 $0.98{\pm}0.1mm$이었다. 섭식은 주로 깔다구류, 꽃병벌레류, 물벼룩류, 조류 등을 섭식하였으며, 섭식률은 4월과 9월에 높게 나타났고 월동기에는 섭식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