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gonadal development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4초

무지개 송어의 유전육종학적 연구 Ⅷ. 난모세포의 고아학 및 미세구조적 변화 (Studies on Genetics and Breeding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Ⅷ. Ultrasturctural Changes of Oocytes in Reproductive Cycles)

  • 윤종만;김영곤;박홍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7-220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ooplasm and follicular membrane of oocytes, obtained from 150 of 3-year-old female rainbow trout(Oncorhynchus mykiss).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in 1989 to February in 1990, and from August to October in 1991. The size of the nucleoli and number of the yolk granules increased as the oocyte growed. Yolk granules were deposited in the oocyte as crystalline granules. Due to the presence of large early and late maturing oocytes, their ovaires were enlarged, transparent and granular. The lattice was broken down at hydration, leaving the egg transparent. As thepercentages of fish in LPO and EMO stage increased from September to October, Mean GSI values increased. Follicle cells such as granulosa cell and thecal cell change a squamous into cuboid shape in LPO and EMO stage. Seasonal changes in the microscopic appearance of the ovarie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ose in bothgonadosomatic index and macroscopic apearance. Under the natural conditions,t he ovarian follicle influences the histological development and periodical secretion of the hormones, sufficient for a oogenesis and gonadal steroid production. The electrophoretic pattern of major band in mature stage was much thicker(70∼110k dalton) than that in previtellogenic phase.

  • PDF

Ultrastructure of Germ Cells during Spermatogenesis and the Reproductive Cycle in Male Meretrix petechial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Chung, Ee-Yung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4
    • /
    • 2006
  • Gonad index, spermatogenesis and the reproductive cycle of Meretrix petechialis were investigated by cytological, histological observations. Monthly changes in the gonad index coincides the gonadal development. The morphology of the spermatozoon had a primitive type and is similar to that of other bivalves having a short mid-piece with five to six mitochondria surrounding the centrioles. The morphology of the sperm nucleus type and the acrosome shape of this species were cylindrical type and cap-like shape, respectively. The spermatozoon was approximately 40-45 ${\mu}m$ in length including the sperm nucleus length (about 1.50 ${\mu}m$), acrosome length (0.60 ${\mu}m$) and tail flagellum. The axoneme of the tail flagellum consisted of nine pairs of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at the center.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ed 9 + 2 microtubular arrangement.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from July to August when seawater temperatures were higher than $20^{\circ}C$.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ould be categoriz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Febr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February to May), ripe stage (April to July), partially spawned stage (June to September), and spent/inactive stage (September to February).

  • PDF

날개망둑 (Faronigobius gymnauchen)의 생식주기 및 생식소 발달 (Reproductive Cycle and Gonadal Development of the Naked-Headed Goby, Favonigobius gymnauchen (Teleostei : Gobiidae))

  • 이정식;김재원;강주찬;신윤경;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9-224
    • /
    • 2000
  • 난소의 내부는 결체성 조직인 다수의 난소박판으로 구성되며, 이곳에서 난원세포가 유래한다 정소조직상은 정세관 형태이며, 각각의 정세관은 여러 개의 소낭구조를 가진다. 각 소낭내의 생식 세포들은 같은 단계의 발달상태를 보인다. 군 성숙도에 도달하는 크기는 암${cdot}$수 모두 전장 4.5 cm이다. 암컷의 GSI는 6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수컷의 GSI는 7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생식주기는 성장기 ($1{\~}3$월), 성숙기 ($4{\~}5$월), 완숙 및 산란기 ($6{\~}7$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 ($8{\~}12$월)로 나눌 수 있었다. 난모세포 발달양식은 난군동기발달형에 속하며, 초기 성장기 난모세포의 세포질에서 난황핵이 관찰되었다.

  • PDF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인공종묘의 성분화 과정 (Sexual Differentiation in Korean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Derived from Artificial Fertilization)

  • 오민기;박종영;강언종;양상근;김응오;조용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5-262
    • /
    • 2008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된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종복원을 위해 인위적인 교배를 통하여 획득한 자치어를 대상으로 성분화 과정을 조사하여 성적임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부화 후 4~5일째 자어에서 생식융기 1쌍이 장과 중신관 사이에서 관찰되었고, 그 후 유사분열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부화 후 20일째 치어에서 난원세포의 출현으로 난소 분화가 시작되었으며, 부화 후 30~40일째를 거치면서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로 성장하였다. 난황은 부화 후 80일째의 자어에서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100일째가 되어 eosin에 염색되는 난황구가 생성되었다. 이후 난모세포는 난황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약 10개월째에는 난막과 여포세포층에 의해 둘러싸여진 난모세포로 분화하였다. 한편 정소는 부화 후 25일경 치어에서 분화되기 시작하였고, 40일경 유사분열을 통해 정원세포를 둘러싸는 포낭을 형성하였다. 부화 후 100일째가 되면 정소는 정소엽 구조를 형성하였고 hematoxylin에 매우 진하게 염색되는 정모세포로 분화하였다. 부화 후 7개월째 치어의 정소엽 내부에 정세포가 출현한 이후, 부화 후 만 1년을 경과한 치어에서 최초로 성숙한 정자가 출현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적으로 부화된 꼬치동자개 자치어의 성분화는 다른 종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정상적인 발달을 보인다고 판단되었다.

한국 서해산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의 번식생태 및 기생충에 관한 연구 1.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and Parasite of the Venus Clam, Cyclina sinensis (Gmelin), on the West Coast of Korea 1 Reproductive Ecology)

  • 김용호;정의용;김영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35-41
    • /
    • 2000
  • 1999년 4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서해 금강 하구인 내 초도에 서식하고 있는 가무락조개를 대상으로 자원증식 및 적정 관리를 위해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생식소지수, 생식 소발단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군성숙도를 조사하였다. 가무락조개는 자웅이체로서 난생이다. 가무락조개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2-4월), 후기활성기(3-6월), 완숙기(4-8월), 부분산란기(7-10월초), 퇴화 및 비활성기(9-2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가무락조개의 산란기는 수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수온이 24$^{\circ}C$이상인 7월부터 산란하기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로 산란성기는 7, 8월이었다. 고창산 가무락조개의 군성숙도는 각장 26.0-30.0 mm 사이에서 암, 수 공히 50% 이상이 재생산에 가담하였고, 각장 41.0 mm 이상에서는 100%가 산란에 참여하고 있다. 전 개체의 50%가 재생산에 가담하기 시작하는 개체들의 연령은 만 2세로 추정된다.

  • PDF

진성 성조숙증으로 전환된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 1례 (A Case of True Precocious Puberty Complicating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 김수진;이주석;김수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4호
    • /
    • pp.400-403
    • /
    • 2003
  • 진단이 지연되었거나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은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을 가진 남아에서 장기간 고농도의 남성호르몬에 노출될 경우 처음에는 가성 성조숙증이었다가 이후 진성 성조숙증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의 조기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가성 성조숙증에서 진성 성조숙증으로 전환된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을 가진 남아에서 hydrocortisone과 GnRH 유도체를 사용하여 큰 부작용 없이 2차 성징의 퇴축을 가져온 1례를 경험하고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productive Biology of the Femal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Vener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허영백;신문섭;김용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05
  • Reproductive cycle, first sexual maturity, spawning amount related with the size and spawning interval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 and the analysis of morphometric data during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Ruditapes philippinarum is dioecious and oviparous.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sub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February to May),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May to October),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February). The spawning period was once a year between May and early Octo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July and August when seawater temperature was approximately $20^{\circ}C$. Percentages of first sexual maturity of female clam of 15.1-20.0 mm in shell length were 56.3%, and 100% for the clams > 25.1 mm. The mean number of the spawned egg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ize classes (shell length). In case of spawning induction by the same size class, the number of spawned eggs were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pawning frequenci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awnings). In the experiments of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interval of each spawning was estimated to be 15-17 days (average 16.5 days).

  • PDF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in the Bagrid Catfish, Leiocassis ussuriensis)

  • 박상용;이윤아;최경철;강언종;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8-253
    • /
    • 2001
  •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생리학적 성전환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성분화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부화 후 1일째에 중신관과 장 사이의 장간막에 원시생식세포가 나타났으며, 부화 후 5일째의 초기 생식소는 생식융기를 형성하는 원시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20일째의 생식소는 암, 수로의 분화가 이루어졌는데 정소는 부화 후 20일째에 유사분열 단계의 원시생식세포들이 분포하였으며, 난소에서는 난소를 특징지을 수 있는 entovarian sac의 구조가 난소 중앙부분에 나타났다. 부화 후 40일째 정소에서는 정원세포의수가 점점 증가하였고, 부화 후 50일째 난소에서는 난소강이 더 뚜렸해지며 부화 후 100일째 난소에서는 초기 난모세포가 난소내에 가득 차기 시작하여 기능적 난소의 형태로 분화하였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은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화되는 분화형 자웅이체였다.

  • PDF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of the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 이윤아;이병민;최경철;박상용;방인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6-80
    • /
    • 2005
  • 쏘가리의 생리학적 성전환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부화 직후(평균전장: 5.10 mm)부터 부화 후 130일째(평균전장: 103.16 mm)를 대상으로 초기 생식소 발달과 성분화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초기 생식소 형성시기는 부화 직후에 중신관과 장사이의 장간막에 원시생식세포가 나타났으며, 부화 후 8일째(평균전장: 10.77 mm) 초기 생식소에서는 genital ridge를 형성하는 원시 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40일째(평균전장: 29.75 mm)의 생식소는 암, 수로 분화가 이루어졌다. 부화 후 50일째 (평균전장: 35.36 mm) 난소에서는 초기난모세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또한 난소에는 난소를 특징지을 수 있는 entovarian sac의 구조가 난소 중앙부분에 나타났다. 부화 후 50일째 정소에서는 정소 소관의 수도 증가하고 정원세포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30일째 정소에서는 정원세포의 양적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에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리되는 분화형 자웅이체였다.

서해비단고둥 (Umbonium thomasi)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Sand Snail, Umbonium thomasi)

  • 이주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02-708
    • /
    • 2002
  • 서해비단고둥, Umbonium thomasi는 우리나라 서해안 일대의 조간대 모래사장에 서식하는 원시복족목 밤고둥과에 속하는 패류 중의 하나이지만,그들의 기초 생물학적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앞 바다의 조간대에서 매월 채집한 서해비단고둥을 대상으로 생식소 발달에 따른 생식주기, 생식세포형성과정, 육중량비 그리고 군성 숙도를 조사하였다. 서해비단고둥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며, 생식소는 나선형 패각내의 후반부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완숙한 암컷의 생식소는 녹색, 수컷은 유백색 또는 황백색을 띄었다. 육중량비는 7월에 $37.5\%$로 가장 높았고, 9월에 $28.3\%$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11월부터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완숙기의 난모세포 크기는 100$\~$110$\mu$m이며, 세포질은 다량의 난황과립으로 채워져 있었다. 생식소의 발달, 생식세포의 형성과정 그리고 육중량비의 변화에 따라, 서해비단고둥의 생식 주기를 초기 활성기 (11$\~$4월), 후기 활성기 (2$\~$5월), 완숙기 (4$\~$8월), 산란기 (7$\~$10월) 그리고 회복기 (9$\~$2월) 등 연속적인 주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생식소의 발달과 산란기는 수온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산란성기는 평균 수온이 24.2$^{\circ}C$ 전후인 9월이었다. 각고 4.4mm 이하의 개체군은 재생산에 전혀 가담하지 않았으며, 각고 5.5-6.4mm 범위에서는 암수 각 각 $55.0\%$61.9\%가 재생산에 참여하였고, 7.5mm 이상에서는 $100\%가 산란에 가담하였다.