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 River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4초

Cheat강 유역 홍수분석 및 조절을 위한 Snyder의 단위유량도법 적용 (Applications of Snyder's Unit Hydrograph to the Cheat River Basin for Flood Control Analysis)

  • 전무갑
    • 물과 미래
    • /
    • 제28권4호
    • /
    • pp.171-18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미국 West Virginia주 동북부에 위치한 Cheat강 유역 일원에 1985년 11월에 발생한 대홍수를 Snyder의 단위유량도법을 적용, 재현시켰다. 전체유역을 수문 및 지형특성에 따라 각 소유역으로 나누어 각 소유역에 대해 지표면유출을 계산하였다. 유역 하천에 대해서는 Modified Pulse Option에 있어서 평균수심저류 및 유출법으로 하도추적을 실시하였다. 또한 Cheat River 유역전체에 대한 홍수조절 계획이 본 연구에서 수립되었으며 Option III 에 명시된 3개 중규모 다목적댐 건설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홍수분석 및 계획수립에는 HEC-1 전산모형이 이용되었다.

  • PDF

Impact of urbanization on Nwaorie and Otamiri Rivers in Owerri, Imo State, Nigeria

  • Ogbomida, Emmanuel T.;Emeribe, Chukwudi N.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119-129
    • /
    • 2013
  •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the water quality of Nwaorie and Otamiri Rivers in Owerri metropolis, Imo State, South-East Nigeria.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Nwaorie and Otamiri Rivers from four sampling stations up and down stream. Water parameters analyzed using standard procedures were: color, turbidity, temperature, pH, total hardness, total solids, metals (Iron and magnesium), anions (nitrate and ammonia) and Fecal coliform. Results showed increased levels of coloration, iron, ammonia, turbidity and fecal coliform which exceede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ermissible limits for drinking water. Increase in these parameters indicated influx of industrial effluent from the nearby industries and indiscriminate disposal of wastes at the bank of the rivers. Application of ANOVA showed various degree of variation in pollutants levels between the two rivers and at different sampling points. River Nwaorie was observed to be more impacted than River Otamiri. High values of iron observed from the study could be deleterious to human health if the river water is consumed without treatment. The study, therefore, recommended proper waste management and disposal as well as effluent treatments in Owerri municipal against pollution of surface water.

The Impact of Government Assistance to State-owned Enterprises on Foreign Start-ups: Evidence from Yangtze River Delta

  • Risha, Omar Abu;Wang, Qingshi;Dou, Shanshan;Alhussam, Mohammed Ismail;Shi, Junguo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6권3호
    • /
    • pp.205-225
    • /
    • 2022
  • Different types of corporate ownership may affect the environment among firms and could influence the decisions of new entities in the region. This study determines the role of state-owned enterprises (SOEs) in hindering new foreign manufacturing firms in the Yangtze River delta (YRD).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is used for city-sector level data and the following points summarize the results: Firstly, the unique privileges that SOEs enjoy alongside governmental support create difficulties for foreign firms trying to establish themselves near existing SOEs. Secondly, although core cities are more attractive to foreign firms than peripheral cities, the role of core-periphery reveals that, in spite of all the regional advantages core cities could offer, whenever the share of SOEs is higher, the core-periphery system will have an adverse impact on new foreign firms. In other words, government preference for SOEs can suppress the attraction of foreign start-ups. However, after 2008,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finally succeeded in implementing their promising policy of fair treatment and competition in only the core cities.

경주시 남천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Namcheon Stream in Gyeongju City)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4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cologically important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river ecosystem. Namcheon Stream, the study site, is a local river flowing from the east to the west of Gyeongju.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18 taxa including 98 families, 321 genera, 467 species, 9 subspecies, 32 varieties, 4 forms, 4 hybrids and 2 cultivars. The rare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Koelreuteria paniculata, Hydrocharis dubia and Sparganium stoloniferu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Populus ×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Lespedeza maritima, Weigela subsessilis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were 27 taxa including 2 taxa of grade IV, 4 taxa of grade III, 7 taxa of grade II and 14 taxa of grade I.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92 taxa including Pterocarya stenoptera, Conyza canadensis, Vulpia myuros and so on.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were 6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and Symphyotrichum pilosum.

동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East River, Korea)

  • 조용철;신윤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21-33
    • /
    • 2012
  • 동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8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22개 지점에서 총 4 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강수계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59종으로서 7강 58속 113종 21변종 25미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조강이 90종류로 전체 중 56.6%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녹조강이 47종류로 29.6%의 점유율을 나타냈으며 남조강이 17종으로 10.7%, 유글레나강이 2종으로 1.3%, 황색편모조강, 갈색편모조강, 와편모조강이 각각 1종 0.6%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모든 시기 20정점 이상에서 출현한 보편종은 Cocconeis placentula, Cymbella minuta, Diatoma vulgare, Melosira varians, Navicula cryptocephala, Scenedesmus acuminatus v. acuminatus 등 6종이었다. 현존량은 86 cells $mL^{-1}$~1,467 cells $mL^{-1}$의 범위로 나타났고, 점유율이 10% 이상인 우점종은 Achnanthes minutissima,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Cocconeis placentula, Coelastrum microporum, Cyclotella sp., Cymbella affinis, C. minuta, C. tumida, Diatoma vulgare, Fragilaria capucina, F. construens, F. crotonensis, Gomphonema affine, G. clevei, Melosira varians, Merismopedia elegans, Navicula cryptocephala N. pupula, Nitzschia tryblionella, Oscillatoria anna, O. limosa O. tenuis v. tenuis, Pediastrum duplex v. reticulatum, Phormidium tenue, Scenedesmus acuminatus v. acuminatus, S. acutus v. acutus, S. ecornis v. ecornis, S. quadricauda v. quadricauda, Spirogyra sp., Stigeoclonium sp., Synedra acus, S. ulna, Ulothrix sp. 등 34종이었는데, 가장 중요한 종은 90개 시료 중 52개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난 Cymbella minuta이었다 종다양성지수는 1.58~3.10, 균등도지수는 0.51~0.95, 우점도지수는 0.22~0.74의 범위로 연구지역이 상당히 안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상류정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는 도암호에서 나오는 방류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경북 울진 연호(蓮湖)의 지형적 특성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Yeonho lake, Uljin-gun, Gyeongsangbuk-do)

  • 우승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11-224
    • /
    • 2016
  • 울진군 울진읍에 위치한 연호(蓮湖)는 기존 동해안의 하천에서 발견되었던 하적호나 석호와는 다른 지형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진 연호의 지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그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자연호소와 습지를 지형형성과정에 따라 적합하게 보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연호의 지형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1918년도, 1956년도, 2012년도의 지형도를 비교 분석 하였고 남대천과 연호천의 하상종단면도와 기반암 추정선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남대천과 연호천의 계획홍수위를 통해 침수가능지역을 설정하고 퇴적물의 이동방향과 퇴적환경을 고찰하고자 퇴적물의 입경분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연호는 동해안의 하천에서는 연구가 전무했던 '배후습지성 호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해안처럼 유로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급한 하천에서도 배후습지성 호소가 형성될 수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또한 배후습지성 호소의 지형적 형성과정과 울진읍의 시가지 발달을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연호의 보존방법을 제언하였다.

  • PDF

제주도 주변해역 대륙붕 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과 점토광물 연구 (Clay minerals and geochemistry of continental shelf sediment around Jeju Island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윤정수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37
    • /
    • 2009
  • 제주도 주변해역에 분포하는 퇴적물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이곳 표층 및 주상 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과 점토광물 분석연구를 하였다. 해양에 점토광물의 분포는 주로 퇴적물 공급지 와 해양순환 패턴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 스멕타이트는 남황해 북서쪽 지역과 외대륙붕의 니토대 분포지역에 8% 이상의 높은 함량분포를 보이는데, 이는 세립질 부유퇴적물을 많이 함유한 중국의 황하강계로부터 주로 공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적 높은 함량의 고령토는 북동쪽의 연안역과 양자강 하구역에 가까운 남서쪽 지역에 분포하는데 이는 양자강과 한국의 강들로부터 공급된 것으로 보인다. $^{210}Pb$ 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주도 주변해역의 퇴적율은 0.20~0.54cm/yr 혹은 $0.15{\sim}0.42g/cm^2{\cdot}yr^{-1}$의 범위를 보였고 서쪽에서 동쪽을 향함에 따라 퇴적율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황하와 양자강 기원 부유퇴적물이 제주도 주변해역까지 이동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화학적 구분지수 도표에서 제주도 주변해역은 중국의 강들 중 황하강기원 퇴적물이 주를 이루나 북동쪽 지역은 한국의 강과 제주 기원 퇴적물이 일부 분포하고 있다.

  • PDF

근대로 향하는 길? 무시 대교(Jembatan Musi)를 통해서 본 도로건설과 지역개발의 상관관계 (The Road to Modernity? Politics of Building Bridge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Case of the Musi Bridge)

  • 여운경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4권1호
    • /
    • pp.191-221
    • /
    • 2014
  • South Sumatra's capital, Palembang, has long maintained a river-oriented transportation system. With road transportation's increased importance for exploiting natural resources, however, hundreds of roads have been constructed since the Dutch colonial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bridges affected people's lives and social networks in Palembang, and what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it has in the context of a region in the postcolonial Indonesia, with a focus on the huge river called the Musi River, which horizontally crosses the city. After independence, there has been strong aspiration to link these two parts by road, and in 1965 the Musi Bridge (then the Sukarno Bridge) over the river was eventually opened.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apparently initiate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s and development in the region, including Ulu (the southern river bank)'s rapid urbanization. However, the features of regional development actually were prerequisites for "national" development. The regional development was impossible without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or regional aspiration for development was often supported only when it fitted with national envision. The Musi Bridge was a model case that fitted with such national envision. While it was the symbol of regional development, it was also celebrated as an exemplary sign of "national" development, by both Sukarno's government and Suharto's New Order regime. By analyzing the discussions and discourses regarding the Musi project since early 1950s, in addition to its social and economic impact after the construction,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tinuities and changes in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on of the) Musi Bridge with the changing political backstops in both regimes. Together with it, this article also aims to reexamine the interplay between "the national" and "the regional" in the prevalent aspiration for the national an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out the 1950s and 1960s.

하계 동중국해에서의 용존 및 입자유기탄소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 김수강;최영찬;김진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4-131
    • /
    • 2008
  • 2003년 8월과 2004년 9월 제주도 남서부해역과 중국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연구는 용존무기영양염류와 용존 및 입자유기탄소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하계에 동중국해의 영양염의 분포 형태는 수괴 및 식물플랑크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하계에 동중국해내 수괴들은 중국의 연안해역을 제외하고 상하수직혼합이 잘 일어나지 않아 표층수에는 영양염의 유입이 감소하고, 저층수에는 표층에서 유입되는 유기물이 분해되어 영양염의 축적이 일어나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Chlorophyll a의 농도가 높은 해역에서 영양염의 농도가 낮은 값을 보였으며, Chlorophyll a의 농도가 감소하는 수심이하에서 영양염의 농도가 증가함을 보여 높은 생물활동에 의한 무기영양염류 등이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해역내 용존유기탄소의 분포는 염분이나 수온에 대해 다소 산만한 분포를 보여 수괴에 따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양자강 영향 정점에서 $100{\mu}M$이상의 높은 값을 보인 반면, 제주도 남서부 해역에서는 낮은 농도를 보였는데, 이것은 양자강 유출수가 동중국해 용존유기탄소의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해역 입자유기탄소의 분포특성은 양자강 유출수가 영향을 미치는 중국연안해역에서 평균 $9.23{\mu}M$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대마난류수의 영향을 받는 제주도 남동부해역에서 $3.04{\mu}M$로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중앙부해역에서 $7.23{\mu}M$의 입자유기탄소량을 나타내, 양자강 유출수가 자생적 기원이외의 입자유기탄소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 남서부해역에서의 입자유기탄소는 Chlorophyll a의 농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여 자생적 기원으로 볼 수 있지만 그 해역에서의 염분도가 저염(30%o 이하)을 나타내고 있어 자생적 기원보다는 육상기원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한국 고유 담수어종 참갈겨니(Zacco koreanus) 개체군의 계통지리학 및 집단유전학 연구 (Phylogeographic and population genetic study of a Korean endemic freshwater fish species, Zacco koreanus)

  • 김유림;장지은;최희규;이혁제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50-657
    • /
    • 2020
  • 본 연구는 동해유입하천(강릉 연곡천, 양양 남대천), 한강수계(섬강, 속사천), 낙동강수계(길안천)에 서식하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 개체군을 대상으로 채집된 110개체로부터 미토콘드리아 DNA COI 유전자(mitochondrial DNA cytochrome oxidase I)를 분자마커로 이용하여 계통지리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강릉 연곡천 상·중·하류 개체군을 대상으로 집단유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통지리학 분석 결과, 동해유입하천과 한강수계의 참갈겨니 개체군은 동일한 단일계통을 나타내었고, 낙동강수계의 개체군은 상이한 계통으로 분기됨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수계 계통과의 유전적 거리 수치 범위가 평균 4.0%(3.7~4.2%)로서 동일종 이상 수준을 보여 잠재종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참갈겨니가 서식하는 수계에 따른 형태학적 차이는 연구된 바 있으나 DNA 염기서열의 변이를 이용한 분자유전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낙동강수계 참갈겨니 개체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집단유전체학 및 생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관찰된 낙동강수계 계통이 다른 종, 잠재종 혹은 단순히 큰 수준의 종내 변이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강릉 연곡천 상·중·하류에 서식하는 개체군의 집단유전학 분석을 통해 중류의 개체군이 상대적으로 높은 다양성을 나타냈으며 상·중·하류 개체군 간의 유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상·중·하류 개체군 간 유전자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하천의 개체군 간 연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생태학적 시간 스케일의 연구에 더 적합한 분자마커를 이용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