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Impact Assessment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6초

국립공원 사유지 정책의 공간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생태자원성 평가 (Ecological Resource Assessment for Spatial Decision Support on Private land Policy inside National Parks, Korea)

  • 이관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1-49
    • /
    • 2006
  • Private land within national parks has raised acute questions for impact assessment practitioners as to whether it is ecologically resourceful enough to be conserved or whether it should be removed from national parks and compensat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spatial decision support through assessing ecological resource of private land within national parks. In order to assess the ecological resource, private land within national parks was analyzed and quantified based upon topography, flora and fauna. National park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resource assessment,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groups : the parks in need of careful attention for conservation; the parks needed to be retained as buffers, and; the parks that can be released to private l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part of Mountain Joowang is the third-tier land that does not require conservation efforts. This case study intends to help policy-makers decide whether some private land within national parks can be released and, after the release, what should be done to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of the released land.

이식수목의 현황 평가를 위한 위성영상 기반 원격탐사 식생지수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satellite remote sensing-based vegetation index for evaluation of transplanted tree status)

  • 최미나;이도훈;장문정;김동주;이선미;문윤정;권용성
    • 환경생물
    • /
    • 제41권1호
    • /
    • pp.18-30
    • /
    • 2023
  • 우리나라는 산림이 64%에 이르기 때문에 개발사업에 의한 산림훼손이 불가피하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환경영향평가 제도에서는 훼손되는 수목량의 10%를 재활용 및 이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적 요건이 고려되지 않아 이식성공률이 저조하고 가이식장 운영이 잘 되지 않아 수목이 고사하는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장조사가 필수적이나 시간 및 공간적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반의 식생지수를 적용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식수목 현황의 시계열적 변화를 탐지하고 원격탐사의 적용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위성영상을 분석하여 가이식장 면적을 구축하고 이식 전, 후 식생지수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여 식생 상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현장조사를 통한 이식수목의 고사율 및 활력도와 위성영상 기반으로 한 가이식 전 후의 식생지수 변화 분석의 결과가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가이식장에 수목 이식 후에는 가이식장 범위의 녹색 식물의 상대적 분포량과 활동성이 증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목 고사 및 활력도 감소로 인해 낮아지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위성영상에 기반한 이식수목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실제 평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량적인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원격탐사 기법인 위성영상과 식생지수를 활용하여 보다 전국에 분포한 이식수목의 변화를 탐지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해 시행되는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수목 이식이 제대로 수행되고 산림 파괴에 효과적인 저감 대책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파주생태습지의 부착규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The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using DAIpo and TDI of Paju Ecological wetland)

  • 김용진;김헌년;이옥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2호
    • /
    • pp.229-238
    • /
    • 2012
  •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hysiochemical factors and the attached diatoms of ecological wetland in Paju from August 2010 to May 2011. As a result of physicohem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the water temperature did not fluctuate much due to ample riparian vegetation and aquatic plants growing at the site. Due to the effect of Han River Estuary, site 4, 5 and 6 had high electricity conductivity. The BOD concentration was high at site 2, 3, and 4 caused by decrease in water quantity and inflow of polluted water. At all sites, T-N and T-P concentrations ranged from eutrophic to hypertrophic status. At the downstream, the T-N and T-P concentrations decreased by inhabiting aquatic plant. Total of 98 taxa of attached diatoms were found. As for dominant taxa, Achnanthes convergens, A. minutissima, Gomphonema gracile, G. parvulum, Melosira varians, Navicula seminulum, N. minima, N. pseudolanceolata, Nitzschia amphibia, N. palea, Surirella minuta and Synedra ulna var. fragilariodes appeared. The result of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rated the sites B(suboptimal)~D(poor) during seasons of low water temperature, Fall and Winter, with DAIpo ranging 24.1~68.2 and TDI of 48.4~85.6. During Spring and Summer, all sites were rated D(poor) with DAIpo lower than or equal to 40, and TDI above or equal to 70. The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t the research site showed inferior TDI result compared to that of DAIpo.

자연생태 전망평가체계 마련을 통한 환경영향평가 및 정책 활용방안 고찰 (A Review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olicy Utiliz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Outlook and Evaluation System)

  • 이후승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5호
    • /
    • pp.363-376
    • /
    • 2023
  • 기후변화와 무분별한 개발 등으로 인해 생물다양성의 감소와 멸종 위험이 심각해짐에 따라 자연생태계에 대한 보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자연자원과 생태계 변화 등에 대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한 평가기반의 자연생태 전망평가체계에 대한 국외 사례를 검토하였다. 결과로서 국외에서는 국내와 유사하게 다양한 조사기관에서 분류군별 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조사된 자료가 통합적으로 수집·관리되고 단기간내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기초조사 자료와 함께 평가기반의 예측·전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가정책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자연생태 조사 현황과 환경영향평가 등에서의 정보이용의 한계성을 분석하고 자연생태 정책수립 지원 등 정보로서의 자연생태 전망평가체계 작성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제안된 자연생태 전망평가 등의 다양한 정보를 통해 국내 자연생태계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안하였다.

환경영향평가에 있어 위해성분석 기법의 도입 (Application of the Risk-Based Analysis to EIA)

  • 정용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3호
    • /
    • pp.1-8
    • /
    • 1995
  • In generally speaking,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is to give the environment its due plac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by clearly ealuating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 of a proposed activity before action is taken. The introduction of conventional EIA is to be seen as an end product of a very long evolutionary process, starting with rudimentary but evolving pollution control measures for air, water, noise, land and chemicals, each governed by separate, and separately administered pieces of legislation. In EIA process, the measures of status, scoping, proposed mitigation and communication have not been very quantitative in their significancy. Of course, the determinations have uncertainity in the implications for significant impacts. To improve the determination of significant impacts, some more comprehensive methodologies of EIA has been proposed with the concepts of risk analysis in the proposed projects. The concepts of risk analysis has been introduced to the expression of human health impairment du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since the early 1980's. The risk analysis being meant b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mpact has a process quantitatively considering uncertainities and importances of ecological systems and human health as well. The process of risk analysis shows assessment, doseresponse in toxicity, exposure assessment and risk characterization. With the risk assessment, it could be suggested for the proper measurements against their anticipated risk in the EIA. This paper deals the priciples developing process and application of the risk-based analysis in EIA.

  • PDF

대도시 도심의 생태적 연결성 및 연결망 분석 (Ecological Connectivity and Network Analysis of the Urban Center in a Metropolitan City)

  • 차재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503-515
    • /
    • 2023
  •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태공간의 단절과 파편화는 생물다양성의 위협 요소이다. 특히 개발 압력이 높은 도심은 생태공간이 부족하여 연결성이 매우 낮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대도시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 사업이나 도시관리 수준에서 생태적 연결성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도시의 생태적 연결성 현황 파악과 개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도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의 도심이 가진 생태적 연결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도심은 외곽이나 도시 전체와 비교해 연결성이 낮았다. 그리고 종분포모델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대전을 대상으로 수행한 생태적 연결망을 분석하여 1ha 이상 산림을 이어주는 최적 경로 510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의 생태적 연결성 개선 목표 제시에 필요한 정량적 수치와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지역 특성에 따른 연결망을 도출한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환경영향평가나 도시관리에서 생태적 연결성을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 체계를 구축하는 데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화 갯벌식생범위의 시-공간적 변이 분석 (The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n the Vegetation Area of the Siwha Tidat Flat)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3호
    • /
    • pp.349-356
    • /
    • 2011
  • This research is aim to analyze of changing landscape and according to phenological cycle from image information of coastal environment obtained by multi-media were analyzed by camera and satellite image. The digital camera and satellite image were used for tidal flat vegetation monitor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Sihwa lake. The vegetation type and phenological cycle of Sihwa tidal flat have been changed with the Sihwa lake ecosystem. The environment changes of Sihwa tidal flat area and ecological change were analyzed by field work digital camera images and satellite images. The airborne, UAV and satellite images were classified with the changed elements of coastal ecological environment and tidal flat vegetation monitoring carried out the changed area and shape of vegetation distribution with time series images.

생태복원사업의 식재 현황과 개선 방안 (Planting Status of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and Improvement Plan)

  • 이선미;윤주은;강다인;차재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5호
    • /
    • pp.307-322
    • /
    • 2020
  • 본 연구는 생태복원사업의 식재 및 유입식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식재식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적극적 복원을 실시한 환경부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지역과 산림청 민간인 통제선 이북지역 산림복원사업지역에서 식재 및 유입식물을 조사하여 자생, 외래, 재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의 식재 및 서식 지역, 서식지 특성 비교·분석, 생활형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생보협 사업의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은 50.4%, 외래식물은 6.8%, 재배식물은 42.9%이었다. 민북 사업에서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은 78.6%, 외래식물은 21.4%이었고, 재배식물은 없었다. 식재 지역과 서식 지역의 거리가 가깝지 않고 서식지 특성이 상이한 곳에 식재되었다고 판단되는 자생식물도 여러 종 확인되었다. 라운키에르 생활형의 경우 식재식물은 대형지상(MM)과 미소지상(N)식물의 비율이 높았고, 유입식물은 일년생(Th)과 반지중(H)식물의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생태복원 시 외래 및 재배식물 보다 자생식물의 식재 비율을 높이고, 자생식물 선정 시 서식지와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태복원의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지역단위 녹지 확보를 위한 환경성평가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Regional-Based Green Area Conservation)

  • 오승륜;강선홍;이춘원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35-546
    • /
    • 2011
  • The study area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is Hwaseong city, Gyeonggi-Do where small scale development is currently in progress. For the last three years, we carried out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H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Most of development works in Hwaseong city, Gyeonggi-Do are small scale developments which are related with factory and distribution complex based on individual laws and regulations. Howeve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is not being sufficiently reflected beforehand. Especially, because the development takes place mainly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 fine forest is continuously being damaged. We analyzed changes in green zone area caused by the developments. As a result, the percentage of original green zone was decreasing while the percentage of artificial green zone was increasing. We should maintain the percentage of the original green zone in order to conserve natural environment. In the past three years, the damage of the DGN (Degree of Green Naturality) 7 area that has high conservative value was little, but, there was serious damage in the area of DGN 6. In order to conserve natural environment,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nvestigation should be seriously carried out for mitig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damages.

탄소저감요소를 적용한 건설재료의 환경영향평가 비교 연구 - 콘크리트 제품 생산단계에서의 지구온난화 영향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Construction Material through the Application of Carbon Reducing Element - Focused on Global Warming Potential of Concrete Products-)

  • 조수현;채창우
    • KIEAE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47-154
    • /
    • 2015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worldwide effort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global warming. By using the quantification metho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now possible to manage the greenhouse gas i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over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t the production stage of construction material occupied is high, and efforts are needed in the construction field. In this study, intended for concrete products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s, by using the LCA evaluation method, we compared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carbon emissions of developing products that have been applied low-carbon technologies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As a result, by introducing a raw material of industrial waste, showed carbon reduction. Through a comparison of the carbon emission reduction effect of low-carbon technologi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cademic data for the evaluation of greenhouse gases in the construction sector and the development of low-carbon technologies of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