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bola viru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의 전신 및 구강내 소견 (Systemic and oral manifestations of Ebola virus disease)

  • 김민지;김희영;김성민;명훈;이종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호
    • /
    • pp.67-83
    • /
    • 2016
  • Ebola virus disease is a lethal viral hemorrhagic fever that has been boiling in sub-Saharan Africa since 1970s. Last year, The Ebola virus epidemic that has spread not only mainly in West Africa, but also in locals such as USA, Europe and the Antipodes via infected travelers, was brought up. Human-to-human transmission of Ebola virus disease is known only through direct contact with the blood, secretions, tissues or other bodily fluids, including saliva. Although there has not been reported infection cases in the dental healthcare settings, the fact that the infection of the Ebola virus may be made from human secretions such as saliva suggests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infection for the Ebola virus of dental healthcare work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dental healthcare workers to identify infection-suspected patients through the oral findings for infection prevention. This article will review the oral signs and symptoms of Ebola virus disease and discuss the pathogenesis, treatment and prevention. Furthermore,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oral healthcare workers are also proposed.

  • PDF

에볼라 바이러스 진단법과 개발 동향에 관한 고찰 연구 (Study on Laboratory Diagnosis of the Ebola Virus and Its Current Trends)

  • 정혜선;강윤정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05-111
    • /
    • 2015
  • 2013년 12월 말, 에볼라 바이러스는 서아프리카에서 발발했다. 기니를 시작으로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으로 빠르게 퍼지게 되었다. 에볼라 바이러스(자이르형 에볼라 바이러스)는 외피, 비분절, 음성단일가닥 RNA바이러스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인수공통 전염병이다. 바이러스는 처음 감염된 야생동물과 접촉 한 후, 혈액, 땀, 소변, 정액, 모유 등의 체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사람 대 사람으로 전염된다. 그러나 공기로 전염되지는 않는다. 잠복기는 2~21일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내피세포, 단핵 식세포, 간세포를 감염시킨다. 감염 후 바이러스가 숙주의 면역 시스템을 회피하기 위해 여러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이것은 혈관, 간 등의 내부 조직 및 기관에 막대한 피해를 주어 죽음에 이르게 한다. RNA 바이러스에 대한 대부분의 실험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라 기술에 의존한다. 이 방법은 매우 민감하지만 숙련된 과학자, 전원 공급 장치 요구하며 비싸다. 스트립 분석기법(효소면역분석법, ELISA)은 에볼라 바이러스 항원 또는 항체를 검출한다. 이 기법은 저렴하며, 전기, 냉장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실험적인 치료 및 백신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은 현재 치료법에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환자관리, 감염예방, 관리대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에볼라 출혈열 발병 : 효과적인 전염병 관리 및 통제를 위한 진단 (Ebola Hemorrhagic Fever Outbreaks: Diagnosis for Effective Epidemic Disease Management and Control)

  • 강보람;김효진;도나 메리 멕코이;김민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87-92
    • /
    • 2017
  • 첫 번째 에볼라 출혈열 발발은 1976년 콩고 민주 공화국과 수단에서 발생했으며, 이후 2014년서 아프리카에서 27,741건, 11,284건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발열은 Filoviridae 계열에 속하며 ssRNA 게놈을 가진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했다. 바이러스의 알려진 아형은 Bundibugyo ebolavirus, Reston ebolavirus, Sudan ebolavirus, Tai Forest ebolavirus 및 Zaire ebolavirus이다. 역사적으로 에볼라의 주요 발생 지역은 동부 및 중부 아프리카 열대 지방에서 발생했다. 서아프리카에서의 발발로 인해 전세계 사회에서 수많은 사망과 공포가 확산되었다. 효과적인 치료와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전염병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정확한 진단을 통해서이다. WHO(세계 보건기구)는 체외진단(IVD) 검사에서 에볼라의 선택과 사용에 관한 긴급 지침을 발표했다. RealStar Ebolavirus Screen RT-PCR 키트 1.0 (Altona), Liferiver-Ebola Virus (EBOV) 실시간 RT-PCR 키트, Xpert 에볼라 검사 및 ReEBOV 항원 검사를 통해 수많은 회사 및 연구 기관에서 진단을 받고 4가지 WHO 조달 승인 진단을 확인했다. 또한, 신속한 검사 키트 Rapid Diagnosis Test (RDT)와 같은 새로운 진단법이 현재 연구 중이다.

실시간 에볼라 바이러스 전염병 모형의 전염확률분포추정 (A transmission distribution estimation for real time Ebola virus disease epidemic model)

  • 최일수;이성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61-168
    • /
    • 2015
  • 전염병은 기초 감염 재생산 수가 시간에 따라 달라져서 상황을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확산을 통제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정확한 예측은 더욱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많은 모형들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현저하게 다른 결과가 도출되고 있다. 연속된 시간에서 기초 감염 재생산 수는 일반적으로 확률과정이론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볼라 바이러스 전염병 모형에서 전염확률분포의 추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대규모 전염병 발생에서 실시간 추정을 가능하게 함으로 적절한 질병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기니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 자료를 제시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Antiviral activity of sertindole, raloxifene and ibutamoren against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competent Ebola virus-like particles

  • Yoon, Yi-Seul;Jang, Yejin;Hoenen, Thomas;Shin, Heegwon;Lee, Younghoon;Kim, Meehyein
    • BMB Reports
    • /
    • 제53권3호
    • /
    • pp.166-171
    • /
    • 2020
  • A chemical library comprising 2,354 drug-like compounds was screened using a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competent viruslike particle (trVLP) system implementing the whole Ebola virus (EBOV) life cycle. Dose-dependent inhibition of Ebola trVLP replication was induced by 15 hit compounds, which primarily target different types of G 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 Based on the chemical structure, the compound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iphenylmethane derivatives, promazine derivatives and chemicals with no conserved skeletons. The third group included sertindole, raloxifene, and ibutamoren showing prominent antiviral effects in cells. They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viral proteins, including the VP40 matrix protein and the envelope glycoprotein. They also reduced the amount of EBOV-derived tetracistronic minigenome RNA incorporated into progeny trVLPs in the culture supernatant. Particularly, ibutamoren, which is a known agonist of growth hormone secretagogue receptor (GHSR), showed the most promising antiviral activity with a 50% effective concentration of 0.2 μM, a 50% cytotoxic concentration of 42.4 μM, and a selectivity index of 222.8. Here, we suggest a strategy for development of anti-EBOV therapeutics by adopting GHSR agonists as hit compounds.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매체별 에볼라 주제 분석 - 바이오 분야 연구논문과 뉴스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 (Text Mining Driven Content Analysis of Ebola on News Media and Scientific Publications)

  • 안주영;안규빈;송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89-307
    • /
    • 2016
  •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disease)와 같은 전염병들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어 언론의 관심을 받으며 동시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국내외로 전염병과 관련된 텍스트 마이닝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상이한 특성을 가진 매체 간 주제를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염병 중 하나인 에볼라를 키워드로 하여 사회적 특성을 지닌 뉴스 기사와 바이오 분야의 전문적 특성을 지닌 연구 논문 간의 주제 분석을 진행하였다. 텍스트 분석에는 매체별 문헌 데이터로부터 다양한 토픽들을 추출하기 위해 토픽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고, 매체 간의 구체적인 내용 분석을 위해 중요 개체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동시출현 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매체별로 등장하는 주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토픽맵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두 매체에서 다루는 주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동시 출현 주제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매체 간 특성의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상이한 특성을 지닌 매체들의 주제와 개체들을 함께 제시하고, 매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줌으로써 매체별 정보 생산자들이 연구 및 현상 분석을 진행하는 데 있어 관점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ne Health Perspectives on Emerging Public Health Threats

  • Ryu, Sukhyun;Kim, Bryan Inho;Lim, Jun-Sik;Tan, Cheng Siang;Chun, Byung Chu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6호
    • /
    • pp.411-414
    • /
    • 2017
  •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avian influenza, Ebola virus disease, and Zika virus disease have significantly affected humankind in recent years. In the premodern era, no distinction was made between animal and human medicine. However, as medical science developed, the gap between human and animal science grew deeper. Cooperation among human, animal, and environmental sciences to combat emerging public health threat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under the One Health Initiative. Herein, we presented the history of One Health, reviewed current public health threats, and suggested opportunities for the field of public health through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ne Health paradigm.

Insights of window-based mechanism approach to visualize composite biodata point in feature spaces

  • Daoud, Mosaab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7권1호
    • /
    • pp.4.1-4.7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indow-based mechanism visualization approach as an alternative way to measure the seriousness of the difference among data-insights extracted from a composite biodata point. The approach is based on two components: undirected graph and Mosaab-metric space. The significant application of this approach is to visualize the segmented genome of a virus. We use Influenza and Ebola viruses as examples to demonstrate the robustness of this approach and to conduct comparisons. This approach can provide researchers with deep insights about information structures extracted from a segmented genome as a composite biodata point, and consequently, to capture the segmented genetic variations and diversity (variants) in composite data points.

생물안전 4등급(BL4) 실험시설의 동선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irculation System of Biosafety Level 4 Laboratory Facilities)

  • 권순정;최홍빈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3-32
    • /
    • 2011
  • Recently, with the advent of high risk infectious agent such as the Ebola virus, SARS, special research facilities dealing with such dangerous pathogenic are drawing attention gradually. Especially, this kind of facilities can be called BL4(Biosafety Level 4) facility. At the moment, Korean government is going to construct BL4 institute in order to handle efficiently such kind of pathogen. However, there are no proper design guidelines for BL4 facility. This paper proposes circulation system of BL4 facility on the basis of analysis of existing BL4 guidelines of Canada, and Korean BL3 facilitie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functional areas of BL4 facilities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hazard level ; dangerous area, transitional area, and ordinary area. Secondly, circulation system of BL4 facility has been explored as a form of diagram according to the circulating subjects. These include human, laboratory animals, hazardous pathogen, equipments and clot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it lacks empirical evidences and concrete SOPs(Standard Operating Procedure). Despite of some weaknesses, it is expected to give some preliminary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circulation system in BL4 facilities.

Analysis of Covid-19, Tourism, Stress Keywords Using Social Network Big Data_Semantic Network Analysis

  • Yun, Su-Hyun;Moon, Seok-Jae;Ryu, K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04-210
    • /
    • 2022
  •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the number of new infectious diseases such as SARS, Ebola virus, and MERS has steadily increased. The new infectious disease, COVID-19, which began in Wuhan, Hubei Province, China, has pushed the world into a pandemic era. As a result, Countries imposed restrictions on entry to foreign countries due to concerns over the spread of COVID-19, which led to a decrease in the movement of tourists. Due to the restriction of travel, keywords such as "Corona blue" have soared and depression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ess meaning network of the COVID-19 era to derive keywords and come up with a plan for a travel-related platform of the Post-COVID 19 era.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travel and stress caused by COVID-19 using TEXTOM, a big data analysis tool, and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UCINET6. We also conducted a CONCOR analysis to classify keywords for clustering of words with similarities. However, since we have collected travel and stress-oriented data from the start to the present, w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analysis data and analyze more data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