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bb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8초

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다로 관측된 표층 $M_2$ 조류의 변화 (Changes of Surface $M_2$ Currents as Observed by HF Radar Before and After Saemangeum Fourth Tidal Dyke Closing)

  • 김창수;이상호;손영태;권효근;이광희;김영배;정우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2호
    • /
    • pp.37-48
    • /
    • 2006
  • 2003년 6월에 고군산군도와 비응도를 완전히 연결한 새만금 4호 방조제의 완공이 연안역 표층 $M_2$조류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2년과 2004년에 HF radar로 관측된 유동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와 유속계 계류에 의해 관측된 자료는 좋은 일치를 보였다. $M_2$조류는 관측구역 내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성을 보였으며 방조제 완전 체절로 인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되지는 알았다. 2002년에는 방조제의 미체절 구간을 통해 서쪽으로 향하던 ebb jet가 관측되었지만, 2004년에는 이 흐름이 나타나지 않았다. 방조제 완전체절로 인하여 금강하구 입구부근에서 유속이 증가하였고, 고군산군도 및 방조제 부근에는 유속이 감소하였으며 최강 창조류의 방향이 동서방향에서 남북방향으로 변화되었고 최강 창조류 발생시각이 늦어졌다. 연도 주변해역에서도 최강 창조류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변경되었으나 최강 창조류 발생시각은 오히려 빨라졌다. 이러한 $M_2$ 조류타원 특성의 변화는 방조제 체절의 영향이 연도와 말도를 잇는 지역까지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배수갑문 접근배수로 유입흐름의 에너지 감세량 추정 (Energy Dissipation of Inflow in the Upstream Channel of Sluice Gate of Tial Barrier Dam)

  • 조진훈;박상현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9-19
    • /
    • 1999
  • Energy dissipation of inflow in the upstream channel of sluice gate in Sihwa tidal barrier dam was estimated by hydraulic model study for the preliminary step to examine the erodibility of channel. The sluice gates is operated not only during the ebb tide

  • PDF

양액 흘림식 심지이용형 분화생산시스템(NFW)의 실용화 (Practical Use of Nutrient-flowing Wick Culture System(NFW) for Potted Plant Production)

  • 손정익;정동호;노은희;오명민;김성규;김기선;손기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2-118
    • /
    • 2003
  • 분화 양액 재배에 있어서 저면 관수 방식은 두상 관수 방식 보다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면 관수 방식의 장점으로는 지상부에 물이 닿지 않아 고품질의 식물체 생산 가능, 균일한 크기의 식물체 생산 가능, 물과 양분의 사용의 줄임 등이 있다 (Newman, 1999). 현재 유럽은 저면 관수방식의 대표적인 ebb-and-flow 시스템이 상용화 되어있으며, 북미에서도 점점 그 사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Biernbaum, 1990). (중략)

  • PDF

해상 지반조사 분야의 기술 동향 (Technical Trend of Offshore Geotechnical Site Investigations)

  • 조성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7년 가을학술발표회
    • /
    • pp.639-653
    • /
    • 2007
  • Offshore geotechnical site investigation of the seabed ground has been a key factor of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various types of offshore structures like as sea-crossing bridges, submerged tunnels, and other marine facilities. Offshore investigations are not easy tasks because of the wave, wind, tidal ebb and flows, and others. Recent developments of offshore equipment including platforms and testing devices like as maine cone penetrator have inspired us to get more reliable characteristics of the seafloor. General information on the offshore site investigations and technical trends concerned are introduced.

  • PDF

분화류 저면 관수(Ebb & Flow)재배에서 품질 향상을 위한 시비기술

  • 강종구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추계 심포지엄 및 학술발표 논문집
    • /
    • pp.47-68
    • /
    • 2002
  • 분화류 및 화상식물 생산에 있어서 관수방법에 관한 연구가 노동력 절감과 고품질 생산 그리고 최근에는 환경친화적인 측면에서 연구되어지고 있다. 과거 분화류 및 화상식물 생산을 위한 전면관수(Conventional overhead irrigation system)는 온실 바닥이나 벤치위에 식물을 위치시키고 분무 노즐이나 수 작업으로 상부에서 관수하는 방법으로 노동력의 소모가 매우 많았다. (중략)

  • PDF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방조제 끝막이 구간의 수리특성분석(수공) (An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Sea Dike Closure Gap Using a Thre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 강민구;박승우;임상준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05-411
    • /
    • 2000
  • This study reviews qualitatively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 tidal gap during seadike closures using a three-dimensional model for shallow water equations. The Princeton Ocean Model(POM) was adapted and applied to the Sihwa Seadike which was closed in 1994. The simulated flow patterns around the gap showed that tidal velocities increase with the cross-sectional area during ebb tide. The accelerated flow extended to wider zones passing the gap, and shock waves were generated. Vertical tidal velocity profiles were affected as the bottom scours developed beyond normal conditions.

  • PDF

가막만의 해수교환 (Tidal Exchange Of Sea Water In Gamag Bay)

  • 이명철;장선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8
    • /
    • 1982
  • 여수반도의 남단과 돌산도에 의해 둘러싸인 가막만은 면적 112$\textrm{km}^2$, 용적 7.09 $10^{8}$㎥, 남북방향의 길이 약 15km, 평균수심 약 6.3mdls 천해이다. 대조차는 약 3m이며 만내해수는 조류에 의하여 2개의 수로를 통해 외해수와 교류 교환된다. 밀물 때 만의 북쪽에 있는 여수항수로와 남쪽의 만구를 통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입된 해수는 만내에서 만나고, 썰물 때 다시 이들 만구를 통하여 유출한다. 이 해역은 여수항에 인접한 굴 주산지로서 생산성이 매우 높은 곳이며 도시 및 산업폐수가 날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다.

  • PDF

천해조 및 조간대가 발달된 하구에서의 부유사이동 특성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the Estuary with Significant Shallow Water Tides and Tidal Flat)

  • 강주환;문승록;안성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1-208
    • /
    • 2002
  • 천해조가 발달된 하구에서의 소류사 이동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에 이어 본 논문에서는 전과 동일한 하구 부유사 이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소류사 이동에 비해 다소 복잡한 양태로 발생하는 부유사 이동에 관한 수치실험을 통해 turbidity maximum형성과 변이에 관련된 기존 연구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천해조를 하류경계조건에 포함시키는 것이 소류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금강하구와 영산강하구에서의 소류사 및 부유사 이동특성의 차이점 뿐 아니라 창낙조우세와 고저조우세의 차이점도 규명할 수 있었다. 특히, 영산강하구의 경우 조간대 발달로 인해 낙조우세가 심화됨에 따라 소류사와 부유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현재와 같이 조간대가 유지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Particle Tracking Model을 이용한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 계산 (Calculating Average Residence Time Distribution Using a Particle Tracking Model)

  • 박성은;홍석진;이원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7-52
    • /
    • 2009
  • A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model coupled with the Princeton Ocean Model were used to estimate the average residence time of coastal water in Masan Bay, Korea. Our interest in quantifying the transport time scales in Masan Bay was stimulated by the search for a mechanistic understanding of this spatial variabilit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spatially variable transport time scales. Tidal simulation was calibrated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semi-diurnal current and water elevation measured at the tidal stations of Masan, Gadeokdo. In the model simulations, particles were released in eight cases, including slack before ebb, peak ebb, slack before flood, and peak flood, during both spring and neap tides. The averaged values obtained from the particle release simulations were used for the average residence times of the coastal water in Masan Bay. The average residence times for the southeastern parts of Somodo and the Samho River, Masan Bay were estimated to be about 20~50days and 70~80days, respectively. The spatial difference for the average residence time was controlled by the tidal currents and distance from the mouth of the bay. Our results might provid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transport and behavior of coastal water in a bay and might be used to estimate the dissimilative capacity for environmental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