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절제 가능한 진행위암에서 수술 후 조기 복강 내 화학요법의 예후인자로서의 가치 (Prognostic Value of 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Resectable Advanced Gastric Cancer)

  • 유완식;정호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4호
    • /
    • pp.197-201
    • /
    • 2001
  • Purpose: There are variants of gastric cancer assoclated with predominantly peritoneal spread of with haematogenous metastases.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n adjuvant to surgery is considered as a rational therapeutic modality to prevent peritoneal spread.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on the prognosis of resectable advanced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90 to 1995, 246 patients with biopsy proven advanced gastric cancer were enrolled in the study. Among them 123 patients received 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mitomycin C and 5-fluorouracil. The survival rate was calculated using by the Kaplan-Meier method and was compared using the log-rank test according to 13 clinico-pathologic factors. Mult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Cox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Gastric resection plus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showed an improved survival rate as compared to surgery alone ($54.1\%\;versus\;40.3\%;$ P=0.0325). Depth of tumor invasion, degree of regional lymph vode metastasis, distant metastasis, tumor size, tumor location, extent of gastric resection, and curability of surgery significantly influenced survival. When a mult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depth of tumor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curability of surgery, and extent of gastric resection emerged 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Conlusion: 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s one of the independent prognostic indicators of resectable advanced gastric cancer.

  • PDF

장막 침윤이 있는 위암환자에서 수술 후 조기 복강 내 화학요법의 예후인자로서의 가치 (Prognostic Value of 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Gastric Cancer with Serosal Invasion)

  • 유완식;김태봉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2호
    • /
    • pp.89-94
    • /
    • 2004
  • Purpose: There is no established treatment-related prognostic factor for gastric cancer except a curative tumor resection. This study was done to clarify the prognostic value of 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EPIC) in patients with serosa-positive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ostoperative survival data of 209 patients with serosapositive gastric cancer treated by surgery and chemotherapy. The survival period for patients was calculated from the date of resection until cancer-related death or the last date of follow-up; Kaplan-Meier survival curves were plotted and compared by using the log-rank test. A multivariate analysis was done by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rates were noted based on gender,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distant metastasis, stage, location of tumor, macroscopic type, extent of gastric resection, curability of surgery, and adjuvant chemotherapy. Five-year survival rates of patients who received EPIC and systemic chemotherapy were 49 per cent and 25 per cent, respectively (P=0.009). A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invasion of an adjacent organ, lymph node metastasis, total gastrectomy, and palliative surgery were poor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lso, EPIC had a marginal prognostic value (P=0.056). Conclusion: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can possibly be one of the independent prognostic indicators in case of serosa-positive gastric cancer.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4;4:89-94)

  • PDF

난치성 복막암종증의 치료 전략에 대한 고찰 (Treatment Strategy of Intractable Peritoneal Carcinomatosis)

  • 정재규;임윤정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29-35
    • /
    • 2013
  • 복막암종증(Peritoneal carcinomatosis)은 복강내에 암세포가 파종되어 벽쪽 복막과 내장쪽 복막 표면에 악성세포가 축적되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은 암성복수와도 관련 있다. 일반적으로 복막암종증은 원발암의 전이성 암과 유사하게 치료하나 같은 원발암의 다른 장기로의 전이암과는 달리 예후가 좋지 않다. 보존적 치료만 했을 경우 복막암종증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3-6개월이다. 복막암종증은 예후가 좋지 않고 치료 방법이 제한적이어서 일선에서 치료하는 내과 의사에겐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기도 하다. 최근에 이와 관련된 치료 방법이 많이 연구되어 육안적 병소제거술 및 복막절제술(cytoreductive surgery with peritonectomy)과 함께 조기 수술 후 복강내 화학요법(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EPIC) 또는 수술 중 복강내 온열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HIPEC)을 시행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막암종증의 전반적인 특징, 증상, 예후 및 진단과 수술적 방법, 항암 화학요법 등의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위암의 선행화학 요법 (Preoperative Chemotherapy in Gastric Cancer)

  • 홍영선;박조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139-145
    • /
    • 2005
  • 위암은 한국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암이며 암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치료법 중에서 수술이 유일하게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나, 진행 암에서는 근치적 절제(R0 resection, R0 절제)수술 후에도 약 50%의 환자에서 재발을 보여,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화학요법은 병소가 급격하게 성장, 팽창하는 것을 막고 내성을 지닌 세포의 출현을 예방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완치의 기회를 늘리고, 암의 국소 조절을 더 잘 함으로서 수술의 범위를 줄여 수술로 인한 부담을 줄이며, 절제 불가능한 암을 절제 가능한 암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치유절제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던 위암의 병기를 낮추어 R0 절제 후 완치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계속되는 연구에서 수술로 인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선행 화학요법에 사용할 수 있는 항암제는 여러 가지이나 가장 높은 효과를 보이는 항암제가 결정되지 않았고 또 항암제를 투여하는 시기, 선행 화학요법 후에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항암제의 복강 내 투여나 방사선 치료의 병용 등이 복막 전이와 국소재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 등이 향후 시행될 연구에서 규명되어야 하겠고, 또 적절한 수술방법에 관하여도 합의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선행 화학요법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의문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다기관이 참여하는 전향적 무작위 3상 임상연구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